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5159e, #0a0a48, #15159e, #0a0a48)" {{{#f1db37 '''''{{{+2 ^^{{{#ff0 명탐정}}}^^}}}{{{+5 {{{#!html 코난}}}}}}'' {{{+2 {{{#fff :}}}}}} {{{+2 {{{#!html 감청}}}}}}{{{#!html 의}}} {{{+2 {{{#!html 권}}}}}}''' (2019)[br]''Detective Conan: The Fist of Blue Sapphire''[br]'''名探偵コナン: 紺青の[ruby(拳, ruby=フィスト)]'''}}}}}} || ||<-5>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 국내 공식 포스터.jpg|width=100%]]}}} || ||<-5><^|1>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타 포스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w_n0lLUUAA2Hzd.jpg|width=100%]]}}} || || '''원판 메인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감청원화.jpg|width=100%]]}}} || || '''원판 원화 포스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감청가로.jpg|width=100%]]}}}|| || '''가로 포스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7amXlOUYAAVWf4.jpg|width=100%]]}}}|| || '''메인 포스터 히라이 ver.''' ||}}}}}}}}} || ||<-5>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명탐정 코난 극장판]] 시리즈''' || || [[명탐정 코난: 제로의 집행인]] || → ||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 || → || [[명탐정 코난: 비색의 탄환]] || ||<-5> || || '''{{{#f1db37 장르}}}''' ||<-4>[[애니메이션]], [[추리]], [[미스터리]], [[서스펜스]], [[모험]] || || '''{{{#f1db37 원작}}}''' ||<-4>[[아오야마 고쇼]] || || '''{{{#f1db37 감독}}}''' ||<-4>나가오카 치카(永岡智佳) || || '''{{{#f1db37 각본}}}''' ||<-4>오쿠라 타카히로(大倉崇裕) || || '''{{{#f1db37 음악}}}''' ||<-4>오노 카츠오(大野克夫) || || '''{{{#f1db37 주제가}}}''' ||<-4>[[토사카 히로오미]] - [[BLUE SAPPHIRE]] || ||<|2> '''{{{#f1db37 주연}}}'''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3>[[타카야마 미나미]], [[야마자키 와카나]], [[코야마 리키야]], [[야마구치 캇페이]], [[히야마 노부유키]], [[마츠이 나오코]], [[오가타 켄이치]], [[이와이 유키코]], [[타카기 와타루]], [[오타니 이쿠에]], [[하야시바라 메구미]]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3>[[김선혜]],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이현진(성우)|이현진]], [[이정구]], [[신용우]], [[이주창]], [[이용신]], [[황원]], [[한인숙]], [[여민정]], [[정선혜(성우)|정신혜]], [[우정신]] || || '''{{{#f1db37 프로듀서}}}''' ||<-4>콘도 슈호(近藤秀峰)[br]요네쿠라 이사토(米倉功人)[br]이시야마 케이이치(石山桂一) || || '''{{{#f1db37 캐릭터 디자인}}}''' ||<-4><|2>[[스도 마사토모]] || || '''{{{#f1db37 총작화감독}}}''' || || '''{{{#f1db37 작화감독}}}''' ||<-4>노타케 히로유키(野武洋行)[br]타카하시 나리유키(高橋成之)[br]시미즈 요시하루(清水義治)[br]히로나카 치에미(広中千恵美)[br]이와이 노부유키(岩井伸之) || || '''{{{#f1db37 액션 작화감독}}}''' ||<-4>카나이 지로(金井次朗)[br][[호리우치 히로유키]] || || '''{{{#f1db37 이펙트 작화감독}}}''' ||<-4>[[하시모토 타카시(애니메이터)|하시모토 타카시]] || || '''{{{#f1db37 미술감독}}}''' ||<-4>후쿠시마 코키(福島孝喜)[br]사토 마사루(佐藤勝) || || '''{{{#f1db37 색채설계}}}''' ||<-4>나카오 후사코(中尾総子) || || '''{{{#f1db37 촬영감독}}}''' ||<-4>니시야마 진(西山仁) || || '''{{{#f1db37 편집}}}''' ||<-4>오카다 테루미츠(岡田輝満) || || '''{{{#f1db37 음향감독}}}''' ||<-4>우라카미 야스유키(浦上靖之)[br]우라카미 케이코(浦上慶子) || || '''{{{#f1db37 음향효과}}}''' ||<-4>요코야마 마사카즈(横山正和)[br]요코야마 아키(横山亜紀)[br]야마다 카오리(山田香織) || || '''{{{#f1db37 CG감독}}}''' ||<-4>마츠쿠라 히로키(松倉大樹)[br]코이와 히로미츠(小岩寛満) || || '''{{{#f1db37 애니메이션 제작}}}''' ||<-4>[[TMS 엔터테인먼트]] / V1 Studio || || '''{{{#f1db37 제작}}}''' ||<-4>명탐정 코난 [[제작위원회]][br]{{{-3 ([[쇼가쿠칸]], [[요미우리 테레비]], [[닛폰 테레비]], [[쇼가쿠칸 슈에이샤 프로덕션|ShoPro]], [[도호]], [[TMS 엔터테인먼트]])}}} || || '''{{{#f1db37 수입사}}}''' ||<-4>[[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CJ ENM]][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화샤필름]] || || '''{{{#f1db37 배급사}}}''' ||<-4>[[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호]][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CJ ENM MOVIE]][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화샤필름]] || || '''{{{#f1db37 개봉일}}}''' ||<-4>[[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4월 12일]][br][[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0]] [[2019년]] [[6월 13일]][br][[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0]] [[2019년]] [[6월 13일]] [br][[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0]] [[2019년]] [[6월 17일]][br][[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2019년]] [[7월 1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7월 24일]][br][[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2019년]] [[8월 8일]][br][[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2019년]] [[8월 15일]][br][[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0]] [[2019년]] [[8월 23일]][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2019년]] [[9월 13일]][br][[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2019년]] [[11월 8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1년]] [[3월 16일]] || || '''{{{#f1db37 4DX 재개봉일}}}''' ||<-4>[[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8월 23일]][br][[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2019년]] [[8월 29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11월 26일]]--^^(개봉 취소)^^ || || '''{{{#f1db37 상영 시간}}}''' ||<-4>109분 || || '''{{{#f1db37 월드 박스오피스}}}''' ||<-4>'''$115,570,314''' (최종 [[https://www.boxofficemojo.com/movies/intl/?page=&wk=2019W15&id=_fDETECTIVECONANTH04|기준]]) || || '''{{{#f1db37 일본 박스오피스}}}''' ||<-4>'''$81,125,047'''[* 역대 코난 극장판 흥행 3위, [[흑철의 어영]]에게 1위 자리를 내주었다.] (최종 [[https://www.boxofficemojo.com/movies/intl/?page=&wk=2019W15&id=_fDETECTIVECONANTH04|기준]]) || || '''{{{#f1db37 대한민국 총 관객 수}}}''' ||<-4>'''220,631명''' ^^(2023년 9월 26일 기준)^^ || || '''{{{#f1db37 홈페이지}}}''' ||<-4>[[https://www.conan-movie.jp/|홈페이지]] || || '''{{{#f1db37 엠블럼}}}''' ||<-4>[[파일:감청의 권 엠블럼.png|width=60]]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1db37 상영등급}}}]]''' ||<-4>[[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2세이상_초기.svg|width=6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감청의 권(2019).png]] > '''Never let you go...''' > '''이제 결코 당신에게서 떠나지 않겠습니다...''' >---- >원화 포스터 > '''[[에도가와 코난|진실]] VS [[괴도 키드|기술]] VS [[쿄고쿠 마코토|축격]], 승부를 결정하는 [ruby(삼위일체, ruby=트리니티)] 배틀 미스터리'''[* [[기술]](技術)이 아니라 '기이한 재주'를 뜻하는 기술(奇術)이다. [[은빛 날개의 마술사]]의 원제목에서 사용한 단어이다.] >---- > 극장 포스터 >'''전설의 보물 '블루 사파이어'를 둘러싼 배틀 미스터리!''' >---- > 국내판 포스터 [[2019년]] [[4월 12일]]에 개봉한 명탐정 코난 극장판 '''제23기'''. 이번 작품의 주요 인물은 [[괴도 키드]]와 [[쿄고쿠 마코토]], [[스즈키 소노코]]이다. === 제작진 === * 일본 측 스태프 * 원작: 아오야마 고쇼(소학관 [[소년 선데이]]에서 [[명탐정 코난]] 연재 중) * 감독: 나가오카 치카 * 각본: 오쿠라 다카히로 * 음악: 오노 카츠오 * 애니메이션 제작: TMS/V1 Studio * 제작: [[쇼가쿠칸|소학관]], [[요미우리 TV 방송|요미우리 TV]], [[닛폰 테레비]], [[쇼가쿠칸|Shopro]], [[도호]], [[TMS 엔터테인먼트]] * 배급: [[도호]]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KGRtRw2a3k)]}}}|| || {{{#f1db37 '''30초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O33yO6Nvvo)]}}}|| || {{{#f1db37 '''30초 예고편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X-JSRWnH1Y)]}}}|| || {{{#f1db37 '''90초 메인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I1UzSoxl2U)]}}}|| || {{{#f1db37 '''코멘터리 특보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oUUSNhNyyk)]}}}|| || {{{#f1db37 '''TVCM 배틀편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l5Fl2k_8M8)]}}}|| || {{{#f1db37 '''TVCM 미스테리편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7WXdvqAovg)]}}}|| || {{{#f1db37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북두의 권』 피스트 배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Ur662tWhEg)]}}}|| || {{{#f1db37 '''『어벤져스: 엔드게임』&『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의 태그 무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bTO0Qa1Gvo)]}}}|| || {{{#f1db37 '''국내 30초 예고편'''}}} || == 시놉시스 == > 19세기 말에 해적선과 함께 싱가포르 해역에 가라앉았다고 알려진 세계 최대의 블루 사파이어 '감청의 권'. > 현지의 부자가 회수를 계획, 정식 무대에 그 모습을 드러냈을 때, [[마리나베이 샌즈 호텔|마리나 베이 샌즈]]에서 살인사건이 발생. > 현장에는 괴도 키드의 피로 얼룩진 예고장이 남아있었다. > 한편, 싱가포르에서 개최되는 가라테 토너먼트를 관전하기 위해, 란과 소노코는 현지를 방문했다. > 여권을 소지하고 있지 않아 해외로 출국할 수 없는 코난은 집을 볼 터였지만 > 그를 이용하려는 키드의 기이한 방법으로 강제로 싱가포르로 끌려와버린다. > 키드를 따르지 않으면 일본으로 돌아갈 수조차 없는 코난은 안경, 손목시계, 옷 등을 모두 빼앗기고 변장하게 된다. > 그 정체를 알아채지 못한 란이 이름을 묻자, 재빨리 아서 히라이라고 이름을 댄다. > 이윽고, 키드는 어느 저택의 지하 금고에 블루 사파이어가 잠들어있다는 정보를 얻는다. > 아주 간단하게 침입 성공했다고 생각했지만, 너무 위험한 함정이 키드를 기다리고 있었다. > 막아선 것은 400전 무패의 최강의 가라테 선수 쿄고쿠 마코토. 키드의 운명은… > 그리고 불길한 뭔가를 전조하듯 싱가포르의 상징 머라이언에서 진홍색으로 물든 물이 방출된다! > ---- > [[https://www.cinematoday.jp/news/N0105361?fbclid=IwAR3VKVHV6mKgRWBRcbFgYjOmQxF9cRDFrqZ1Q20tsVz9Ek82Q2Ura_AwGwY|출처]] == 등장인물 == === 레귤러 등장인물 === 레귤러 등장인물 중 메인 주인공 혹은 비중 있는 인물은 볼드체 처리 각주는 역대 극장판 출연 횟수 * [[에도가와 코난]] / 아서 히라이 役: [[타카야마 미나미]] / [[김선혜]] / [[웬디 리]] [*23회] * [[쿠도 신이치]] 役: [[야마구치 캇페이]] /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 [[그리핀 번스]] [*23회] * [[모리 란]] 役: [[야마자키 와카나]] / [[이현진(성우)|이현진]] / [[크리스티나 발렌주엘라]] [*23회] * [[모리 코고로]] 役: [[코야마 리키야]] / [[이정구]] / [[잰더 모버스]] [*23회] * ''' [[쿠로바 카이토]] / [[괴도 키드]] '''役: [[야마구치 캇페이]] / [[신용우]] / [[그리핀 번스]] [*6회] * ''' [[스즈키 소노코]] '''役: [[마츠이 나오코]] / [[이용신]] / [[제니 콴]] [*23회] * ''' [[쿄고쿠 마코토]] '''役: [[히야마 노부유키]] / [[이주창(성우)|이주창]] / [[크리스찬 라 몬테]] [*1회] * [[아가사 히로시]][*A 본작에선 아쉽게도 이다섯은 비중이 제로에 가깝다.] 役: [[오가타 켄이치]] / [[황원]] / [[마이클 소리치]] [*23회] * [[코지마 겐타]][*A] 役: [[타카기 와타루]] / [[한인숙]] / [[앤드루 러셀]] [*23회] * [[츠부라야 미츠히코]][*A] 役: [[오오타니 이쿠에]] / [[정선혜(성우)|정선혜]] / [[에리카 할래커]] [*23회] * [[요시다 아유미]][*A] 役: [[이와이 유키코]] / [[여민정]] / [[재니스 가와에]] [*23회] * [[하이바라 아이]][*A] [* 비로컬 더빙판에서는 유일하게 성으로 불렀다. 한국 정서 상 모두 성이 아니라 이름을 부르는데, 아무래도 '아이'라고 부르는건 어색해서 그런듯하다.] 役: [[하야시바라 메구미]] / [[우정신]] / [[에리카 멘데즈]] [*21회] * [[나카모리 긴조]] 役: [[이시이 코지]] / [[설영범]][* 작중 내내 등장하지 않고 엔딩크레딧 이후 귀국할때 신이치로 변장한 괴도키드를 체포하기 위해 잠깐 등장한다. 결국은 또 놓쳤다.] / [[커크 손턴]] [*7회] * [[스즈키 지로키치]] 役: [[토미타 코세이]] / [[이종구(배우)|이종구]] [*3회][* 본편에서의 등장은 없으며 엔딩 크레딧에서 해적들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은 호텔의 지원을 위한 수리비를 내주겠다며 호탕하게 웃으며 등장한다.] * [[아카이 슈이치]] 役: [[이케다 슈이치]] / [[이주창]][*쿠키영상 에 잠깐 등장한다.] ===# 오리지널 등장인물 #=== '''굵은 글씨'''는 범인, 취소선은 피해자, '''{{{#!html 빨간 네온}}}'''은 흑막, '''{{{#!html 파란 네온}}}'''은 히든보스. [[파일:DygZYzQUYAAjHUR.jpg]] * '''[[레온 로]]/레온 로우 (レオン・ロー/Leon Lowe[* 류(刘)의 민남어 발음. 독일의 성씨 [[뢰베]]에서 유래한 게르만계 성씨 Lowe도 있으나, 작품 내에서 지속적으로 영어가 제1언어가 아니라는 언질이 있었기에 민남계 성씨일 가능성이 높다.])''' (43) - [[야마자키 이쿠사부로]][* 주로 뮤지컬에서 활동하는 배우이며 [[아베 나츠미]]의 남편이다.] / [[최한]] / 케빈 M 코널리[* 명탐정 코난의 [[퍼니메이션]] 더빙판에서 [[핫토리 헤이지]]의 더빙을 담당한적이 있다.] 경영 컨설턴트. 전직 범죄행동심리학자로 경찰을 도와 많은 사건들을 해결했으며, 현재는 사설 경비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그마저도 상당한 보안을 자랑하여 수입이 좋은 모양. 작중에서는 감청의 권의 소유자인 존한 첸에게 보석의 경비를 의뢰받았으며, 신이치(로 변장한 키드)의 손가락이 가는 것을 보고 "탐정보다는 마술사 같다" 라고 하면서 뛰어난 관찰력을 보여준다. 심지어 키드가 보석을 훔칠 것을 예상하고 금고실 안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역관광을 시키는 등, 상당히 머리가 좋은 인물. [[파일:DygZY6nVAAAXZiW.jpg]] * --레이첼 체옹/레이첼 청-- (レイチェル・チェオング/Rachel Cheong[* 본래대로라면 '청'이라고 읽지만, 원판에서는 [[마인어]]식으로 '체옹'이라고 읽는다.]) (28) - 카와키타 마유코[* 배우이며, 최근 작품으로는 드라마 [[시라토리 레이코입니다!]]의 주연을 맡은 바 있다.][* 일본어 대사의 연기는 어눌한 편이긴 하지만(그래도 해당 캐릭터가 외국인이라는걸 감안하면 제대로 연기한 것이다) 영어 대사는 거의 원어민 수준의 유창한 발음을 보여준다.] / [[강새봄]] / [[멜라 리]] 레온의 미인 비서. 래플스 호텔 롱 바에서 [[싱가폴 슬링|슬링]]을 마시고 있던 코고로의 앞에 나타나서 할 얘기가 있다면서 할 얘기가 있다며 자신의 명함을 건네준다. 그러나 다음날 가라테 경기장 지하에 있는 금고실에서 칼에 찔려 사망한 채 발견.[* 사실 레온 로와 함께 변호사 셰릴린 탄을 살해한 범인이었다! 그러나 이후 레온의 진짜 계획을 알게 되어 너무 두려운 나머지 코고로에게 사실을 실토하려 했다가 발각되어 살해당한 것. --그냥 가만히만 있지--][* 하지만 살아남았어도 결말이 비극으로 끝날 확률이 높다. 레이첼 청도 레온 로의 범죄에 일조한 인물이니 체포되었을 것이다. 그녀의 죄목을 살펴보면 셰릴린 탄 살인 및 시체 유기죄, 수사혼란죄, 살인 방조죄 등 몇몇 범죄들을 저질러서 설령 레이첼 청이 자수한다 해도 사형당할 확률이 매우 높다. 즉, 한마디로 자수를 택하든 가만히 있든 레이첼의 운명은 죽음밖에 없다.] 여담으로, 명탐정 코난의 미인 단역에서 6위에 올랐다. [[https://www.youtube.com/watch?v=pycsrtt7f3s|#]] * '''[[리시 라마나단|{{{#!html 리시 라마나단}}}]]{{{#!html /리시 라마나산}}} (リシ・ラマナサン/Rishi Ramanathan[* [[타밀어]]계 성씨. 피부색도 짙은 것을 보면 인도-일본 혼혈일 가능성이 크다.])''' (29) - [[카지 유우키]] / 도미닉 앨런[* 영어 대사 담당.] / [[김명준(성우)|김명준]] / [[코이 다오]] 실눈 속성의 예비 경찰관. 과거 레온에게 범죄행동심리학을 배웠으며 그 때문에 레온을 존경하고 있다. 범죄행동심리학에 관해서는 전문가 수준으로 에이단 경위도 그를 현장에 자주 부르며 상당히 신임하는 듯. 아버지가 일본인이라고 하며 일본에서 유명한 탐정인 코고로의 엄청난 팬이라고 한다. * --셰릴린 탄-- (シェリリン・タン/Sherilyn Tan[* 진(陳)씨의 민남어 발음.]) (40) - [[아사카와 유우]][* 아사카와 유우의 뛰어난 영어발음을 들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배역. 성우 본인도 코난에 출연하게 되어서 기쁘다는 트윗을 올렸다. [[https://twitter.com/Julia320/status/1116586865748889609?s=19|#]]] / [[김채하]][* 전작에서 [[타치바나 쿄코(명탐정 코난)|도경주]] 변호사를 맡았다.] / [[메간 홀링스헤드]] 나이에 비해 꽤나 동안인 미인 변호사. 과거에는 레온의 고문 변호사를 맡고 있었으나 현재는 모종의 일로 사이가 틀어진듯. 샌즈 몰에서 칼에 찔려 사망한 채로 발견된다. 마코토를 가라테 토너먼트에 초대한 장본인. 차량은 [[쉐보레 콜벳]] C7(7세대) 사양 빨간색이지만, 그녀가 사망함과 동시에 차가 폭발해 주차장과 함께 전소된다. * 나카토미 레이지로 (中富禮次郎) (39) - [[타카하시 히로키]] / [[김정훈(성우)|김정훈]] / [[매튜 데이비드 러드]] 일본에서 이름난 해운회사인 '나카토미 해운'의 사장. 수완가라는 평판을 받지만 정치가에게 뇌물수수 의혹 등 여러 뒷소문이 있다. 초반에 소노코에게 헌팅을 시도하다가 마코토에게 참교육을 당하는 등(...) 실력과는 별개로 인성도 좋지는 못한듯. 5년 전에 싱가포르에 온 적이 있었다는데.... * '''[[헤즈리 자말루딘|{{{#!html 헤즈리 자말루딘}}}]]{{{#!html /헤즐리 자말루딘}}}''' (ヘッズリ・ジャマルッディン/Heazry Jamaluddin[* Jamaluddin은 말레이계 성씨다. 이를 보아 순수 말레이계로 추정.]) (25) - 라이언 드리스 / [[권성혁]] / [[조슈아 토마르]] 레온의 보디가드. 싱가포르에서 상당히 실력 있는 가라테 선수로 마코토의 상대를 맡고 있다. * 존한 첸 (ジョンハン・チェン/Zhonhan Chen) (70) - 제프 매닝[* [[오사카 "3개의 K" 사건]]에서 에드 매케이를 맡았다.] / [[유해무]][* 12기, [[루팡 3세 VS 명탐정 코난]]에서 [[아가사 히로시|브라운 박사]]를 맡았고, 19기에서 다시 맡게 되었다.] 싱가포르 재계의 중진. '감청의 권'의 소유자. 무도를 좋아해서 가라테 토너먼트의 챔피언 벨트에 감청의 권을 박아넣는다. 코고로의 광팬. * 마크 에이단 (マーク・アイダン/Mark Aidan) (38) - 찰스 글로버[* [[오사카 "3개의 K" 사건]]에서 레이 커티스를 맡았다.] / [[최석필]] / [[브룩 찰머스]] 싱가포르 경찰의 경위. 본작에서 등장하는 경찰 포지션. 머리는 [[요코미조 산고|요코미조]], 얼굴은 [[나카모리 긴조|나카모리]], 체격은 [[메구레 쥬조|메구레]]인 어딘가 익숙한 외모. * 유진 림 (ユージーン・リム/Eugene Lim) (연령불명) - 커트 커먼[* 이차원의 저격수에서 무명의 미국인 남성을, 순흑의 악몽에서 아쿠아비트를 맡았다.] / [[김기철(성우)|김기철]] / [[카이지 탕]] 해적 두목. 레온과 밀회하는 모습이 목격되는데... == 줄거리 == [[싱가포르]]의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 경영 컨설턴트인 '레온 로'는 이곳에서 미모의 변호사 '셰릴린 탄'과 만남을 가진다. 둘의 사이에서는 험악한 분위기가 오가다가, 셰릴린은 기분 나빠하며 먼저 자리를 뜬다. 그러나 잠시 후, 마리나 베이 샌즈 쇼핑몰에서 셰릴린이 등에 칼이 박힌 채 쓰러지는 일이 발생한다. 게다가 지하 주차장에서 일어난 폭발로 인해 정전이 일어나 패닉까지 일어나는데... 게다가 현장에서 시체를 발견하여 신고한 것은 조금 전까지 셰릴린과 대화하고 있던 레온 로였다. 그 후 경찰이 호텔에 도착하고, 레온은 자신의 제자였던 '리시 라마나단'과 만나 오랜만에 대화를 나눈다. 그러던 중 경찰은 벽에 붙어있던 피투성이의 키드 예고장을 발견하는데... 그리고 불길한 전조를 예고하듯, [[머라이언]]의 입에서 붉은 피 같은 물이 쏟아져나온다. 한편 코난은 쿄고쿠 마코토가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가라테 대회에 참전한다는 소식을 듣고, 싱가포르행 비행기를 타기 위해 하이바라에게 해독제를 달라고 부탁했다가 거절당한다.[* 이유는 [[진홍의 수학여행]] 편 참조.] 실망하며 돌아가는 코난의 앞에는 갑자기 란이 등장하고, 코난은 정신을 잃은 채 어딘가에 갇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코난이 눈을 뜬 곳은 다름아닌 싱가포르의 머라이언 파크. 알고 보니 코난이 마주쳤던 란은 괴도 키드의 변장이었고, 키드는 코난의 발명품을 전부 빼앗은 후 현지인으로 변장시켜 싱가포르로 코난을 납치한 것이었다. 키드가 코난을 싱가포르로 데려온 이유는 싱가포르의 대부호 '존한 첸'이 인양한 사파이어 '감청의 권'을 손에 넣기 위해서다. 그러나 단순히 보석을 훔치려는 것이라기에는, 뭔가 내막이 있어 보이는데... == 음악 == === 주제곡 === * [[토사카 히로오미|HIROOMI TOSAKA]] - [[BLUE SAPPHIRE]] === OST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noYN9IOOWo)]}}}||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detective_conan_the_fist_of_blue_sapphire, tomato=없음, popcorn=없음)] [include(틀:평가/IMDb, code=tt9501310, user=6.2)]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detective-conan-the-fist-of-blue-sapphire, user=3.2)]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70190, presse=없음, spectateurs=없음)]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219141, user=없음)]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66398, user=3.62)]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62347, user=6.6)]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0208010, user=5.9)] [include(틀:평가/왓챠, code=mdErjlp, user=3.0)]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74654, light=25.00)]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82001, expert=6.00, audience=7.14, user=4.95)]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27573, expert=없음, user=4.4)] [include(틀:평가/CGV, code=82001, egg=88)]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영화 코드>, user=없음)] [include(틀:스포일러)] 스토리, 연출 등 모든 요소가 완전히 '''엉망진창'''이라는 평가가 압도적으로 높으며 전작보다 평점이 더 내려갔다. 한국에서도 한일 무역 분쟁으로 인한 불매운동 시국과 제작사의 갑질 논란을 참작해도 평가가 굉장히 낮다. 흥행과는 별개로 일본에서도 소재 고갈, 스토리에 대한 실망, 이젠 완전히 1개월 뒤에 개봉한 [[극장판 원피스 스탬피드]] 같은 허무맹랑한 [[액션 영화]]가 되었다는 평.[* 이 탓에 정말 아무생각 없이 '''추리물이 아니라 액션물'''로 본다면 나름 재밌게 봤다는 의견도 소수 존재한다. 물론 '''코난은 액션물이 아니다.'''] 그럼에도 [[순흑의 악몽]]부터 시작된 캐릭터 팔이로 [[어벤져스: 엔드게임|어벤져스]]도 이기는 대흥행은 이어갔다. 저질스런 내용임에도 명탐정 코난 극장판답게 흥행에는 성공했는데 액션물로서 보러오는 사람들에겐 어필점이 있었고 스토리나 완성도는 아예 버리고 오로지 잘생긴 미소년 캐릭터만 열심히 강조하는 로코 트렌디 드라마 연출은 젊은 여성 관객들에게는 잘 먹혔다. 자극적인 내용물 덕에 평가와 별개로 보는 사람은 많았다. [[평가와는 별개로 흥행한 작품]]의 사례 중 하나가 된 셈. 특히 로코 [[트렌디 드라마]]식 연출이 많이 사용되었다. 잘생긴 미소년, 미소녀 캐릭터 위주로 얼굴을 클로즈업하고 그들이 멋지게 보일 상황을 만들기 위해 모든 전개가 굴러간다. 극장판 최초로 여성 감독이 기용되면서 새로운 시선과 연출을 보여줄 기회가 있었으나 이 작품이 보여주는 건 여성의 시선을 끄는 트렌디 드라마 연출 뿐이었다. === 긍정적인 평가 === '''건질만한 건 앞머리 내린 소노코'''[* 앞머리 내린 소노코는 원작자 [[아오야마 고쇼]]가 직접 그렸다고 한다.]라는 의견이 다수 이다. 제작진의 경우 전작이 어마어마한 흥행을 찍어서인지 [[하시모토 타카시(애니메이터)|하시모토 타카시]], [[모리 히사시]], [[모토하시 히데유키]], [[카메가키 하지메]], [[나카타니 세이이치]], [[타나카 히로노리]], [[우에다 히토시]], [[테라오카 이와오]], [[호리우치 히로유키]] 등 애니메이터를 제대로 모아놔 나름 잘 뽑힌 편이다. 특히 미소년 작화[* 특히 아서 히라이와 쿠로바 카이토]는 절대 무너지지 않는다. 또한 이전까지의 극장판이 3D CG를 사용한 액션 신이 많았는데 이 작품은 주요 액션 신 대부분이 2D 손작화다. 이 작품의 메인 테마인 마코토와 소노코의 로맨스는 좋았다고 하는 평가도 있다. 신란 커플과 마코토 소노코 커플 꽁냥씬[* 신이치는 카이토이긴 하지만.] 등 커플을 구경하는 재미요소는 괜찮았다는 여성팬들의 일부 평이 존재한다. 평론가 중에선 그나마 [[후지츠 료타]]가 오락물로서 완성도가 있고 작화가 좋다며 추천작으로 꼽았다. [[https://www.banger.jp/anime/7866/|#]] ===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비판|비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비판)] == 흥행 == [include(틀:글로벌 흥행 1억 달러 이상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include(틀:역대 일본 TVA 극장판 흥행 순위)] ||<-7>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movies/intl/?page=&wk=2019W15&id=_fDETECTIVECONANTH04|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2019년]] [[4월 12일]] || '''$115,570,314''' || '''[[2019년]] [[9월 29일]]'''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 미개봉 ''' || 미정 || || '''[[중국]]''' || [[2019년]] [[9월 13일]] || '''$32,169,950''' || [[2019년]] [[9월 29일]] || || [[일본]] || [[2019년]] [[4월 12일]] || $81,125,047 || [[2019년]] [[6월 2일]] || || [[아랍에미리트]] || [[2019년]] [[6월 13일]] || $65,812 || [[2019년]] [[6월 23일]] || || [[대한민국]] || [[2019년]] [[7월 24일]] || $1,430,053 || [[2019년]] [[8월 11일]] || || [[베트남]] || [[2019년]] [[8월 22일]] || $298,655 || [[2019년]] [[9월 8일]] || === [[일본]] === ||<-5>
{{{#ffffff '''일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14주차 ||<|2> → || '''2019년 15주차''' ||<|2> → || 2019년 16주차 || || [[노비타의 월면탐사기|극장판 도라에몽: [br]진구의 달 탐사기]] || {{{#bc002d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 ||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 || || 2019년 15주차 ||<|2> → || '''2019년 16주차''' ||<|2> → || 2019년 17주차 || ||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 || {{{#bc002d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 || [[어벤져스: 엔드게임]] || || 2019년 17주차 ||<|2> → || '''2019년 18주차''' ||<|2> → || 2019년 19주차 || || [[어벤져스: 엔드게임]] || {{{#bc002d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 || [[명탐정 피카츄(영화)|명탐정 피카츄]] || ||<-5> [[http://www.kogyotsushin.com/archives/weekend/|흥행통신]] [[http://www.boxofficemojo.com/intl/japan/|박스오피스 모조]] || [[파일:Dw_n0lLUUAA2Hzd.jpg|width=500]] 일본 공식 메인 컬러 포스터 [[파일:명탐정 아서 히라이 극장판 23기 감청의 주먹 일본 공식 메인 컬러 포스터.jpg|width=500]] 일본 공식 메인 컬러 포스터 "아서 히라이" Ver ||{{{#!folding[  개봉 1주차 순위  ] [[파일:sdfwefsdfwefsdnfkmsflgmofjmbvsmf.png]]}}} || 개봉 첫 주차에 [[노비타의 월면탐사기|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달 탐사기]], [[헌터 킬러(2018)|헌터 킬러]]를 따돌리고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첫 주말 3일간 145만 8,263명이 관람하고, [[박스오피스]] 수입은 18억 8,629만 2,700엔을 기록했다. 금요일 개봉 당일 성적이 313,274명 동원, 4억 2,246만 5,000엔이었다. 이에 따라 [[토요일]], [[일요일]] 2일간 114만 4,989명이 관람하고, 14억 6,382만 7,700엔의 수입을 올렸다. [[http://news.livedoor.com/article/detail/16319676/|기사]] ||{{{#!folding[  개봉 2주차 순위  ] [[파일:sdfvwefvsdvs5415415dvwe.png]]}}} || 개봉 2주차에도 [[킹덤(2019년 영화)|킹덤]], [[신혼여행 허리케인 ~잃어버린 히로시~|극장판 크레용 신짱: 신혼여행 허리케인 ~잃어버린 히로시~]]을 제치고 [[일본]] [[박스오피스]] 1위를 유지하였다. ||{{{#!folding[  개봉 3주차 순위  ] [[파일:51781851.png]]}}} || 개봉 3주차에는 [[어벤져스: 엔드게임]]에 밀려서 [[일본]] [[박스오피스]] 2위로 내려 앉았다. ||{{{#!folding[  개봉 4주차 순위  ] [[파일:sdfwefsdfsdf.png]]}}} || 개봉 4주차에는 [[어벤져스: 엔드게임]], [[명탐정 피카츄(영화)|명탐정 피카츄]]를 따돌리고 [[일본]] [[박스오피스]] 1위에 복귀했다. 이 작품은 따라서 [[레이와 시대]] 첫 [[박스오피스]] 1위 작품이 되었다. ||{{{#!folding[  개봉 5주차 순위  ] [[파일:wfew4rsrfrt.png]]}}} || 개봉 5주차에는 [[명탐정 피카츄(영화)|명탐정 피카츄]], [[어벤져스: 엔드게임]]에 밀려서 [[일본]] [[박스오피스]] 3위로 떨어졌다. ||{{{#!folding[  개봉 6주차 순위  ] [[파일:wf4ew23fwef.png]]}}} || 개봉 6주차에는 [[컨피던스 맨 JP 극장판]], [[명탐정 피카츄(영화)|명탐정 피카츄]], [[킹덤(2019년 영화)|킹덤]]에 밀린 [[일본]] [[박스오피스]] 4위로 내려 앉았다. ||{{{#!folding[  개봉 7주차 순위  ] [[파일:dwfesrfw4rtgfyhj6rues.png]]}}} || 개봉 7주차에는 [[컨피던스 맨 JP 극장판]], [[공모 이부키(영화)|공모 이부키]], [[명탐정 피카츄(영화)|명탐정 피카츄]], [[사다코(2019)|사다코]], [[킹덤(2019년 영화)|킹덤]]에 밀려서 [[일본]] [[박스오피스]] 6위로 내려 앉았다. ||{{{#!folding[  개봉 8주차 순위  ] [[파일:1524155115511.png]]}}} || 개봉 8주차에 [[고질라: 킹 오브 몬스터]], [[컨피던스 맨 JP 극장판]], [[공모 이부키(영화)|공모 이부키]], [[패럴렐 월드: 러브 스토리]], [[명탐정 피카츄(영화)|명탐정 피카츄]], [[킹덤(2019년 영화)|킹덤]], [[사다코(2019)|사다코]]에 밀려서 [[일본]] [[박스오피스]] 8위로 내려 앉았다. ||{{{#!folding[  개봉 9주차 순위  ] [[파일:1541541512102561541421.png]]}}} || 개봉 9주차에 [[알라딘(영화)|알라딘]], [[고질라: 킹 오브 몬스터]], [[컨피던스 맨 JP 극장판]], [[공모 이부키(영화)|공모 이부키]], [[해수의 아이]], [[킹덤(2019년 영화)|킹덤]], [[명탐정 피카츄(영화)|명탐정 피카츄]], [[패럴렐 월드: 러브 스토리]], [[사다코(2019)|사다코]]에 밀린 [[일본]] [[박스오피스]] 10위로 내려 앉았다. [[파일:6220121210.png]] 개봉 9주차까지의 누적 매출액은 8,910,058,700엔이다.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 편]]이 개봉하기 전까지 일본 내 '''역대 TVA 극장판 흥행 1위 기록'''을 가지고 있었다. === [[대한민국]]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 3,777명 || 3,777명 || 미집계 || 36,527,800원 || 36,527,800원 || || {{{#ffffff 유료 시사회}}} ||2019-07-19. 0일차(금) || 1,183명 || 1,183명 || 미집계 || 12,017,700원 || 12,017,700원 || ||<|7> {{{#ffffff 1주차}}} ||2019-07-24. 1일차(수) || 54,937명 ||<|7> 195,609명 || 4위 || 415,343,480원 ||<|7> 1,554,190,887원 || ||2019-07-25. 2일차(목) || 25,374명 || 6위 || 195,211,330원 || ||2019-07-26. 3일차(금) || 19,319명 || 6위 || 161,889,709원 || ||2019-07-27. 4일차(토) || 33,799명 || 6위 || 283,419,128원 || ||2019-07-28. 5일차(일) || 30,561명 || 6위 || 255,572,850원 || ||2019-07-29. 6일차(월) || 15,636명 || 7위 || 120,298,130원 || ||2019-07-30. 7일차(화) || 15,983명 || 7위 || 122,456,260원 || ||<|7> {{{#ffffff 2주차}}} ||2019-07-31. 8일차(수) || 4,495명 ||<|7> 17,719명 || 9위 || 29,608,040원 ||<|7> 133,766,103원 || ||2019-08-01. 9일차(목) || 3,105명 || 10위 || 22,977,640원 || ||2019-08-02. 10일차(금) || 2,476명 || 10위 || 19,696,508원 || ||2019-08-03. 11일차(토) || 2,580명 || 12위 || 21,244,215원 || ||2019-08-04. 12일차(일) || 2,463명 || 10위 || 20,401,160원 || ||2019-08-05. 13일차(월) || 1,284명 || 15위 || 9,785,380원 || ||2019-08-06. 14일차(화) || 1,316명 || 14위 || 10,053,160원 || ||<|7> {{{#ffffff 3주차}}} ||2019-08-07. 15일차(수) || 210명 ||<|7> 1,883명 || 33위 || 1,630,720원 ||<|7> 14,987,340원 || ||2019-08-08. 16일차(목) || 448명 || 21위 || 2,858,150원 || ||2019-08-09. 17일차(금) || 251명 || 26위 || 2,189,680원 || ||2019-08-10. 18일차(토) || 364명 || 28위 || 3,188,590원 || ||2019-08-11. 19일차(일) || 367명 || 26위 || 3,176,400원 || ||2019-08-12. 20일차(월) || 116명 || 36위 || 945,000원 || ||2019-08-13. 21일차(화) || 127명 || 42위 || 998,800원 || ||<|7> {{{#ffffff 4주차}}} ||2019-08-14. 22일차(수) || 24명 ||<|7> 132명 || 72위 || 217,000원 ||<|7> 1,231,400원 || ||2019-08-15. 23일차(목) || 0명 || -위 || 0원 || ||2019-08-16. 24일차(금) || 45명 || 56위 || 425,960원 || ||2019-08-17. 25일차(토) || 0명 || -위 || 0원 || ||2019-08-18. 26일차(일) || 0명 || -위 || 0원 || ||2019-08-19. 27일차(월) || 63명 || 62위 || 588,440원 || ||2019-08-20. 28일차(화) || 0명 || -위 || 0원 || || '''{{{#ffffff 합계 }}}''' ||<-6> '''누적관객수 220,631명, 누적매출액 1,752,622,130원[* ~ 2023/09/26 기준] '''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은 [[고잉 투 브라질]](이상 [[2019년]] [[7월 23일]]), [[나랏말싸미]], [[롱 샷(2019)|롱 샷]],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이상 [[2019년]] [[7월 24일]]), [[감각: 그녀의 초상]], [[굿바이 썸머]], [[그녀들을 도와줘]], [[돈 워리]], 드래그, [[레드슈즈]], 매니페스토, [[무간도 외전]], [[주전장]], [[지구 최후의 밤]], 캘리포니아 타이프라이터, 컨벤트, [[쿵푸몬스터: 무림괴수전]], 테이크 다운, 파리 에듀케이션(이상 [[2019년]] [[7월 25일]])까지 총 19편이다. [[2019년]] [[5월 25일]] [[CJ ENM]]에 의해 해당 작품의 최초 예고편이 [[http://ors.kmrb.or.kr/rating/inquiry_mv_view.do?RCV_NO=2155492&KIND=MVTRAIL&GUBUN=N&&proc_state_code=onGoing&mv_kind=MVTRAIL|심의를 통과]]하면서, 본격적으로 [[수입]] 일정이 잡히기 시작하였다. [[2019년]] [[6월 11일]], [[한국 영화]] [[영화 시장|시장]] 공식 개봉일자가 나왔다. [[2019년]] [[7월 24일]] 개봉한다. 같은 주에 개봉하는 영화는 [[나랏말싸미]]와 [[레드슈즈]]라는 [[한국 영화]]이다. 감청의 권 개봉 다음 주에 [[마이펫의 이중생활 2]]([[2019년]] [[7월 31일]])가 개봉 예정이라 이를 피한 것이다. 개봉 직전 주말인 7월 19일(금)과 20일(토) 양일간 유료 시사회 형식의 [[변칙 개봉]]이 이루어졌다. CGV, 메가박스, 롯데시네마의 소수 개봉관에서 진행되었고, 특전 3종세트(팝소켓, L홀더, 포토카드)가 제공되었는데 L홀더는 멀티플렉스 체인별로 다른 디자인을 배포했다. 전체적으로 자막의 품질은 준수하였지만, 간혹 번역이 매끄럽지 않거나, 오타가 보인다. 크게 눈에 띄는 것은 영화 후반부 [[에도가와 코난]]이 'いける'라고 말하는 장면에서 자막으로는 '갈 수 있어'라는 식으로 번역이 되었는데, 영화 속 상황을 고려하면 [[에도가와 코난]]이 큰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서 [[괴도키드]]와 대화하던 중 한 말이므로 '가능해', '할 수 있어', '방법이 있어' 등으로 번역을 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 그래서 자막을 집중해서 본 관람객이라면 영화의 흐름상 이상하다고 여길 수도 있는 번역이었다.--자막에 크게 신경 쓰지 않았으면 눈치 채지 못할 정도이다.-- 오타는 [[쿄고쿠 마코토]]가 정신 차'''려'''십시오 말하는 장면이다. 코고로를 부르는 호칭을 통해 란이 신이치가 키드라는 걸 간파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란의 앞에서 코고로를 언급할 때 '오메-노토-상(オメーの父さん,네 아버지)'이라는 호칭을 쓰던 신이치가 갑자기 친근하게 '옷쨩(おっちゃん)'이라고 부르자 란이 수상하게 여긴 것을 번역에서는 옷쨩을 '''아재'''라고 번역했다. 원래 한국판에서는 양쪽 다 아저씨로 번역했는데 본작에서 호칭의 차이를 구분하는 게 처음 나오니 어쩔 수 없이 이렇게 한 것. 확실하게 구분이 되어 이해가 쉽다고 호평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아재라는 처음 보는 표현의 갑툭튀로 인해 불호를 보이는 사람들이 더 많다. VOD로 나온 더빙판에선 아저씨로 번역되었다. 2019년 7월 초부터 시작된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일본 불매운동]]과 더불어 후술할 더빙판 개봉 무산의 문제로 관람객과 상영하는 영화관이 매우 적어 흥행에 적신호가 켜졌다. 개봉 3주차까지 누적관객수가 22만 명이 채 되지 않았는데, 이는 명탐정 코난 극장판 시리즈의 정식 수입이 시작된 2009년 이후 한국 개봉 극장판 중 가장 저조한 관객 성적이다.[* 6기와 8~11기는 한참 전 작품의 재개봉이다. 나머지 작품들은 극장 개봉을 하지 않았다. 코로나 시국에 개봉한 [[비색의 탄환]]도 23만 명 이상이 봤다.] 2020년 11월 4DX 포맷으로 재개봉이 결정되었다. 11월 11일 재개봉 예정이었고([[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011092143528443bc88014e31_1/article.html?md=20201110094540_R|기사]], [[https://archive.vn/OJydy|@]]) 8~9일경 정상적으로 예매까지 오픈되었으나, 돌연 10일 재개봉을 하지 않는 다는 소식이 들리면서 한 cgv 관계자에 따르면 "배급사 사정으로 2주 가량 미뤄졌다"면서, "이번 페스티벌에서는 빠지지만 26일쯤 개봉할 것"이라고 알렸다.([[http://www.kpi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0534|기사]]) 근데 다시 재공지를 통해 11월 26일에는 개봉안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고 알렸다. 아예 엎어질지 추후 공지할지는 미지수. === [[대만]] === [[파일:21350843864007f30604e0814d14b3u5.jpg|width=500]] 대만 공식 메인 컬러 포스터. [[2019년]] [[7월 10일]] 개봉했다. [[https://gnn.gamer.com.tw/0/176930.html|기사]] === [[북미]] === === [[중국]] === [[파일:2b90-ieaiqii3189956.jpg]] 중국 공식 포스터. 참고로 히라이 버전이다. [[https://www.endata.com.cn/BoxOffice/MovieStock/movieShow.html?id=692268|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 중국 실시간 박스오피스(단위: 위안)]] [[2019년]] [[8월]] 검열을 통과하여 [[2019년]] [[9월 13일]] 개봉 되었다. [[중추절]]([[추석]]) [[연휴]]로 인해 [[중국 영화]] [[영화 시장|시장]]에서 [[할리우드 블랙아웃]]이 적용되는데 이 영화는 개봉 허가를 통과했다. '''심지어 [[와이드 릴리스]]로 통과했다!!''' === [[영국]] === === [[스페인]] === [[2019년]] [[11월 8일]] 개봉했다. === [[싱가포르]] === [[파일:명탐정 코난 극장판 23기 - 감청의 주먹 싱가포르 임시 메인 포스터.jpg|width=500]] 싱가포르 임시 메인 포스터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rzJtw5EtTw)]}}}|| || {{{#f1db37 '''싱가포르 90초 예고편'''}}} || [[2019년]] [[6월 13일]] 개봉이다. [[https://www.gv.com.sg/GVMovieDetails#/movie/7127|정보]] 시사회는 [[2019년]] [[5월 31일]]로 확정. [[https://www.popcorn.app/sg/detective-conan-the-fist-of-blue-sapphire/movie/11790|기사]] == 한국 개봉 == * 국내에서는 제목의 감청의 권의 감청이 감청색을 의미하는 紺靑이 아닌 기밀을 보호하거나 수사 따위에 필요한 참고 자료를 얻기 위하여 통신 내용을 엿듣는 일을 뜻하는 監聽으로 오해될 수도 있어서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의 전례를 따라 제목이 다소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명탐정 코난 남색의 권~~ 1월 31일 명탐정 코난 극장판 수입사인 [[CJ ENM MOVIE]]의 공식 페이스북에서 이벤트 글에 [[https://www.facebook.com/435281629980092/posts/1143815735793341/|감청의 권]]이라는 제목을 언급했으나, 이후 [[https://blog.naver.com/gggyy12340/221460178050|제목 문의에 대한 답변]]에 따르면 '감청의 권'은 가안으로 아직 공식적인 타이틀은 확정되지 않았다고 했다. 그리고 이후 감청의 권 쪽으로 최종 결정되었다. * 해당 극장판의 예고편이 처음 나왔을 때, 국내 팬들은 기제된 '권(拳)'을 뜻인 '주먹'으로 불렀다. 그렇게 계속 '감청의 주먹'이라고 부르다가, 공식 타이틀이 '감청의 권'으로 확정된 후에는 그에 맞춰 불렀다. * 해당 극장판 개봉에 발맞추어 CU에서는 CJ E&M과 손을 잡고 샌드위치 등의 상품을 판매 중. 더빙판 개봉금지 사건 이전부터 기획된 상품이라 그런지 이름은 국내 로컬라이징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https://www.msn.com/ko-kr/money/topstories/cu-명탐정-코난-속-샌드위치-출시/ar-AADOFtH|#]] * 서울 버스 일부 정류장의 차량 내 음성광고 프로모션도 진행되었다. 확인된 구간은 [[서울 버스 106|106번]](우이1교앞→수유3동우체국), [[서울 버스 602|602번]](양화대교전망카페→️합정역 구간), [[서울 버스 603|603번]](목동이대병원.목동6단지앞→️한신아파트.선유도역 구간), [[서울 버스 5012|5012번]], [[서울 버스 640|640번]](영등포시장→️김안과병원 구간).[* 내 이름은 코난 탐정이죠 범인은 분명 버스 안에 있습니다. 이번 역에 내리려는 당신 범인이 알고싶다면 7월 24일 극장에서 만나요] * 개봉 2주차에 서울 종로 대학로에 코난카페가 생겼는데 기간은 프리오픈는 8월 1일부터 8월 4일까지 했고 정식오픈 8월 5일부터 10월 31일까지 했다. * CGV의 J-FESTA 이벤트로 2023년 9월 15일부터 9월 26일까지 비색의 탄환, 할로윈의 신부와 함께 기간 한정 재상영된다. 두 작품과 달리 더빙판을 상영하지 않았다. 이로써 본작의 더빙판이 제작된 후에도 극장에서는 결국 더빙을 볼 수 없게 되었다. === 더빙판 상영 무산 및 비로컬 IPTV VOD 공개 === 왜색이 짙은 일부 기수를 제외하면 극장판이 꾸준히 로컬 더빙되어 개봉하는 우리나라에서, 개봉 전 더빙상영이 일본측에 의해 저지되는 일이 발생했다. 국내 개봉 한 달 전인 6월 26일, 정영일 반장 역의 [[홍범기]] 성우가 본인이 진행하는 인터넷방송 '[[오버 더 라디오]]'에서 ''''더빙 작업을 전부 완료했음에도 불구하고''' [[TMS 엔터테인먼트|제작사]] 측에서 로컬라이징에 태클을 걸어 극장에서 더빙판 상영은 불가능할 것 같다'고 채팅창을 통해 밝혔다. 이로 인해 한국 팬들은 충격에 빠졌으며, 원작사의 갑질로 더빙이 무산되는 거냐며 분개하고 있다. 입장을 명확히 밝힐 수 없었던 CJ측은 당시 '아직 검토중'이라고 밝혔지만, 이후 더빙 VOD까지 불허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혀지면서 논란이 커졌다. 한국 더빙판을 막는 것은 극장판 일본 제작사인 [[TMS 엔터테인먼트]]의 결정이다. [[영화 배급사]]인 [[도호]]의 결정이 아니라 TMS에서 결정한 것. [[CJ ENM MOVIE]]에서 [[성우]] 고용해서 녹음이 끝난 상황에, 갑자기 한국어 더빙판 개봉을 TMS에서 불허하자 여러번 항의했으나 TMS에서는 결국 허용을 하지 않았다. TMS에서는 [[베트남 영화]] 시장 개봉을 위해 [[베트남어]], [[싱가포르]]에서 개봉할 때 [[표준중국어]](보통화), [[영어]] 더빙을 하고 [[대만]]에서 개봉할 때에도 [[표준중국어]](대만화어) 더빙을 했고, [[홍콩]] 개봉용으로 [[광동어]] 더빙도 허용했다. 그러나 TMS는 한국어 더빙만 불허 결정을 했다. [[2018년]]까지만 해도 더빙판 잘만 허가 내줬는데 [[2019년]] 들어서 갑자기 TMS에서 입장을 바꾼 것이다. TMS에서 처음에는 한국어 더빙을 허용했다가 개봉을 앞두고 갑자기 불허로 입장을 바꿔서 [[뒤통수]]를 친 것이다. 그런데 오히려 원작자인 [[아오야마 고쇼]]의 경우에는 한국어 로컬라이징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터뷰를 한 적도 있을 정도로 한국에 우호적인 편이다. 시기가 [[한일 무역 분쟁]]과 겹쳐서 한일관계 악화의 영향이 아닌가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더빙 불허는 '''한일 무역 분쟁 전에 일어난 일이라서 실제로 관계는 없다.''' 개봉 후에는 [[2019년 일본 불매운동]]으로 인해 스크린을 일찍 내리게 되는 등 영향을 받긴 했다.[* 팬들의 추측에 의하면, 싱가폴 가라데 대회 홍보용 극장판인데 태권도로 바꿔서 그런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이후 정보라 역의 [[이용신]] 성우가 본인의 유튜브 댓글을 통해 '로컬라이징이 안 된 더빙판을 IPTV VOD로 공개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파일:이용신오피셜.png|width=400]]] 정황상 녹음과 믹싱, 화면수정까지 전부 끝난 작품을 그 짧은 시간 내 전부 재녹음, 믹싱 및 수정한 것으로 보인다. 최종적으로 2019년 8월 8일 IPTV를 통해 무로컬 더빙판이 공개되었다. [[명탐정 코난: 진홍의 연가|이 작품]] 이후 두 번째로 비현지화로 발표되었다. 번역과 연출은 TV시리즈를 맡은 이지영과 유선주가 각각 맡았다. 2019년 들어 투니버스쪽 정책 변화로 생긴 '프로듀서' 직책은 김진아가 맡았으며, special thanks to에 판권팀 '임이레'가 별도로 표기되어 제작 일련의 사건에 대한 제작진들이 간접적인 사죄의 감사를 표했다. 영어 대사는 한국 성우들이 영어로 연기했으며 엔딩에서 나오는 뉴스 부분에 자막이 추가되었다. 다만 재더빙을 급하게 하느라 확인을 못한 건지, 중간에 레온이 "아, 거기 계신 아가씨가 스즈키 그룹의 소노코 아가씨죠? '''[[스즈키 지로키치|정지로]]''' 씨에게 많이 들었습니다." 라고 하는 부분이 있었으나 '삼촌 분께' 로 바뀌었다. 이후 2020년 1월 27일(설날 대체공휴일) 오전 10시에 투니버스에서 TV 최초방영하였다. 자막판이 아닌 더빙판으로 송출되었으며, 등급표시 후 '원판 명칭을 사용하여 더빙하였다'는 문구가 나왔다. == 기타 == === 개봉 전 === * 아오야마 고쇼가 동물의 숲을 9월 24일에 갱신하면서 23기 극장판의 타이틀이 일부 공개되었다.[* [[https://ameblo.jp/yurianiikaze/entry-12407317887.html|관련 글]].] TMI로 아오야마 고쇼는 최상위 하드코어 [[칸코레]] 유저다. > 스페이드 '칸코레 가을 이벤트 이걸로 클리어♪' > 하트 '글자가 번졌던 건 다테의 눈물' > 다이아 '내년 영화 타이틀은…→' > 클로버 '→[○ン○ョ○の○o○ト]야♪' * 22기([[명탐정 코난: 제로의 집행인|제로의 집행인]]) 맨 끝의 예고 영상에 따르면, 다음 극장판의 주역이 괴도 키드가 될 것으로 예고되었으며 원작자인 고쇼 화백의 말에 따르면 [[쿄고쿠 마코토]]도 등장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또한 배경이 [[싱가포르]]의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로 확인되면서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19기]] 이후로 오래간만에 스즈키 가문의 재력을 감상할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는 추론이 힘을 얻고 있다. * [[에도가와 코난]]의 신원은 일본 주민등록 전산에 올라와 있지 않아서, 지나치게 잦은 해외 출입은 전체 스토리라인에 어긋난다. 때문에 마리나 샌즈 호텔을 토대로, 특별 전시회[* 스즈키 가문의 재력으로 지어진 새로운 랜드마크에서 열리는 전시회.]에서 전시되는 예술품을 괴도 키드가 훔쳐가겠다고 예고하면서 이야기가 진행되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하지만 [[괴도 키드]]가 [[에도가와 코난|코난]]을 [[싱가포르]]로 납치한다는 줄거리가 밝혀지면서 빗나간 예상이 되었다. * 나가오카 치카가 감독을 맡으면서 7년 감독 임기제가 깨졌다. 다음 해 극장판도 나가오카 치카가 맡은걸 보면 본래는 타치카와 유즈루가 7년간 맡기로 했다가 다른 제작진들과의 마찰로 인해 일찍 하차한 듯. * 명탐정 코난 극장판 최초로 해외 배경을 메인으로 한 극장판이다.[* 본편 원작의 경우 [[홈즈의 묵시록]] 편이 최초 해외 배경. [[쿠도 신이치 뉴욕의 사건]] 편도 해외 배경 에피소드였으나 란의 회상으로 나오는 에피소드라서 예외.] 물론 [[명탐정 코난: 베이커가의 망령|베이커가의 망령]]도 배경이 [[런던]]으로 해외였으나 가상공간이니 예외. * 코난이 가명으로 쓰는 '아서 히라이'라는 이름은 [[아서 코난 도일]]과 [[에도가와 란포]]의 본명인 '히라이 타로'에서 따온 것이다. '에도가와 코난'이라는 이름의 유래도 두 인물의 이름. 작중에서도 키드가 "히라이는 어디에서 따온거냐?" 하고 묻자 코난이 이를 알려준다. 평상시의 이름이 에도가와 란포의 필명의 성과 아서 코난 도일의 미들네임을 섞었지만, 이 가명은 반대로 아서 코난 도일의 이름과 에도가와 란포의 본명의 성을 섞어서 만들어진 게 포인트. * [[파일:20181207_215306.jpg|width=200]] >발표할 예정이였습니다. >극장판 [명탐정코난 2019] 아오야마 고쇼 선생님의 포스터 비주얼이 '''(#)괴도 키드에게 도난당했습니다.''' 직원일동이 진심으로 사죄드립니다. 자세한 것은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 바랍니다. >---- >한국어 번역 --[[만우절|???]]-- 정식 원화 포스터 공개를 앞두고 코난 공식 홈페이지에서 농담을 했다.[br][br]원화 포스터를 괴도 키드가 훔쳐가 버렸기에 팬들에게 이에 대한 사과를 하며, 조만간 정식 원화 포스터를 되찾아 공개하겠다는 내용이다. * [[파일:감청의주먹원화도둑.png|width=550]][br]후에 스태프들이 이벤트의 일환으로 긴급 포스터를 준비했다며 올리고는 코난 공식 트위터 계정과 프로필 사진도 변경하였다.[br][br] 물론 [[명탐정 코난]]의 스탭들이 준비한 이벤트이며, 본격적으로 감청의 권의 홍보를 적극적으로 시작한다는 뜻이라 한다. * [[명탐정 코난]]의 비현실을 담당하고 있는 존재들이[* [[괴도 키드]]의 마술이나 능력은 만화 보정이 너무 많고 [[쿄고쿠 마코토|마코토]]는 혼자서 [[검은 조직]]을 잡을 수 있다는 말이 유머로 돌 정도로 매번 비현실적인 액션씬을 들고 오는 캐릭터다.] 슈퍼액션을 자랑하는 극장판에서 주역으로 등장하는 만큼 어떤 판타지(?)를 보여줄지 기대된단 반응이 많다. --이제는 그냥 판타지라고 생각한다......-- * 매년 4월 셋째 주 금요일, [[골든 위크]] 시즌을 노리고 개봉하던 전례를 깨고 이례적으로 1주 빠른 [[4월 12일]] 개봉했다. [[어벤져스: 엔드게임]]과 함께 홍보하는 것으로 보아 어벤저스와 겹치지 않으며 역대 최장 10일 연휴인 [[2019년]] 골든 위크를 감안해서 [[도호]]에서 조기 개봉 한 것으로 보인다. * 주 배경이 되는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마리나 베이 샌즈]]는 대한민국의 [[쌍용건설]]이 지었다. 기울어진 설계로 건설 당시 희대의 난공사로 세워졌기에 싱가포르의 랜드마크로 자리잡고 있다. 졸지에 전작인 [[제로의 집행인]]처럼 [[한국]] 측에서 세운 건설물들이 주 배경이 된 셈이다. * [[헤이세이 시대]]에 개봉한 마지막 코난 극장판이다. === 개봉 후 === * 극장이 개봉하기 전에 일본에서는 TVA를 2주 휴방하고 대신 2014년도에 방송했던 '괴도 키드 VS 쿄고쿠 마코토'를 리마스터링으로 재방송한다. * 감청의 권 본편과 이어지는 오리지널 TVA 에피소드인 <푸드 코트의 음모(936화)>가 개봉 다음 날인 4월 13일 방영되었다. 센트럴 파크에서 열리는 <베이커시 파머스 마켓> 행사에 놀러가기로 한 아유미 / 미츠히코 / 겐타가 우연히 마주친 <마리나> 라는 이름의 푸드트럭에서 감지한 수상한 낌새의 정체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에 나서는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본편과 직접적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푸드트럭의 주인들은 7년 전 메구레 경감에 의해 체포되었던 은행강도들로, 싱가포르 레스토랑 마리나의 직원들로 변장해 현장을 찾은 메구레 경감에게 복수하기 위한 폭탄 테러를 계획하고 있었다. 괜한 오해를 하여 민폐를 끼차친 거 같은 탐정단들이 탐문수사로 결정적인 단서를 본의아니게 제공해주어 경찰이 범인들을 잡는데 공을 세웠다. 물론 본인들은 전혀 몰랐지만.][* 본편은 TVA 에피소드 중 최초로 코난이 직접적으로 등장하지 않는데 본편 말미에 이미 괴도 키드에 의해 납치되어 싱가포르 본토에 체류중이라는 것이 확인된다.] * [[세기말의 마술사]], [[11번째 스트라이커]]에 이어 3번째로 극장판 제목이 작중에 등장한다. * [[클로드 드뷔시]]의 [[Clair de Lune|달빛]]이 삽입곡으로 나온다. * [[명탐정 코난: 진홍의 연가|전전작]]에 이어 도쿄 경시청 형사들이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괴도 키드]]의 영원한 숙적인 [[나카모리 긴조]]도 에필로그에서만 등장. 작품 배경 자체가 싱가포르인지라 일본 경찰들이 스토리에 개입할 여지 자체가 거의 없기는 하다. 본작에서의 경찰 포지션은 오리지널 캐릭터인 마크 에이단이 맡고 있다. * 스토리상 코난이 외국에 간지라 아가사 박사와 소년 탐정단의 비중도 낮다. 아가사 박사와 하이바라는 일본에 남아 코난을 서포트 해주는 정도고 겐타, 미츠히코, 아유미는 더 심해서 중반에 그냥 [[하이바라 아이]] 뒤에서 놀고 있는 장면만 있다. * [[에도가와 코난|코난]]이 [[스마트폰|폰]]을 쓸 때 상단바에 [[5G]]라고 뜬다. * 코난이 아서 히라이라는 이름을 짓는 장면은 철저히 원작 1화에서 작아진 신이치가 에도가와 코난이라는 이름을 지었던 장면을 오마주했다. 특히 코난이 아서 히라이라는 이름을 댈 때의 포즈나 표정은 작아진 신이치가 에도가와 코난이라는 이름을 밝힐 때와 판박이다. 게다가 코난 자신도 아서 히라이라는 이름을 지을 때 그 당시의 상황을 기억하며 이름을 짓는 것으로 묘사된다. * 영화 엔딩 이후 [[비색의 탄환|차기 극장판]]의 2020년 개봉 결정을 알리는 [[쿠키 영상]]이 나왔다. 차기 극장판의 메인 캐릭터가 될 것이라고 추정되는 [[아카이 슈이치]](이상윤)의 목소리로 届け、遥か彼方へ ([[비색의 탄환|닿아라, 머나먼 저편으로]])라는 발언이 나오며, [[나고야시]]의 오아시스21과 나고야 TV 타워가 배경으로 나온다.[* 처음에 이 타워를 [[도쿄 타워]]로 착각한 사람들이 많았던지라 도쿄 올림픽이 배경이 아니냐는 설도 상당수 나왔다. 나고야가 배경으로 나오면서 도쿄 올림픽 관련 설이 부정되는듯 했으나 12월 자로 공개된 24기 스토리에 '세계 최대의 스포츠 축제가 도쿄에서 개최되는 것을 맞이하려하는 일본' 이라는 언급이 등장하면서 도쿄 올림픽과 관련된 홍보물이라는 추측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나고야는 신칸센 대폭파 사건에서 [[진(명탐정 코난)|진]]과 [[워커(명탐정 코난)|워커]]가 도중에 하차한 곳이기도 하고, 칠흑의 미스터리 트레인 에피소드에서도 진과 워커가 나고야 역에서 [[C4]] 폭탄을 설치하고 대기했던 곳이기도 해서 검은 조직과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코난 극장판은 언젠가부터 [[트랜스포머]]급으로 건물을 부수는 등 사실상 초반 극장판 컨셉과 진행 방향을 달리했지만 이번만큼은 조금 더 과하다. 건물이 무너지는 가운데 고층에서 격투를 벌이거나 [[톰 크루즈]]가 생각나는 액션이 이번에도 어김없이 나온다. 그나마 좀 흥미로울 부분이라면 23년 만에 [[스즈키 소노코]]가 굉장한 미녀[* 본래도 [[미인]] [[캐릭터]]이지만 호탕한 성격으로 그렸고 [[뽀로로]] [[안경]] 급으로 몸 일부 늘 착용하던 [[머리띠]] 때문에 미모가 딱히 돋보이지는 않았다.]임이 밝혀졌고, 위 문서에서도 언급했듯이 다음 극장판을 예고하는 쿠키 영상에 미스터리한 인물인 [[아카이 슈이치]]가 등장할 것을 암시하는 영상이 등장하면서 다음 극장판은 액션보다는 미스터리에 초점을 맞추지 않을까란 기대를 모으게 만든 부분. * 엔딩 크레딧의 실사부 영상의 몇몇 장면은 [[명탐정 코난: 순흑의 악몽|순흑의 악몽]]의 크레딧과 동일한 영상이 쓰였다.[* 20기의 대관람차는 싱가포르 플라이어를 모델로 했었다.] * 극중 후반에 [[지이 코노스케]]가 등장한 다는 것을 확인. 전작 화염의 해바라기처럼 이번에도 대사가 없다. 또한 해당 캐릭터가 두번째로 출현하는 극장판이다. * 2020년 4월 17일, 일본 닛테레 방송「금요로드쇼」에서 TV 첫방송 되었다. 평균 시청률은 13.9%를 기록했다. * 여담으로, 전 [[명탐정 코난]] 극장판 및 시리즈 중 최초로 작중에서 [[국산차]]가 등장한 영화이기도 하다. 등장 차량은 [[현대 i40]] 후기형. 이 지역에서 많이 팔리는 [[자동차|차]]라서 [[고증]]을 위한 것으로 추측. * 당연히도 싱가포르 현지에서는 가장 호평을 받는 극장판. 원래도 아오야마 고쇼가 싱가포르에 팬미팅을 갈 정도로 팬들이 많긴 했지만, 본작은 현지인들 사이에서도 거의 국민애니급의 위상을 달리는 수준이다. 극장판 개봉을 기념하여 싱가포르 관광청 주도로 차이나타운에 코난 벽화가 생겼는데,[* 싱가포르 차이나타운의 랜드마크인 불아사의 입구에서 한 블럭 정도 올라가보면 볼 수 있다.] 코난 성우인 [[타카야마 미나미]]와 키드의 성우인 [[야마구치 캇페이]]가 이 벽화의 채색 작업에 참여했다. * 원래는 [[나카모리 아오코]]가 작중에서 언급으로나마 나올 예정이었으나 삭제되었다고 한다. * 여섯번째로 괴도 키드가 나온 극장판이며 [[쿠로바 카이토]]로써의 모습이 묘사된 두 번째 극장판이다.[* 정확히는 괴도 모습에서 상의만 탈의하고 모자를 벗은 모습.] == 관련 문서 == *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 [[분류: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감청의 권]][[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9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괴도 키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