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전광역시의 남자고등학교]][[분류:동구(대전)의 고등학교]][[분류:1984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대전광역시 동구의 고등학교)] ||<-2> '''{{{#white {{{+1 명석고등학교}}}[br]MyeongSeok HighSchool[br]明錫高等學校}}}''' || ||<-2> [[파일:external/mshs.or.kr/main_logo3.gif]] || ||<-2> [include(틀:지도, 장소=명석고등학교 학교, 너비=100%)] || || {{{#black '''교훈'''}}} || 정의, 지혜, 창조 || || {{{#black '''개교'''}}} || [[1984년]] [[10월 10일]] || || {{{#black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black '''운영 형태'''}}} || [[사립]] || || {{{#black '''학교 법인'''}}} || 학교법인 유명학원 || || {{{#black '''이사장'''}}} || 박한우 || || {{{#black '''교장'''}}} || 백만수 || || {{{#black '''교감'''}}} || 윤인식 || || {{{#black '''학생 수'''}}} || 687명[br] (2023) || || {{{#black '''상징'''}}} || 교목 - 음나무[br]교화 - 개나리 || || {{{#black '''관할 교육청'''}}} || [[대전광역시교육청]] || || {{{#black '''소재지'''}}} || [[대전광역시]] [[동구(대전광역시)|동구]] 우암로 380(가양동) || ||<-2> [[http://mshs.djsch.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홈페이지)^^ [[https://www.schoolinfo.go.kr/ei/ss/Pneiss_b01_s0.do?HG_CD=G100000211|[[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학교알리미)^^ || || [[파일:명석고등학교 전경.jpg]] || || 학교 전경. 2016년 인조잔디를 깔기 전의 모습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명석고등학교는 [[대전광역시]]의 사립학교로, 1984년 10월 10일에 7학급으로 개교했다. 학교 이름은 1대 이사장의 이름(박재명)과 2대 이사장(박주석)의 이름의 끝자리에서 따왔다고 한다.[* 두 사람은 부자(父子)관계라고 한다.][* 明錫 밝은 명 주석 석]. 실 주소는 가양2동이나, 지리적으로 [[대전광역시]] 대덕구 비래동과 [[대전광역시]] 동구 가양2동의 경계에 있으며, 실제로 학생들 역시 동구 지역과 대덕구 지역에서 오는 학생들이 섞여있는 형태를 띤다. == 학교 연혁 == || 1982년 || 학교법인 유명학원 이사장이 취임하였다. || || 1982년 || 학교법인 유명학원 설립허가를 받았다. || || 1983년 || 초대교장 이중국이 취임하였다. || || 1983년 || 명석고등학교 신축교사의 기공식을 하였다. || || 1983년 || 명석고등학교가 각 학년 7학급으로 설립인가를 받았다. || || 1984년 || 학칙변경으로 각 학년이 8학급으로 증설되었다. || || 1985년 || 명석고등학교 신축교사를 준공 하였다. || || 1986년 || 학칙변경으로 각 학년이 10학급으로 증설되었다. || || 1989년 || 제2대 교장 김병태가 취임하였다. || || 1993년 || 제2대 이사장 박재명이 취임하였다. || || 1996년 || 학칙변경으로 각 학년이 12학급으로 증설되었다. || || 2012년 || 선진형교과교실제 도입학교로 선정되었다. || == 교훈 및 상징 == [[파일:명석고등학교 상징.jpg]] === 교훈[* 한 번 명석인은 영원한 명석인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해병대|왜인지]] 학생들에게 이 말을 하면 빵 터진다.--] === [[파일:명석고등학교 교훈.jpg]] || {{{+1 '''정의'''}}} ||바른 뜻을 가져야 바른 꿈을 꾼다|| || {{{+1 '''지혜'''}}} ||무엇을 하더라도, 지혜롭게 생각해야 원하는 결과를 이룰 수 있다.|| || {{{+1 '''창조'''}}} ||늘 한 길만 가지말고, 길을 개척해서 나아가라|| === 교목 === [[음나무]] > 음나무는 장수목으로, 성장이 빠르고 오래 장수하여 생존하는 나무이다. 학생에게 성인(成人)이 되어 꿈을 크게 이루고 성장하라는 의미에서 음나무는 명석고등학교의 교목이다. 교내 곳곳 화분에서 음나무를 찾아볼 수 있다. === 교화 === [[개나리]] === 교육 목표 === [[파일:명석고 교육목표.jpg]] === 교가 === [[파일:명석고등학교 교가.jpg]] -- 아~아~ 명석명석~! --[* 명석고 재학생들은 후렴 첫구 두 소절만 크게 부르는 경향이 있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대전광역시는 대중교통에서 선불교통카드 사용시 티머니([[한꿈이카드|한꿈이]])카드 이외 사용 불가이므로, 반드시 티머니카드를 지참해야 한다. 학기 초에 만드는 학생증(하나은행)에는 교통카드 기능과 체크카드 기능이 있으니 이용하도록 하자. 괄호 안의 번호는 각 버스정류장의 번호이다. ||<-2> '''비래동 → [[목원대학교|목원대]],[[충남대학교|충대농대]] 등 방향''' || || 명석고등학교(11690) || [[대전 버스 103|103]], [[대전 버스 105|105]], [[대전 버스 106|106]], [[대전 버스 311|311]], [[대전 버스 613|613]], [[대전 버스 620|620]] || || 한국폴리텍대학(11640) || 103, 105, 106, 311, 613, 620 || || 가양비래공원네거리(53510) || [[대전 버스 66|66]] || ||<-2> '''[[목원대학교|목원대]],[[충남대학교|충대농대]] 등 → 비래동 방향''' || || 명석고등학교(51630) || 103, 105, 106, 311, 613, 620 || || 한국폴리텍대학(11650) || 103, 105, 106, 311, 613, 620 || || 가양비래공원네거리(53520) || 66 || == 출신 인물 ==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강훈식]] - 제20-21대 국회의원 * [[김기영(1968)|김기영]] - 충청남도 행정부지사 * [[노정렬]] - 방송인 * [[백봉기]] - 배우 * [[박성준(정치인)]] - 제21대 국회의원, 前 JTBC 아나운서 * [[백현종(1971)]] - 정치인 * [[매직박]] - 스트리머, 치과의사 * [[기린(가수)]] * [[조성호(1969)]] == 학교 생활 == * 1학년은 두발 규정과 복장 규정이 매우 빡센 편이다. 2학년이 되면 슬슬 풀어진다.[* 3학년 2학기는 염색 빼고 다 가능한 수준이다.] * 매일 등교할 때 많은 양의 계단을 오른다. 교실까지 향하는 계단을 합치면 더욱 많아진다. 하체 단련은 기본[* 계단 간격이 매우 애매하여 보폭이 이상해진다.]. * 겨울에 마이를 입지 않고 겉옷을 입는 행위를 매우 강하게 단속한다.[* 마이를 입고 겉옷을 입으면 굉장히 뻣뻣하여 불편하다.][* 그래도 과거 명석고때 보다 좋아진 편이다.] * 급식을 먹을 때 1, 2, 3학년이 이용하는 통로가 다르며[* 코로나19로 인해 통로가 통일되었다.] 학생들이 매우 붐빈다. === M리그 === 명석고에서는 매년 10월 말부터 11월 중순까지 약 한 달 동안 'M리그' 라는 이름을 가진 축구대회와 농구대회[* 농구대회는 2017년부터]를 연다. 1, 2학년 전체가 참여하는 큰 행사로 각 반마다 11명의 인원을 뽑아 참가자를 모으고, 매 점심시간과 수요일의 자습시간마다 약 40분간 시합을 한다. 우승팀을 뽑는 방법은 토너먼트이며, 우승팀이 되면 교사팀과 경기를 할 자격을 얻을 수 있으며 소정의 상금이 수여된다고 알려져 있다. 당연하지만 3학년은 수능 준비 때문에 M리그에 참여하지 않으며, 1학년과 2학년만 참가한다. == 기타 == * 학교가 기본적으로 산[* 정식명칭은 '꽃산'이지만 몇몇 교사와 대부분의 학생들은 주로 '명석산'이라고 부른다.][* 학교에 붙어있는산인 꽃산(명석산)이 꽤 큰 산이기 때문에 학교에서 청설모 같은 작은 야생동물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으며, 야자시간에는 박쥐들이 날아다니는 일도 종종 일어난다. (주로 4층 창밖에서 목격된다.)]의 일부를 깎아내고 지어졌기 때문에 학교와 산이 붙어 있으며, 등교할 때 언덕을 올라가야 한다. * 대강당에 비둘기가 살았었다. 교내 운동부에서 키워 주었으나 어느 새인가 사라졌다. * 2016년 11월에 인조잔디를 깔고 배구장을 만들어 준공식을 하였다.[* 2020년 기준 족구장으로 사용 좌측에 농구장 코트 두 개가 있다.] * 명석고등학교는 유도와 럭비에 투자를 많이 하는 학교로, 1학년과 2학년 학생은 유도 수업을 1주일에 1시간 듣게 되어 있다. 단지 2년간 수업에 성실히 참여하는 것만으로도 최고 유도 2단까지 받아갈 수 있다.[* 승단심사는 학교에서 치르며 본인이 담당 교사에게 신청해야 한다.] 만약 유도에 관심이 있거나 단을 따두고 싶은 학생이라면 상당한 플러스 요인이 될 수 있다. * 학교의 전통으로 4월 초 쯤, 명석고의 벚꽃이 피면 단체로 운동장에 나가 반 사진 및 개인사진을 찍는다. 이 외에도 수능 전 날, 2학년 학생들이 길을 만들어 교장과 조회 이후 귀가하는 3학년 학생들에게 박수를 쳐준다. '내년에는 나도 저기 있겠지. 열심히 하자'라는 생각을 갖자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 사립 고등학교이기 때문에 교사가 교체되는 일이 거의 없는데, 개교한지 30여년이 지나 은퇴를 앞둔 50대 후반~60대 교사와 30대의 젊은 교사가 공존하고 있다. * 여교사의 비중이 적다.[* 사실 사립 남자고등학교들이 다 그렇다. 그 중에서도 명석고는 꽤 심각한 편.][* 2019년 기준, 여교사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소문에 따르면 초대 이사장이 '남자는 남자교사가 가르쳐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고, 이것이 전통처럼 내려왔기 때문이라고 한다. 2021년 부로 명석고등학교와 인생을 함께한 교사들이 대거 정년퇴임하며 새로운 교사들 또한 대거 고용되었다[* 여교사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대폭 상승하였다.]. * M리그, M산, M브릿지, M바우제 명석고에 관련된 것에 M이나 명석을 붙이는 것도 특징이다. --그래서 몇몇 학생들은 명석고등학교에 몸 담은 인생을 M생(M生)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교내에 럭비부가 있어서 오후에 훈련을 한다. * 뒷산에 통로가 있어 점심 시간에 이곳으로 학생들이 자주 드나들었으나, 2021년에 걸린 후로 막혀버렸다. * 학교구조가 좌우로 건물을 붙혀 놓은 형태로 층과 층사이에 다른 층이 존재하는 기이한 형태이다. 수능 수험생같이 처음 온 사람이 방문할 경우 길 잃기 십상이니 미리 구조를 알도록 하자. * 본관 뒤에 3학년만 사용하는 신관이 존재한다. * 신관은 무더운 여름 하수구 냄새[* 일반 화장실 냄새가 아닌 하수구 그 자체 냄새이다.]가 나는데, 뭔가 지리상 잘못 되었다는듯. 대전시청에 문의했으나 학교 바닥을 뒤엎지 않는 이상 해결이 불가능하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