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 [[유희왕/OCG]]의 일반 마법 카드. [목차] == 설명 == [[파일:名推理.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명추리, 일어판 명칭=名推理(めいすいり), 영어판 명칭=Reasoning, 효과1=①: 상대는 1~12까지의 임의의 레벨을 선언한다. 통상 소환 가능한 몬스터가 나올 때까지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넘기고\, 그 몬스터의 레벨이 선언된 레벨과 같을 경우\, 넘긴 카드를 전부 묘지로 보낸다. 다를 경우\,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남은 넘긴 카드는 전부 묘지로 보낸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TCG=제한 카드)] 상대에게 레벨을 선언시키고, 덱 맨위에서 카드를 넘겨 처음 나온 몬스터가 선언한 것과 다른 레벨이 나오면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랜덤 요소가 매우 강하긴 하지만, 어떤 레벨의 몬스터든 노 코스트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다만 상대가 선언한 레벨의 몬스터는 특수 소환할 수 없으니, 성공률을 올리기 위해서라면 덱 구축시 몬스터의 레벨을 다양하게 맞출 필요가 있다. 덱에 여러 레벨의 상급 몬스터, 최상급 몬스터를 대량으로 투입해 이 카드와 [[몬스터 게이트(유희왕)|몬스터 게이트]]로 전개하는 [[추리게이트]] 덱이 존재한다. 하지만 현재는 특수 소환 자체보다도 넘긴 카드를 덤핑하기 위해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몬스터라도 통상 소환할 수 없는 특수 소환 몬스터가 나왔을 경우 마법 / 함정 카드와 마찬가지로 묘지로 보내지며, 통상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가 나올 때까지 덱의 카드를 넘기는 처리가 지속된다. 따라서 덱의 몬스터 대다수가 특수 소환 몬스터라면 1장만으로 대량의 묘지 어드밴티지를 벌 카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는 것으로 [[인페르노이드]]나 카오스 게이트 덱 등이 있다. 상대가 이 카드를 사용할 경우 상대의 덱 타입을 파악하고 레벨을 선언할 필요가 있다. 이 카드로 특수 소환할 몬스터에도 유행이란 것이 있으니, 듀얼 환경을 파악한 뒤에 가장 특수 소환시키기 싫은 카드의 레벨을 선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2015~2016년 초반 환경의 [[인페르노이드]] 덱에서는 [[데블 프랑켄]]+[[나츄르 엑스트리오]]가 나오는 2, 인페르노이드 데카트론이 나오는 1을 상정하고 선언하는 경우가 많았다. [[십이수(유희왕)|십이수]]가 활약한 2016년 후반~2017년 중반에는 레벨 4를 선언해서 전개를 방해하는 경우가 많았다. 다만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를 이용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맞추든 틀리든 별 문제없는 경우도 있다. 또한 2020 후반~현재(2022 초반)까지 유행하고 있는 덱인 [[엘드리치]]는 메인 덱 몬스터가 황금경 하나 뿐인데다 묘지에서 자체 특수소환하는 효과가 있어서[* 틀리면 그냥 특수 소환이 되고, 10을 지정하면 묘지에서 내성 달고 공격력 3500으로 튀어나온다. 그렇다고 엘드리치인걸 앎에도 효과파괴 내성이 무서워서 10을 지정 안하지는 않는다. 엘드리치가 까다로운건 엘드리치를 지원하는 함정 카드들이지 황금경 그 자체가 아니기 때문.] 채용하기도 한다. 넘기는 도중 통상 소환할 수 있는 특수 소환 불가능 몬스터가 나왔을 경우, 그 카드를 포함해 넘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처리를 종료한다. 특수 소환 몬스터와 처리가 다르므로 주의. 거의 유사한 카드인 [[몬스터 게이트(유희왕)|몬스터 게이트]]와 비교하자면 코스트는 없는 대신 원하는 몬스터를 꺼낼 수 있는 확실성이 떨어지므로 일장일단 관계이다. 다만 그 유사성 덕에 [[추리게이트]] 같은 덱에서 둘 다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묘지 덤핑으로 자원 벌기가 주 목적이라면 코스트 없는 이쪽이 더 쓰기 쉽다. 덱의 몬스터 수를 줄이면 마법 / 함정 카드를 대량으로 덤핑시킬 수 있으니, 묘지의 마법 카드 수가 중요한 [[매지컬 익스플로전]] [[원턴킬]] 덱에서도 채용되었다. 여러모로 악명을 떨친 끝에 해당 카드가 금지되었으므로 현재는 구축 불가. 덱에 투입할 통상 소환 가능한 몬스터를 적게 해버리면 상대가 맞추지 못하는 한 특수 소환할 몬스터의 당첨 확률이 높아진다. 구체적으로는 [[데블 프랑켄]] 같은 [[원턴킬]]용 덱의 키 카드를 꺼내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왕가의 수호자]] || PGD-KR08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 Vol.1 || HGP1-KR029 || [[노멀]]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드래고닉 군단]]- || SD22-KR030 || [[노멀]] || 한국 || ||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5 Vol.1 || AE07-KR011 || [[슈퍼 레어]]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파워코드 링크]]- || SD33-KR028 || [[노멀]] || 한국 || || || 新たなる支配者 || 301-029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 1 || EE1-JP029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드래고닉 군단|ドラゴニック・レギオン]]- || SD22-JP030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파워코드 링크|パワーコード・リンク]]- || SD33-JP028 || [[노멀]] || 일본 || || || [[왕가의 수호자|Pharaonic Guardian]] || PGD-081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1 || DR1-EN029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드래고닉 군단|Dragons Collide]] || SDDC-EN031 || [[노멀]] || 미국 || || || Battle Pack 2: War of the Giants || BP02-EN139 || [[노멀]][br][[패러렐 레어|모자이크 레어]] || 미국 || || || Astral Pack Four || AP04-EN023 || [[노멀]] || 미국 || || || Star Pack 2014 || SP14-EN041 || [[노멀]][br][[패러렐 레어|스타포일 레어]] || 미국 || || || Premium Gold: Infinite Gold || PGL3-EN080 || [[골드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파워코드 링크|Powercode Link]] || SDPL-SP027 || [[노멀]] || 미국 || || == 관련 카드 == === [[몬스터 게이트(유희왕)|몬스터 게이트]] === === [[마의 탈의실]] === === [[마도 잡화상인]]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추리게이트, version=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