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메트리아칸토사우루스}}}[br]Metriacanthosauru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etriacanthosaurus_ilium.png|width=100%]]}}} || ||<-2> {{{#000 '''학명'''}}} || ||<-2> ''' ''Metriacanthosaurus parkeri'' '''[br]von Huene, 1923 || ||<-2><#f96>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계통군|{{{#000 '''계통군'''}}}]] ||[[석형류|석형류^^Sauro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상목'''}}}]] ||[[공룡|공룡상목^^Dinosaur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용반목|용반목^^Saurisch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아목'''}}}]] ||[[수각아목|수각아목^^Theropod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상과'''}}}]] ||†[[알로사우루스상과|알로사우루스상과^^Allosauroide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메트리아칸토사우루스과^^Metriacanthosauridae^^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아과'''}}}]] ||†메트리아칸토사우루스아과^^Metriacanthosaurin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메트리아칸토사우루스속^^''Metriacanthosauru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 * †메트리아칸토사우루스 파르케리(''M. parkeri'')^^{{{-1 [[모식종]]}}}^^[br]von Huene, 1923||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etriacanthosaurus.jpg|width=450]]}}} || ||<#fc6> {{{-1 '''복원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aleofile.com/Met%20skeleton%20s.jpg|width=450]]}}} || ||<#fc6> {{{-1 '''화석 발견 부위 도해. 회색 부분이 실제 화석 부위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생대]] [[쥐라기]] 중기에 살았던 [[수각류]] [[공룡]]. 속명은 "알맞은 돌기 도마뱀"이란 뜻으로, [[영국]] 중부 [[옥스퍼드(영국)|옥스포드]] 점토층에서 화석이 발견되었다. == 연구사 == 화석으로 발견된 것이 부분적[* 등뼈, 다리뼈, 엉덩이뼈뿐이었다.]이라서 형태 복원 과정에서 비슷한 공룡들을 참고하였다. 1923년 [[독일]]의 고생물학자 프리드리히 폰 후에네는 [[메갈로사우루스]]에 속하는 종이라 여겨 '메갈로사우루스 파커아이'로 이름을 붙였다. 그러나 1964년, 메갈로사우루스와는 연관이 없는 것으로 밝혀지고 '메트리아칸토사우루스과'라는 새로운 과가 만들어져 여기에 속하게 되었다. 속명의 유래가 된 등의 돌기는 다른 [[알로사우루스]]상과의 공룡들보다 높지만, 같은 알로사우루스상과에 속하는 [[아크로칸토사우루스]]의 것보단 낮다. 몸무게는 [[미국]] 고생물학자 그레고리 S. 폴이 1998년에 1t 정도로 추정했지만 현재는 '''2t''' 정도로 추정치가 수정된 상태. == 등장 매체 ==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JP-DinoDNA2.jpg|width=600]] || * 대중에게는 인지도가 낮은 편인 공룡이지만 [[쥬라기 공원(영화)]]에서도 [[데니스 네드리]]가 공룡들의 수정란을 훔칠 때 잠깐 이 공룡의 수정란이 스쳐가는 등 [[쥬라기 공원 시리즈]]에서는 생각보다 짬밥이 상당한 공룡. 정작 실제 개체가 영화에 나온 적은 한 번도 없지만. 단, 이 수정란은 당시 메트리아칸토사우루스의 한 종으로 분류된 중국 수각류인 [[양추아노사우루스]]의 수정란이란 의견도 있다. [[파일:external/i1.ruliweb.daumcdn.net/54F1E2B2413DC90029?.jpg|width=600]] * [[쥬라기 월드]]가 개봉하기 전에 공개된 컨셉아트에서 등장했고 관람객 팜플렛 리스트에도 이름이 올라와 있었지만 결국 등장하지 못했다. 그래도 이 복원도의 모습 그대로 [[쥬라기 월드 에볼루션]]에 등장한다. [[쥬라기 월드: 더 게임]]에서도 토너먼트 경품으로 등장한다. 쥬라기 공원 팬들에게는 1편부터 떡밥이 있을 정도로 짬밥은 높으면서 [[쥬라기 월드 에볼루션]] 이전까지 단 한편도 못나왔다는 점 때문에 컬트적인 인기가 있다. * [[고대왕자 공룡킹]]에도 등장하는 공룡들 중 하나이다. [[분류:메트리아칸토사우루스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