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강서구(부산)의 고등학교]][[분류:2009년 개교]][[분류:남녀공학 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명지오션시티]]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 부산광역시 강서구의 고등학교)] ||<-2> '''{{{#white {{{+1 명호고등학교}}}[br]鳴湖高等學校[br]Myeongho High School}}}''' || ||<-2> [[파일:명호고로고.png|width=45%]] || || '''개교''' ||[[2009년]] [[3월 2일]] || || '''유형''' ||[[일반계 고등학교]] || || '''성별''' ||[[남녀공학]] || || '''형태''' ||[[공립학교]] || || '''교장''' ||제5대 김영원 || || '''교훈''' ||'''학습인(學習人) · 도덕인(道德人) · 세계인(世界人)''' || || '''교화''' ||[[소나무]] || || '''교목''' ||[[산당화]] || || '''교색'''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2c308b; font-size: 0.9em" {{{#ffffff '''Cosmic Cobalt'''}}}}}}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ae5f1c; font-size: 0.9em" {{{#ffffff '''Light Brown'''}}}}}}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c005b; font-size: 0.9em" {{{#ffffff '''Cetacean Blu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0.9em" {{{#191919 '''whit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ffffff '''Black'''}}}}}} || || '''학생 수''' ||764명 (2023.03.20) || || '''교직원 수''' ||69명 (2023.03.20) || || '''관할 교육청''' ||[[부산광역시교육청]][br]([[부산광역시북부교육지원청]]) || || '''주소'''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광역시)|강서구]] [[명지오션시티2로]] 97[br]([[명지동(부산)|명지동]]) || || '''전화번호''' ||051-220-1343 (행정실)[br]051-220-1300 (교무실) || || '''홈페이지''' ||[[https://school.busanedu.net/myeongho-h|[[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오션시티 명호고등학교, 너비=100%)]}}} || || {{{#white '''명호고등학교'''}}}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명호고등학교 전경(2).jpg|width=100%]] || || {{{#ffffff '''명호고등학교 전경'''}}} || >"학습인(學習人) · 도덕인(道德人) · 세계인(世界人)" > 슬로건을 따로 만들어두지 않아 교훈을 대체하여 사용하고있다 {{{#455ea8 '''명호고등학교(鳴旨高等學校, Myeongho High School)'''}}}는 부산 [[강서구(부산)|강서구]] [[명지동(부산)|명지동]] [[명지오션시티]] 내에 위치한 [[남녀공학]] [[공립]] [[일반계 고등학교]]로서 [[경일고등학교(부산)|경일고등학교]]와 마찬가지로 '''명지동에 위치한 단 둘 뿐인 고등학교'''다. 자매 학교로 [[명호초등학교]]와 [[명호중학교]]가 있다. 둘 다 [[명지오션시티]]가 개발이 거의 완료될 무렵인 2009년 3월에 동시에 개교하였으며, [[명호초등학교]]를 제외한 [[명호고등학교]]와[[명호중학교]]는 [[명호초등학교]]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두 학교가 서로 나란히 붙어 있다. [[명지오션시티]]의 유일한 고등학교이여, 학교 규모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학생 수 덕분에 고등학교 예산이 많이 내려오는 고등학교이다. --학생부 말로는 예산이 많아도 들어가는 곳을 생각하면, 예산이 한참 부족하다 한다.-- [[명호중학교]]에서뿐만 아니라 [[신호중학교]], [[경일중학교]], [[명지중학교]] 등 주변 지역의 [[과밀학급]] 현상이 심각해지기 때문에, 고등학교 원서 접수 기간이 되면 학생들의 긴장감이 최대치로 고조화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도 그럴것이 명호고 지망에 떨어지면 멀리 떨어져 있는 [[경일고등학교(부산)|경일고등학교]]로 가거나 낙동강을 건너 사하구 소재 고등학교로 진학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전국 [[고교학점제]] 시행학교이며 2, 3학년의 수업과목을 학생 스스로가 진로에 맞춰 직접 선택/수강할 수 있다[* [[고교학점제]]]. 물론 적게 선택하여 학점 최저기준을 못맞추거나 출석부족, 성적부족 등의 사유로 최저학점을 못 맞춰도 졸업을 하지 못하고 [[유급]]하는 사태가 일어난다. (고교학점제 졸업학점 커트라인이 생각보다 낮은건지는 몰라도 유급한 학생이 있다는 소리는 못 들어봤다) [[고교학점제]] 시스템은 2025 [[고교학점제]] 전국 시행 시 전국 시스템에 맞춰 개편될 예정이라고 한다 == 학교 연혁 == || {{{#white 날짜}}} || 연혁 || || {{{#white 2008.11.05}}} ||명호고등학교 설립 인가(24학급, 부산광역시교육청)|| || {{{#white 2009.03.01}}} ||초대 박찬규 교장선생님 취임|| || {{{#white 2009.03.02}}} ||제1회 입학식(8학급, 총 248명)|| || {{{#white 2010.02.05}}} ||중 * 고교 영어신문콘테스트 학교 표창(부산광역시교육감)|| || {{{#white 2010.06.14}}}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교육과정 혁신형 창의경영학교』선정(3년간)|| || {{{#white 2010.12.30}}} ||『사교육 없는 학교』우수학교 선정(교육과학기술부장관)|| || {{{#white 2010.12.30}}} ||『2010년 대한민국 좋은 학교 박람회』공로 표창장(교육과학기술부장관)|| || {{{#white 2010.03.01}}} ||2011학년도부터 교육과학기술부 자율학교 지정|| || {{{#white 2010.07.22}}} ||선진형 교과교실제 운영학교 지정|| || {{{#white 2010.12.13}}} ||학교평가 우수학교 표창(부산교육연구원장)|| || {{{#white 2011.12.14}}}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 표창(교육과학기술부장관)|| || {{{#white 2011.12.20}}} ||사교육절감형 창의경영학교 우수학교 표창(교육과학기술부장관)|| || {{{#white 2012.02.09}}} ||제1회 졸업식(8학급, 남141명, 여84명, 총225명)|| || {{{#white 2012.03.01}}} ||사교육절감형 창의경영학교 선도학교 지정(2년간)|| || {{{#white 2012.11.28}}} ||시민과 함께 하는 연구학교 박람회(사교육절감형 창의경영학교 부문)|| || {{{#white 2013.03.01}}} ||제2대 옥국환 교장선생님 취임. 고교교육력 제고 시범학교 재지정|| || {{{#white 2013.03.28}}} ||금연선도 학교 선정|| || {{{#white 2014.02.12}}} ||제3회 졸업식(8학급, 156명)|| || {{{#white 2014.02.28}}}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운영 우수학교 표창(교육부장관)|| || {{{#white 2014.03.01}}} ||부산광역시 교육청(교육부 요청) 진로교육(SCEP) 연구학교 지정(2년)|| || {{{#white 2014.10.23}}} ||전국 일반고 교육역량강화 우수학교 표창(교육부장관)|| || {{{#white 2014.12.19}}} ||2014년 교육활동 유공학교 교육감 표창(학교 급식 부문)|| || {{{#white 2015.02.11}}} ||제4회 졸업식(8개 학급, 166명, 총704명)|| || {{{#white 2015.03.02}}} ||제7회 입학식(8개 학급, 193명)|| || {{{#white 2015.11.26}}} ||학력신장 우수학교 표창(부산광역시교육감)|| || {{{#white 2015.12.07}}} ||2015년 현장체험학습 우수학교 표창(부산광역시교육감)|| || {{{#white 2016.02.12}}} ||제5회 졸업식(8개 학급, 192명, 총926명)|| || {{{#white 2016.03.02}}} ||제8회 입학식(7개 학급, 218명)|| || {{{#white 2016.03.15}}} ||2016학년도 수능 운영 유공학교 교육부장관 표창|| || {{{#white 2017.02.14}}} ||제6회 졸업식(187명, 총 1113명 )|| || {{{#white 2017.03.01}}} ||제3대 정성오 교장선생님 취임|| || {{{#white 2017.03.02}}} ||제9회 입학식(234명)|| || {{{#white 2017.03.02}}} ||2017년 소프트웨어(SW)교육 연구학교 선정(2년간)|| || {{{#white 2017.04.17}}} ||창의융합형 과학실 모델학교 선정|| || {{{#white 2018.01.22}}}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정 영재학급 설치 승인(2018학년도부터 운영)|| || {{{#white 2018.04.21}}} ||과학교육 유공학교 표창(부산광역시교육감)|| || {{{#white 2018.11.27}}} ||학력신장 우수학교 표창(부산광역시교육감)|| || {{{#white 2018.12.20}}} ||창의융합형 과학실 모델학교 우수학교 표창(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 || {{{#white 2018.12.31}}} ||학교경영 우수학교 표창(부산광역시교육감)|| || {{{#white 2019.03.01}}} ||제4대 이상민 교장선생님 취임|| || {{{#white 2019.03.01}}} ||교육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2019~2022, 3년간)|| || {{{#white 2019.09.27}}} ||2019 교육감배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우승(여고부 배구)|| || {{{#white 2020.02.10}}} ||IDEA형 교사연구회 우수학교 표창(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 || {{{#white 2021.03.01}}} ||제5대 김영원 교장선생님 취임|| || {{{#white 2021.07.23}}} ||허승 판사님 초청 원북 강연|| || {{{#white 2021.12.20}}} ||학교체육운영평가 유공학교 표창(부산광역시교육감)|| || {{{#white 2022.02.11}}} ||제11회 졸업식(8학급 228명, 누계 남1117명, 여1115명, 총 2232명)|| || {{{#white 2022.03.02}}} ||제14회 입학식(8학급 265명, 남 95명, 여 170명)|| || {{{#white 2023.02.08}}} ||제 12회 졸업식(8학급 236명, 누계 남1233며, 여1235명, 총2468명)|| || {{{#white 2023.03.02}}} ||제15회 입학식(8학급 262명, 남 129명, 여 133명)|| == 학교 상징 == === 교표/교목/교화 === || [[파일:명호고로고.png|width=60%]] || || {{{#ffffff '''명호고등학교 교포(로고)'''}}} || 'MyeongHo' 의 머리글자인 'M'과 'H'를 표현하였으며, 특히 'M'은 책모양을, 가운데를 표현한 'H'는 [[철새도래지]] 지역으로 새 모양을 형상화하였고 뒤의 진한 푸른색은 바람으로 차분하고 안정적인 바다와, 세계로 향한 역동적인 기상을 의미한다 || [[파일:산당화.jpg|width=100%]] || || {{{#ffffff '''명호고등학교 교화ㅣ산당화'''}}} || '''학명'''ㅣChaenomeles speciiosa '''의미'''ㅣ봄에 피어 고고하고 창초한 아름다움을 자랑하며 강인함과 근면함을 상징함 || [[파일:소나무2D.jpg|width=100%]] || || {{{#ffffff '''명호고등학교 교목ㅣ소나무'''}}} || '''학명'''ㅣPinus densiflora '''의미'''ㅣ진취적인 기상과 어떠한 어려움도 이겨낼 수 있는 꿋꿋한 신념과 지조를 의미함 === 교훈 === * '''학습인(學習人) ·도덕인(道德人) ·세계인(世界人)''' || {{{#ffffff '''L'''earner[br]학습인(學習人)}}} || {{{#ffffff '''M'''oral person[br]도덕인(道德人)}}} || {{{#ffffff '''W'''orld people[br]세계인}}} || === 교육목표 === >"명호고의 변치않는 목표" > >학습인·도덕인·세계인을 기르는 교육 >각 단어마다 뜻을 풀어쓰면 > * '''끊임없이''' 지식을 팀구하는 사람이 되어라 > * 언제나 도덕적이고 인품과 성품이 > * 바른 사람으로 거듭나자 > * 세계를 자신의 무대 발판으로 삼고 세계로 > 뻗어가는 사람이 되어라 >가 된다 >"학교의 기대상" > * 학교상: [br]경쟁력있는 학교[br]수월성 교육 학교[br]미래가 보이는 학교 > * 교사상: [br]실력있는 교사[br]헌신하는 교사[br]연구하는 교사 > * 학생상: [br]개성있는 학생[br]실력있는 학생[br]인간미 넘치는 학생 >"중점과제" > * 기초☆기본에 충실한 디지털형 독서☆학습인 > * 개성있고 창의적 사고를 할 줄 아는 창조인 > * 유창한 표현력과 영어☆토론을 잘하는 표현인 > * 네트워트를 잘 활용할 줄 하는 협동인 > * 인간미와 도덕성이 넘치는 건강인 >"목표" > * 기초☆기본교육에 충실한 학교 > * 인간미와 덕성을 키워주는 학교 > * 글로벌 경쟁력을 키워주는 학교 > * 교육공동체가 함께 하는 학교 === 교가 === 명호고등학교 [[교가]]는 [[교가]] 특유의 노래 느낌에서 벗어난 특이 케이스에 속하는 노래이다. 보통의 [[교가]]들이 [[동요]]나 [[행진곡]] 등등의 느낌을 연상시킨다면, [[명호고등학교]]의 교가 일부 파트는 [[일렉트로닉]] 장르의 키워드를 연상시키는 노래로 처음에 입학한 학생들은 이게 뭔 교가냐 라는 반응을 보인다.[* 또한 후술할 후렴의 추임새로 인해 입학 후 처음으로 교가를 들을 때 깜짝 놀라는 학생도 종종 있다.] 이처럼 특유의 중독성[* 아침 등교시간마다 송출하니 [[파블로프의 개]]처럼 무의식적으로 교가를 친숙히 익히게 된다는 것이 맞는 말 같다.] 때문에 1학년 음악 [[수행평가]] 이후로 자주 흥얼거리는 모습을 보인다. 노래소리에서 들리는 색다른 악기로는 [[일렉트릭 기타]]가 있다. 후렴 중간에 [[추임새]]를 넣는데 평상시 교가를 제대로 부르지 않는 학생들도 이 부분에서는 꼭 큰 소리로 열창하곤 한다. >'''명호고등학교 교가''' >작사: 박찬규 >작곡: 박철홍 > >1절 >어릴적 꾸었던 그런 꿈이 아니야 >멀리 바다건너 내이상을 펼치고 >담으려 하는것은 평범한게 아니야 >(세상과 함께하는) >큰 그릇이 될 꺼야 >내 소중한 십대 꿈키우는 고교시절 >젊은땀으로 적시고 미소로 채울꺼야 >되려고 하는것은 내안에 있어 >(후렴) > >2절 >이제 시작 이야 내 나래를 펼칠꺼야 >폭풍 속 에서도 나만의 방식으로 >이루려 하는것은 혼자 할수 없잖아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사람 될 꺼야 >내 소중한 십대 꿈키우는 고교시절 >남과 다름을 즐기고 친구와 함께 해야지 >채우려 하는것은 우리 안에 있어 >(후렴) > >후렴 >거미의 꿈과 사랑을 배우고 말꺼야 >갯벌과 철새들의 영원한 보금자리 >내 영원한 모교 아름다운 명호고 >내 영원한 친구 자랑스런 명호인 [youtube(준비중))] === [[교복]]/[[학생증]] === * (2023년 기준) 명호고등학교의 [[교복]]은 기본적으로 [[동복]]과 [[하복]], [[학교 체육복]] 동복과 [[하복]], [[생활복]]으로 2020년대 들어 생활형 교복을 채택한 다른 학교들과는 달리 [[후드티]], [[야구점퍼]]가 없다. 동절기 교복은 심플하고 준수하게 와인색 포인트가 있는 검은 [[블레이저]]에 검은 바지, 흰 와이셔츠에 빨간 엣지가 있는 회색 조끼, 금색과 빨간색의 대각선 무늬가 있는 넥타이로 구성되어 있다. '아이비 룩'에 가까운 '[[프레피 룩]]'의 형태를 띄고 있으며 동절기 교복만큼은 학생들의 호불호가 덜하다(넥타이만 빼고[* 교복은 단정한데 넥타이가 너무 화려해서 그런 것 같다]) 반면 하복은 하얀 와이셔츠에 검은색의 얇고 긴 바지로 해군 [[정복]] 느낌이 조금 묻어나지만, 학생들이 적응한 후 원래 본인의 사이즈보다 조금 더 큰 사이즈를 구매한 후 여분의 코디템을 더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만 모두가 코디템을 더하기 때문에 튀는 사람 없이 모두가 무난무난한 모습으로 진짜 작정하고 꾸미는 것이 아니리면 별다른 특이점을 느끼지 못한다.] 명호고등학교는 [[명찰]] 뿐만 아니라 동복 체육복(상의) 색을 학년별로 다르게 지정함으로서 학교 체육복 색으로 학년을 구분 할 수 있게 하였다.[* 2023학년도 기준으로 1학년=하늘색, 2학년=빨간색, 3학년=노란색.]곤색 베이스를 바탕으로 동복은 옷 극 상단에 색이 구분되어 있으며, 팔 옆과 다리 옆에는 스트레이트로 하얀 삼선이 내려와있다 하복은 큰 수정사항 없이 역시 곤색 베이스 민무늬 반팔, 삼선 반바지이다. 여기에서 웃긴 점이 옆 지역 [[특수지 고등학교]]인 [[부산대저고등학교]]와 체육복 디자인이 동일하다. [[생활복]]은 거친 면 재질의 회색 버튼다운 형식의 상의, 반바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래 적응한 학생들이라도 대부분 생활복을 기피하고 체육복을 선호하는 모습을 보였다. [[학생증]]은 하얀 바탕에 학년 색, 학생의 사진, 이름이 앞에 위치하고있고 뒤에는 학년 반 기재란, 학생 바코드[* 아침에 출석확인을 하는 방법이 이 바코드 리더기에 학생증을 [[태그]]하는 것이다.]가 인쇄되어 있다. == 학교 시설 == === 본관(앞 건물) === 학교 [[정문]]으로 들어오자마자 눈 앞에 보이는 건물이다. 기본적으로 학생들이 학생시절의 반 이상을 보내는 교실, 학생실([[교무실]]) 과, 소(小)학생실 그리고 보건, 교장실 등등의 [[메이저]]한 공간과 각 층마다 엘리베이터가 위치하여 있다 학생은 계단으로 이동하는 것이 국룰이나 선생님들의 눈을 피해 이용하는 학생이 많다. * 1층: (동쪽부터) [[보건실]][* 학교 자체의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작기 때문에 보건실도 작을 수 밖에 없으나 이를 감안하더라도 상당히 협소하다.], 통합학급실, [[교장실]], [[교무실]], [[행정실]], 경비실, [[도서실]], 인문탐구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맨 동쪽과 맨 서쪽의 바로 앞은 출입구가 있다. * 2층: 여교사 휴게실, 남교사 휴게실, 인쇄실, [[교무실]], [[방송실]], 학생부실(스마트 기자재실), 생활지도실, 시청각실, 제1컴퓨터실로 이루어져 있다. * 3층: 1학년 교실, 교무실(영어 * 과학 연구실), 소교무실(상담1실)로 이루어져 있다. (보통 교무실의 선생님 구성은 각 층 학년의 담임선생님이 머무르신다.) 서쪽에는 상당히 넓은 [[베란다]]가 존재한다. * 4층: 2학년 교실, 교무실(수학 * 사회 연구실), 소교무실(상담2실)로 이루어져 있다. * 5층: 3학년 교실, 교무실(국어 연구실), 소교무실(상담3실)로 이루어져 있다. * 옥상 : 평상시 학생들에게는 개방되지 않으며 옥상 동쪽에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 후관(뒷 건물) === 주 공간 외의 교실들이 모두 몰려있다. 또한 본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늘에서 보면 [[H]] 모양을 하고 있다. * 1층: (여기서도 동일하게 동쪽부터)창의융합실(과학[[실험실]]), 준비실, [[무한상상실]][* 여기도 역시 [[실험실]]이지만 영재학급 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곳이다], 회의실, [[급식실]]이 있다. * 2층: 건식과학실, 과학준비실, 습식과학실, 진로활동실, [[강당]]이 있다. * 3층: 탐구실 1~6, 영어전용실, [[탈의실]], 홈베이스 ①[*A 교과교실제를 채택한 학교만큼 학생들의 [[사물함]]이 위치한 공간을 마련하였다.], 제2컴퓨터실(융합 인재 미디어실), [[베란다]]가 있다. * 4층: [[미술실]], 미술준비실, 수학교과실, 기술가정실, [[탈의실]], 홈베이스 ②[*A 교과교실제를 채택한 학교만큼 학생들의 [[사물함]]이 위치한 공간을 마련하였다.], 통합인문미디어실, [[베란다]]가 있다. * 5층: 무용실, 음악 무용 준비실, 음악실, 진로진학 상담실, [[탈의실]]. 홈베이스, 응용과학미디어실, [[베란다]]가 있다. === [[운동장]] === 모래 [[운동장]]과 [[농구장]]이 위치해 있다. 중앙 [[교단]] 아래 작은 비품창고가 있으며 해당 창고 안엔 축구용품, 농구용품, 배구용품 등 많은 체육장비들을 보관하는 장소다. 뒷편엔 나무그늘이 늘어서있으며 [[철봉]]이 위치하고 양 옆엔 [[식수대]]가, 앞쪽엔 휴식공간(일명 [[스탠드]])가 위치하여 있다. 버스킹 이벤트나 단기 행사, 화재훈련, 지진훈련 등등은 모두 운동장에서 진행된다. === [[강당]](체육실) === 2층 후관에 위치하고 있으며 작지 않은 크기와 안에 수많은 운동기구, 체육 수업을 위한 다양한 소품들이 있다. 강당 기준으로 오른편에는 순서대로 [[탈의실]] 및 [[샤워실]], 체력단련실이 위치하며, 그 옆엔 [[교무실]]이 배치되어 있다. 더 앞으로 나아가 맨 앞 스테이지 무대 오른쪽 무대창고, 왼쪽 방송실 배치로 이루어져 있다. 체육관 내부엔 거대한 농구코트와 배구코트, 피구코트가 준비되어 있고 맨 앞과 뒤에 천장조하식 농구대[* 평소 천장에 접혀있다가 쭉 내려오는 농구대]가 달려있다.[* 장비와 공간의 필요성이 큰 만큼 1년동안의 체육시간 반은 체육관에서 진행된다.] 양 사각 모퉁이에 모두 에어컨이 배치되어 있어 내부 온도조절이 가능하며, 학교 예산이 많아 겨울엔 난방을 여름엔 냉방을 '''빵빵하게''' 틀어준다. 교내 콘테스트나 강연 같은 큰 행사는 대부분 이곳에서 진행되며 점심시간에 자유로이 출입이 가능한 곳이기도 하였다. 그런 행사를 담당하는 스테이지 무대 위에 하이라이트 조명과 대형 커튼이 달려있으며 커튼 뒤쪽에 수직 이동 태극기가 있다. === [[급식실]] === 금식실로 들어가는 입구로 가는 루트가 두 곳이 있으며 하나는 후관, 다른 하나는 본관과 후관 사이를 통해 가는 경로다.[* 1·3 학년은 후관 계단으로 돌아서 내려가고 2학년은 본관 계단을 타고 내려가 이동한다.] 입구와 출구 각각 하나씩이며 배식차는 입구 앞쪽에, 퇴식차는 출구 직전에 위치하여 있다. 식탁은 번호가 적혀 있어 [[학번]]에 따라 자리를 배정받아 앉아서 식사를 하며 입구에 급식표를 안내해주는 벽걸이 TV가 배치되어 있다. --간혹 석식 급식비를 안내고 석식을 먹는 학생들이 있어 [[학생증]]을 리더기에 태그하거나 노트북에 키패드로 학번이름을 입력하여 인증하는 시스템이 배치되었다[* 석식 학생증 시스템은 2022년도 이후 중단되었다].-- === 쉼터 === 두 건물(본관, 후관) 사이에 위치하여있으며, 식물 관련 동아리 학생들이 과일이나 식물을 기르는 곳이기도 하다[* 물론 식물과 학생이 키운 걸 몰래 먹는 학생도 있다.]. 지하로 내려가는 곳이 있어 점심시간만 되면, 외부에서 간식을 사고자 하는 학생들이 이곳을 통해 학교를 몰래 빠져나간다.[* 물론 [[학교보안관]]이나 생활지도 선생님께 걸리면 [[벌점]]을 받는다.] === 지하주차장 === 교직원, 학부모들의 출입공간으로 학생출입금지 구역이다.(단 하교시간 제외) 그래서 점심시간에 학생들이 몰래 나가 간식거리를 구매하고 돌아오는 주요한 루트로 쓰인다. == 주요 행사 == * 명호꿈타래(명호 M-star) ─ [[학예회]] * [[수학여행]] * [[체육대회]](하계) * [[학교 수련회|간부수련회]][* 원래는 반장+학생회만 가지만 3학년이 공부한다고 자리를 양보하여 1학년 부반장까지 간 사례도 찾아볼 수 있다.] * 교내 주최 행사[* 3.1절 행사, 독도의 날 행사, 한글날 행사, 게릴라 버스킹 등등..] * 문•이과 체육대전 === 학교 일과 === || 활동명 || 시간 || 비고 || || 등교 || 08:00[* 8시까지 등교지만, 일단 빨리가 라는 인식이 대다수라 심하면 1시간 일찍 등교하는 학생들도 있다.] || 8시까지 교문 입구에 위치한 리더기에 학생증을 태그해야 지각처리가 되지 않는다. || || 아침자습 || 08:00~08:20 || 영어듣기/팝송듣기/국어, 수학 자습으로 나뉘어져 있다. || || 조례 및 1교시 준비 || 08:10~08:20 || || || 1교시 || 08:30~09:20 || || || 2교시 || 09:30~10:20 || || || 3교시 || 10:30~11:20 || || || 4교시 || 11:30~12:20 || || || 점심시간 || 12:20~13:20 || 급식 내용은 급식실 직전 벽걸이 TV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5교시 || 13:20~14:10 || || || 6교시 || 14:30~15:20 || || || 7교시 || 15:30~16:20 || || || 8교시 || 16:30~17:20 || 학교 방과후 시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 저녁식사 및 휴식 || 17:30~18:20 || || || 9교시 || 18:20~19:10 || || || 야간자율학습 1교시 || 19:10~20:50 || || || 야간자율학습 2교시 || 21:00~22:00 || || 이외에도 축제기간이나 특별한 행사기간, 주말에는 일과가 변경된다. == 출신 인물 == *[[아이엔]]^^(자퇴)^^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한신휴플러스/극동스타클래스 정류장: * [[부산 버스 3|3]] * [[부산 버스 55-1|55-1]] * [[부산 버스 55-2|55-2]] * [[부산 버스 124|124]] * [[부산 버스 128-1|128-1]] * [[부산 버스 171|171]] * [[부산 버스 520|520]] * [[부산 버스 1005|1005]] * [[부산 버스 강서21|강서21]] * 명호중·고등학교 정류장: * [[부산 버스 124]] 124번을 제와한 다른 노선들은 명호고등학교와 바로 연계가 되지 않고 떨어진 위치인 정류장에 정차한다. 2023년 7월 29일부터 [[부산 버스 강서20|강서20번]]이 [[가덕도동]]으로 연장되어 더 이상 학교 앞 정류장을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이제는 여기서 하차하여 걸어가는 방법밖에 없다. 55-1번은 출근 전용 노선이라 사실상 이용할 수가 없으며 1005번은 비싼 급행노선이라 제외된다. 2023년 11월 4일부로 [[부산 버스 124|124번]]이 학교 바로 앞쪽을 거쳐가도록 노선조정되어 운행한다. == 학교 특징 == * [[정관신도시]]에 있는 [[신정고등학교(부산)|신정고등학교]][* 한 학년 당 10~11학급, 총 30~33개 학급을 수용할 수 있게 증축해야 한다. 그리고 모전고등학교와 달산고등학교가 개교해야 한다.], 수원시 광교신도시에 있는 [[광교고등학교]][* 한 학년 당 13~14학급, 총 39~42개 학급을 수용할 수 있게 증축해야 한다. 그리고 다산고등학교가 개교해야 한다.], 용인시 [[보라고등학교]]와[* 한 학년 당 12학급, 총 36개 학급을 수용할 수 있게 증축해야 한다. 그리고 나곡고등학교가 개교해야 한다.] 함께 비정상적으로 작게 지어진 학교이다.[* 명호고는 서명고등학교가 개교할 경우 초경량 학교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학교 총량제]] 때문에 계속 초경량 학교로 남을 것 같다. ][* [[부산남고등학교]]가 이전하거나 [[경일고등학교(부산)|경일고등학교]]나 [[광명고등학교(부산)|광명고등학교]]가 폐교하고 명지고등학교가 신설된다고 해도 명호고등학교는 초경량 학교에서 벗어날 수 없다. 애초에 명호고등학교는 명지오션시티에 있으며 [[부산남고등학교]]가 이전하거나 명지고등학교가 신설되는 장소는 [[명지국제신도시]]에 있다. 그리고 명호고등학교는 명지오션시티에 사는 학생들, 넓게는 가덕도동에 위치한 덕문고등학교 배정을 원치 않는 가덕도에 사는 학생들까지 수용하기 위해서 지어졌지 명지국제신도시에 사는 학생들을 수용하기 위해 지어진 곳이 아니다. [[학교 총량제]] 때문에 명호고등학교에 [[과밀학급]] 문제가 상당히 발생하고 있다.] == 기타 == * 서로 마주보고 위치한 [[명호중학교]]에서 이 학교로 진학하는 비율이 가장 높으며 [[명지국제신도시]] 내에 위치한 [[명지중학교(부산)|명지중학교]]나 [[경일중학교(부산)|경일중학교]]에서도 이 학교로 진학하기도 한다.[* 추후 2022년 개교한 [[오션중학교]]에서 명호고등학교로 그대로 진학할 가능성이 가장 크다.] 가덕도에서도 특수지 고등학교인 덕문고등학교에 지원하지 않으면 이 학교로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진학하게 되는데, 문제는 가덕도와 가장 가까운 일반 고등학교인 [[진해용원고등학교]]보다 훨씬 멀다.[* 창원시 진해구는 비평준화 지역인데다 광역자치단체 경계가 걸려서 부산 쪽 학생들은 용원고에 배정될 수 없기 때문이다.] 반면 접근성 문제와 [[낙동강하굿둑]] 교통 체증으로 인하여 하굿둑 건너 사하구에서 이 학교로 진학하는 학생은 거의 없다. * 원래 명지오션시티에는 이 학교 말고 고등학교가 하나 더 계획되었으나[* 24~30개 학급 규모] 그 고등학교가 공중분해되면서[* 그 고등학교 부지에는 초등학교가 개교했다. 그리고 초등학교, 중학교 부지는 명지허브유치원과 [[오션중학교]]가 준공되어 2023년 개원·개교하였다. 게다가 고등학교를 지을 수 있는 부지를 모색해봤자 [[호산나교회]] 앞에 있는 그 업무용지 하나밖에 없다. 다른 방법은 명지동 근린공원의 축구장을 철거하고 거기에 고등학교를 신설, 그 축구장은 바로 옆에 있는 잔디밭으로 이전해 주민들과 공동사용(수업이 없을 때 한정)을 하게 하는 방안이 있으나 주민과 학교 둘 다 일정 수준의 피해를 보게 된다.] 명호고등학교의 과밀 현상이 심각해졌다.[* 게다가 명지고등학교의 개교도 무산되면서 명지국제신도시 학생들을 수용할 처지에 놓였다. 당연히 많은 학생들이 낙동강 건너 사하구로 튕겨져 나갔다.] * 지방 일반고라는 수준[* 부산에서 [[좌동]] 다음으로 교육열이 높은 곳이 [[신도시]] 지역인데 [[명지오션시티]]와 [[명지국제신도시]]와 [[정관신도시]]와 [[일광신도시]]가 있다. 다음으로 교육열이 높은 곳이 [[화명동]]과 [[대연동]]과 [[사직동(부산)|사직동]] 등등이 있다. 그리 이상하진 않는다. 거기에 녹산, 가덕도가 영향을 받는 것.]을 생각하였을 때, 년도마다 불특정 과목들의 난이도가 생각보다 높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학교 내 와이파이가 매우 많다. 하지만 비밀번호를 알려주지 않아 그야말로 [[그림의 떡]][* 그래도 꼭 1학년에 1명 이상씩 비번을 어떻게든 찾아내서 공유해주는 친구들이 있다.] * 여러 곳에서 몰려드는 학생들이 상당히 많다. 하지만 막상 다녀보면 학교가 좁다 라는 느낌은 그다지 들지 않는다. 물론 학생수가 많아 [[내신]]을 지원하는 학생들에겐 매우 좋은 환경이며 이에 따라 [[학생부 교과전형]]이 유리한 학교이기도 한다. * 당연히 명지"동" 소재라 [[농어촌특별전형]]이 적용되지는 않는다. * 바로 옆이 바다라 본관에서 오션뷰가 보이는 학교이며 바닷가 라인과 운동장 라인을 따라 [[벚나무]]가 곳곳에 심어져있다. 덕분에 4월만 되면 캠퍼스의 분위기가 상당히 로맨틱해진다. 아침에 흩날리는 [[벚꽃]]잎을 맞으며 등교하는 풍경은 상당히 낭만적이다. 또한, 그 덕분에 학생들은 매 수업마다 야외수업을 핑계로 한 꽃놀이를 나가자고 졸라대기도 한다. 하지만 이 기간에 로맨틱해진 캠퍼스의 분위기를 타 [[CC]]의 생성이 굉장히 활발해진다. 또한 학교내 도로를 중심으로 심어져 있는 벚꽃의 개화 시기가 [[중간고사]]와 절묘하게 맞물리기도 한다. * [[학교총량제]]로 인한 [[과밀학급]] 해소를 위해 [[영도구]] [[동삼동]] 소재 [[부산남고등학교]]가 2025학년도 이후 명지국제신도시 내로 이전해올 예정이라 과밀학급 문제는 상당 수 완화될 예정이다. * 날씨가 맑고 [[미세먼지]]가 적은 날에는 3학년 교실이 있는 5층 창가를 통해 [[대마도]]를 육안으로 볼 수 있다. 대마도로부터 비슷한 거리에 위치한 부산항 전망대에서도 대마도를 육안으로 볼 수 있다. [* 약 70km 떨어진 대마도를 육안으로 확인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부산에서 관찰된 대마도의 모습은 [[신기루]]라는 설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