[[분류:한국어 관용구]][[분류:비교]]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아마존 프라임의 다큐멘터리, rd1=모 아니면 도(다큐멘터리), other2=유희왕의 함정 카드, rd2=모 아니면 도(유희왕), other3=ENHYPEN의 수록곡, rd3=DIMENSION : DILEMMA, anchor3=모 아니면 도 (Go Big or Go Home))] [목차] == 개요 == 유래는 [[윷놀이]]의 '[[모]]'와 '[[도]]'. 실제로 윷 4개 중 4개 모두 안 뒤집어지면 '모', 1개만 뒤집어지면 '도'가 되니, 결국 단 하나의 윷이 뒤집어지느냐 마느냐의 차이뿐이다. 하지만 놀이 내에서의 영향은 판이하게 다르다. 도는 말을 고작 1칸 앞으로 전진시킬 뿐이지만, 모는 '''5칸 전진에 1번 더 윷을 던질 수 있게 된다.''' 차이도 차이이거니와 [[로컬 룰|지역적인 차이]][* 갈림길을 가는 패나 파생룰인 뒷도와 자유걸 등.]를 제외하면 '''윷놀이엔 도 이하의 패도, 모 이상의 패도 없다.''' 그야말로 [[극과 극]]이다. [[죽이 되든 밥이 되든]]도 어떻게든 시도해보겠단 의미가 비슷한데 뉘앙스는 다소 다르다. 아래의 세부 의미에서 '될 대로 돼라' 쪽에 가깝다. == 유형 == === 될 대로 돼라 === A든 B든 (더 이상) 별 상관 없을 때, 도의 경우가 별 게 아닐 때, 아니면 자포자기했을 때 [[케세라세라]]처럼 쓰이기도 한다. === 사느냐 죽느냐 === [[만화]], 특히 [[배틀물]] 등에서 [[주인공]](혹은 적)이 극한의 상황에 몰렸을 때 나오는 [[클리셰]]급 대사. 주인공(혹은 적)은 이 대사와 함께 무언가 도박성이 있는 행위를 한다. [[필살기]]든 [[야바위]] 등. [[동귀어진]]도 포함한다. 비슷한 말로 '이판사판', '죽기 아니면 까무라치기'가 있다. 물론 이 경우 주인공이 사용하면 뭐든 [[모]]요, 적이 사용하면 뭐든 [[도]]다. 아니면 처음엔 도 나와서 주인공이 궁지에 몰리다 막판엔 결국 모를 띄워서 다 수습하는 형식도 있다. [[유희왕]], [[매직 더 개더링]] 같은 [[TCG]]에도 이런 계열 카드들이 많다. [[시간의 마술사]]나, [[Final Fortune]]가 그 예다. [[데드 오어 얼라이브 시리즈]]라는 게임 제목으로도 있다. === [[흑백논리]]형 === 중도를 생각치 않고 양 극단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를테면 무언가를 만들 때 아주 크게 만들거나 그 반대인 경우, 혹은 여러 대안 중 양 극단의 선택 중 택일하는 경우를 말한다. 자세한 건 [[흑백논리]] 참고. == 비슷한 표현 == === Boom or Bust === 한 마디로 '''대박 아니면 쪽박.''' 스포츠에선 주로 빅 플레이 한방, 그러니까 큰 거 한방을 노리는 도박적이며 공격적인 플레이 타입을 말한다. [[홈런]] 아니면 [[삼진(야구)|삼진]]인 [[당겨치기|큰 스윙]]으로 [[선풍기#s-12|일관하는]] [[타자(야구)|타자]]라든지,[* 이게 심각해지면 [[공갈포]]가 된다.] [[크로스#s-1.2]]를 노리고 최전방에 뛰어들어놓고 [[오범석|돌아오지 않는 윙백]]이나... [[3점 슛|양궁농구]]라든가... === 一か八か(Ichika Bachika) === [[일본]]에서 쓰이는 관용구. 뜻을 보면 '1 아니면 8'인데, 이 역시 [[도박]] 관련 용어. 밑에서 언급할 만화(일본만화의 경우)에서 등장인물이 내뱉는 대사는 십중팔구가 이거. 유래는 두 [[주사위]]의 합의 홀짝을 맞추는 도박인 정반(丁半, 쵸우한)이란 도박[* [[자토이치]]시리즈에서 단골로 등장하는 주사위도박이 바로 이것이다.]. 홀짝을 뜻하는 두 한자의 윗부분의 모양이 각각 숫자 1과 8인 것에서 유래.[* 짝(丁 → 一), 홀(半 → 八). 짝수를 나타내는 1은 홀수고, 홀수를 나타내는 8은 짝수인 게 아이러니.] 따라서 어느 쪽이 모이고 어느 쪽이 도라고 정해진 건 아니므로 '모 아니면 도'와는 차이를 보인다. 오히려 전술한 문단인 '될 대로 되라'와 같은 의미. [[철권 시리즈]]의 초대 주인공인 [[미시마 카즈야]]의 이름은 이것을 모태로 만들어졌다. [[beatmania IIDX]]의 [[one or eight]]은 이 어구를 영어로 그대로 직역한 것. ===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high-risk high-return) === 주로 게임에서 쓰는 말로 이론상의 고점은 높으나 저점도 한없이 낮은 것을 표현할 때 자주 쓰인다. == 관련 문서 == * [[라이벌]] * [[양날검]] *[[흑백논리]] * [[KIA 타이거즈]](2015-)[* 와일드카드 결정전이 생긴 이후에 포스트시즌을 할 때 준플레이오프와 플레이오프를 치른 적이 단 한번도 없다, 3번은 와일드카드전에서 떨어졌고, 1번은 한국시리즈에 직행했기 때문이다.] * --[[딜레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