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우주전함 야마토 시리즈]] [목차] == 개요 == ||<-3><:> {{{+1 ''' 메호 작전 '''}}} || ||<-3> 대 가밀라스 전쟁의 일부 || ||<-3> '''날짜''' || ||<-3> 서기 2198년 8월 21일 || ||<-3> '''장소''' || ||<-3> 명왕성 인근 || ||<:> '''교전국'''|| 대 가밀라스 제국 || 지구연방 || ||<:> '''지휘관''' ||<(> 불명 ||<(> [[오키타 쥬조]] [br] 야마나미 오사무[* 오키타 쥬조 함장의 부관. 기리시마에 승선해 있으며, 오키타를 보좌한다.] [br] [[코다이 마모루]] || ||<-3> '''결과''' || ||<-3> 가밀라스의 전술적 승리, 지구연방의 전략적 승리[* 처음 목표였던 파동 코어 회수에 성공하였다.] || ||<:> '''병력''' ||<(> 가이데롤급 2등 항주전함 1척 [br] 멜트리아급 2등 항주전함 7척 [br] 케르카피아급 항주 고속경순양함 22척 [br] 크리피테라급 항주 구축함 다수[* 1화에서 나온 바로는 '''최소 80척 이상이다.''']||<(> 공고형 우주전함 1척[* 기리시마. 함대의 기함이다.] [br] 무라사메형 우주순양함 9척 [br] 이소카제형 돌격 우주구축함 12척|| ||<:> '''피해규모''' ||<(> 불명[*작중에서 확실하게 침몰이 밝혀진 함은 크리피테라급 항주 구축함 2대뿐이다.][* 1척은 기함 기리시마를 기습했다가 유키카제에게 당했고 1척은 가밀라스 함대가 유키카제를 공격하는 과정에서 팀킬당했다.][* 다만 그외에도 전투 중간중간 기리시마가 쏜 어뢰에 격침된 함들도 꽤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코다이 마모루 전사''' [br] 기리시마를 제외한 1함대 전체 괴멸 || 우주전함 야마토 2199의 1화 전반을 장식하는 전투. 이스칸다르에서 온 파동코어 회수를 엄호하기 위한 지구연방 제 1함대와 가밀라스 군과의 전투이다. == 전개 == [[파일:Fleet-Comparison-1024x303.jpg]] 지구군 제 1함대와 가밀라스군의 함대 규모 비교. '''그야말로 참담하다.''' 제 1함대는 예정대로 파동 코어를 실은 셔틀이 도착할 동안 가밀라스 함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명왕성 근처에 집결한다. 이어 그곳으로 끌려들여온 가밀라스 함대는 지구 함대에게 즉시 [[항복]]하라는 신호를 보내고, 오키타 사령관은 여기에 '''바보 자식'''이라고 응수한다.[* 이는 [[아르덴 대공세]] 때 미군 제 101 공수사단의 부지휘관 앤서니 맥콜리프가 독일군 사절의 항복 서신을 받아들고 "NUTS"(엿멱어라!)라고 답신을 보낸 것의 오마쥬이다.] 오키타 함장의 답신을 받은 가밀라스 함대는 즉시 지구 함대에 공격을 가했고, 그와 동시에 무라사메형 순양함 유기리가 격침된다. 이에 맞서 1함대 역시 즉시 반격을 게시했지만, 가밀라스보다 떨어지는 지구연방의 기술력을 상징하듯 그들이 쏜 포는 '''모조리 튕겨나간다!'''[* 이게 왜 심각하냐면, 주포를 발사한 무라사메형은 ''' 순양함인데,''' 이를 도탄시킨 가밀라스 함들은 '''구축함이었다.'''] 그렇게 지구 함대는 모자란 전력으로 어떻게든 싸워보지만, 기함 기리시마를 제외하면 가밀라스 함대에 의미있는 피해를 입히지는 못했다. 심지어 그 와중에 엔진을 피탄당한 이소카제형 구축함 [[팀킬|시마카제가 무라사메형 순양함 아부쿠마와 충돌해]] 둘 다 격침당하는 등 완전히 난장판이 벌어진다. 한편 무선으로 뭔가 심상치 않은 일이 벌어진 걸 체감한 [[코다이 마모루]]는 급히 명왕성으로 향하던 유키카제를 반전시켜 본함대를 구원하기 위해 달려갔다. 그리고 그 사이에 살아남은 함들 역시 하나둘씩 격침되었고, 결국에는 기리시마 1척만 살아남았다.[* 기리시마는 그래도 [[전함]]인지라 다른 함들이 [[일제사격]] 한대 맞고 뻗는 사이 그걸 몇대 맞고도 버티는 맷집을 보여준다.] 한편 그 사이 화성에서는 파동 코어 입수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작전의 목표를 달성한 기리시마는 어뢰 등 기용 무장을 총동원해 가밀라스 본함대에게서 벗어나는데 성공하지만, 이내 뒤쫓아온 [[구축함]] 1척에게 기습 공격을 받는다. 기리시마는 급히 대공 기관총을 쏘며 반격했지만 기습이였던 만큼 꽤나 위험했던 상황. 다행히도 구축함이 기리시마를 향해 쏜 어뢰는 전부 빗나갔고, 때맞춰 [[코다이 마모루]]가 이끄는 유키카제가 난입해 어뢰로 구축함을 격침시키면서 간신히 위기를 모면하게 된다. 상황이 종료된 후, 오키타는 코다이 마모루 에게 같이 귀환하자면서 [[철수]]를 명령하나, 마모루는 이를 거절하고 혼자 끝까지 싸우겠다고 했고, 결국 오키타 함장 역시 마모루를 보내주기로 결심한다. 그리고 마모루는 유키카제 승조원들과 함께 끝까지 가밀라스 본함대에 맞서 싸우다 명예롭게 [[전사]]한다. 그리고 기리시마가 파동 코어를 입수한 99식 정찰기를 회수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화성]]으로 철수하면서 메호 작전은 막을 내린다. == 의의 == 지구연방은 함선 손실 도합 21척이라는 큰 피해를 내고도 가밀라스군에게 제대로 된 피해조차 입히지 못했다. 따라서 이 전투는 가밀라스군의 전술적 대승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건, 이 전투의 진짜 의의는 바로 이스칸다르에서 보낸 파동코어 회수였다. '''사실 지구군이 처음에 메호 작전을 계획했던 것도 양동 작전을 목적으로 한 것이였다.''' 결국 전술했듯 최종적 목표였던 파동코어 회수에 성공하였고, 이는 야마토를 제작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주었으니 지구군의 전략적 승리가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