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일반 마법 카드. == 설명 == || [[파일:card100291428_1.jpg|width=100%]] || [[파일:DarkRulerNoMore-SDCH-EN-C-1E.png|width=99%]]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명왕결계파, 일어판명칭=冥王結界波(めいおうけっかいは), 영어판명칭=Dark Ruler No More, 효과외1=이 카드의 발동에 대하여 몬스터의 효과는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필드의 모든 앞면 표시 몬스터의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한다. 이 카드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상대가 받는 모든 데미지는 0 이 된다.)] [[엑스트라 팩]] 2019에 등장한 범용 견제 카드로 발동한 턴, 상대 필드의 몬스터 효과를 무효화하는 카드. 별명은 '''명결파''', 또는 '명' 자를 [[야민정음]]으로 읽은 '''띵결파'''. 무효화의 범위는 [[위치크래프트(유희왕)|위치크래프트마스터 베르]]와 같다. 필드에서 발동한 효과는 효과 처리시에 필드에 없어져도 무효화된다. 또한, 이 카드의 효과 처리 후에 필드에 새로 나온 몬스터에겐 영향이 없다. 이후 출시된 [[금지된 일적]]과 함께 '''가장 강력한 후공 돌파용 마법'''으로 꼽히는 카드다. 일반 마법이라 자신 턴에만 발동할 수 있으므로, 상대가 굳혀놓은 판도를 무너뜨리는 목적으로 운용하게 된다. 후공 1턴째처럼 자신이 불리해지는 초동은 물론, 자신 필드는 무효화하지 않으므로 고착 상태를 일방적으로 붕괴시키는 것도 가능. 이 카드에 몬스터 효과는 체인할 수 없어 몬스터 효과로 제압하는 덱에 강한 카드다. 하지만, 마법 / 함정 카드에 체인을 받는데다 필드 외에서 발동하는 효과는 무효화할 수 없다. 또한 자신 턴이라 해도, 이 카드의 효과 처리 후에 어떤 효과로 퍼미션 및 락 효과를 가진 몬스터가 특수 소환될 가능성도 있다. 거기에 디메리트로 발동한 턴엔 상대가 받는 데미지가 전부 0이 된다. 이 때문에 제압된 판도를 뒤집을 순 있어도, 특수 승리가 아닌 이상 '''일반적인 방법으론 결코 이기는게 불가능하다.''' 상대의 판도를 무너뜨리면서 동시에 내가 집을 지어 다음 상대 턴의 후속 전개를 막을 준비를 갖추는 게 기본이 될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단점들에도 불구하고 현 유희왕 환경에서 대부분의 퍼미션 빌드가 몬스터 카드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우승덱 사이드 덱에 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심할 경우에는 '''메인 덱'''에 투입하기도 한다. || - || 장점 || 단점 || || 명왕[br]결계파 || - 추가적인 코스트 없이 단 1장으로 상대 몬스터를 무효화할 수 있음. || - 속공성 부재로 드로우 페이즈나 스탠바이 페이즈에 날라오는 몬스터 효과에 대처할 수 없으며, 선턴에 잡힐 경우 세트해서 상대 턴에 쓸 수 없음. [br] - 마법, 함정 카드에 의해 무효화될 수 있음. [br] - 그 턴 상대에게 데미지를 줄 수 없음. || || 금지된 일적 || - 속공 마법이기에 자신 드로우 페이즈나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된 효과는 물론 상대 턴에도 견제가 가능함. [br] -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을 낮춰 전투력도 감소시킬 수 있음.[br] - 충분한 코스트를 지불했다면 아예 체인 봉쇄도 가능함. || -무거운 코스트로 인해 막아야 할 상대 몬스터들이 많을 경우, 내 패가 먼저 바닥나는 상황도 벌어질 수 있음. [br] - 코스트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해야 하기 때문에,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대신 제외시키는 카드[* 대표적으로 [[매크로 코스모스]],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디멘션 어트랙터]], [[아크 디클레어러]], [[크샤트리라 어라이즈하트]].]를 맞았을때 발동이 불가함. || 나중에 출시된 [[금지된 일적]]과는 상호호환 관계로 전반적으로 명왕결계파가 '''로우 리스크 로우 리턴'''이라면, 금지된 일적은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두 카드가 출시된 초기에 실제 채용률은 금지된 일적 쪽이 훨씬 우세했는데, 후공 돌파로 게임을 끝내고 싶은 덱이라면 데미지 디메리트가 없는 금지된 일적이 더 끌린다는 점과 선턴에 잡히면 말림패가 되는 명왕결계파와는 달리, 일적은 세트해놓고 상대 턴의 견제 카드로 쓸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그러나 일적이 재록이 안 되고 있고 명왕결계파는 혜자 스트럭처 덱인 [[알버스트라이크]]에도 재록돼서 명결파도 많이 보이는 추세. 그러나 [[포톤 하이퍼노바]]에서 일반 마법 / 함정을 서치할 수 있는 [[삼전의 호]]가 출시되면서 일적보다 더 자주 투입되는 추세다. 또한 23년 1월 금제에서는 덱 스페이스 여유가 된다면 메인 덱 명결파 투입으로 후공 성능을 강화하는 레시피도 자주 보이고 있다. 뵐러/포영 한 번 만으로는 티어덱의 전개를 막기 힘들만큼 파워 인플레가 진행되었기에 그냥 전열을 전부 얼리는 쪽이 후공시에 더 유용해진 것. [[유희왕 마스터 듀얼]] 역시 금지된 일적에 비해 채용률이 한참 밀린다. 같은 UR 등급이지만 일적에 비해 활용도가 압도적으로 낮다는 점, 오로지 마스터 팩에서만 등장하기에 접근성이 낮다[* 금지된 일적은 특설 팩을 통해 1장을 750젬으로 확정 획득할 수 있고, 시크릿 팩 '반역의 검은 날개'에서도 등장한다. 다만 해당 팩은 비주류 테마인 [[타락천사(유희왕)|타락천사]]만 등장하는 마이너한 팩이라 차라리 만드는 게 낫다는 평이 많다.]는 점이 큰 영향을 미쳤다. 아드를 잔뜩 먹는 일적 특성상 일적보다 명결파를 선호하는 테마가 분명 존재하지만, 이런 덱들조차 명결파를 만드느니 가루 아껴서 딴거 만들다 보니 쓰는 걸 보기 굉장히 힘들다. 일적과 궁합이 나쁘면서도 턴킬에 연연하지 않는 [[후완다리즈]]에서나 일부 유저들이 주력 카드로 사용했을 뿐이다. 그러다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가 상륙한 23년 2월 중순부터 다른 후공 돌파 카드를 누르고 당당히 대세 카드에 등극하였다. 오프라인에서 스프라이트가 판을 칠 때 몇 안되게 유용했던 후공 돌파 카드인 만큼 당연한 결과. [[파일:띵결파찌이이이익.gif]] 2023년 7월 14일에 [[유희왕 마스터 듀얼/특수 연출 목록|전용 발동 연출]]을 받았는데, 어째 유령 물풍선을 쭉 짜는 모습으로 나와서 깬다는 반응이 많다. 일러스트를 잘 보면 이게 맞긴 한데 광선처럼 박력 있게 나가는 원본과 다르게 물줄기처럼 가늘게 나오는 것 때문일 수도 있다. [[https://gall.dcinside.com/m/masterduel/2904282|상대가 이 카드를 사용할 경우의 연출은 이렇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등장 이래 단 한 번도 인기가 있었던 적이 없다. 듀얼링크스의 카드 수준이 낮아 선턴에 퍼미션 몬스터는 기껏해야 1, 2장 세우는 게 고작이기에 보통은 파괴수 선에서 정리되거나, 퍼미션 1번 정도 그냥 맞고 그대로 필드를 밀어버릴 수도 있다. 마함 퍼미션이 없다면 달서, 블랙홀 등의 카드에도 박살나는 건 덤. 즉, 이 카드를 써서 1턴을 아예 버리고 상대 필드를 밀어야 할 정도로 듀링의 선턴 필드가 그렇게 강력하지가 않다. 일러스트는 [[스킬 프리즈너]]에서 이어지는 상황으로, [[심연의 명왕]]이 [[멘탈 드레인]]으로 빼앗은 영혼을 이용해 [[소생 마왕 하데스]]를 향해 [[에네르기파]]를 쏘고 있다. 잘 보면 하데스의 팔이 충격으로 골절이라도 된 듯 꺾여 있다. 영문판 카드명은 대놓고 'Dark Ruler No More'로 하데스를 저격하고 있다. 해외 수출판에서 선행 공개된 일러스트에선 여타 하데스와 마찬가지로 뿔이 구슬로 수정됐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19-08-3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TN19-EN014 | '''2019 GOLD SARCOPHAGUS TI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 || ||<(> 2020-10-2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CH-EN027 | [[정령술의 마스터|STRUCTURE DECK: SPIRIT CHARM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2-04-1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AZ-EN030 | [[알버스트라이크|STRUCTURE DECK: ALBAZ STRIK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2-09-1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P22-EN262 | 2022 TIN OF THE PHARAOH'S GOD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9-09-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P19-JP068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9]]'''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0-07-0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39-JP030 | [[정령술의 마스터|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精霊術の使い手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1-12-0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43-JP030 | [[알버스트라이크|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ALBA STRIK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2-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C04-JP061 | [[레어리티 컬렉션|RARITY COLLECTION -QUARTER CENTURY EDI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include(틀:유희왕 레어도/EX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C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QCSE)] || ||<(> 2019-12-1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P19-KR068 | '''[[엑스트라 팩|엑스트라 팩 2019]]'''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 || ||<(> 2020-10-1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39-KR030 | [[정령술의 마스터|스트럭처 덱 정령술의 마스터]]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2-03-1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43-KR030 | [[알버스트라이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3-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C04-KR061 | [[레어리티 컬렉션|레어리티 컬렉션 -쿼터 센추리 에디션-]]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include(틀:유희왕 레어도/EX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C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QC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