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메탈리카)] [목차] == 개요 == [[메탈리카]] 멤버들이 사용하는 악기를 다룬 문서. == [[제임스 헷필드]] == 대부분 셋인넥 방식을 취하고 [[EMG]] JH픽업이 박힌 기타를 사용하고 있다. === [[ESP(기타)|ESP]] === [[파일:external/cdn.growassets.net/xlarge.png|width=600]] [[파일:external/e3652ff01bb92c24d172d234862f830507cd857ddfce4c1377eca85786cb5076.png|width=600]] "Vulture" 10집, 11집 시기의 주력 기타다. [[파일:attachment/메탈리카/Snakebyte.jpg]] "Snakebyte" 외형은 [[Gibson]] [[Explorer(Gibson)|Explorer]]를 연상시키지만 각진 디자인과 연주의 편의를 위해 팔이 닿는 부분이 살짝 깎여 있다. 제임스 본인이 직접 디자인했다고. [[파일:external/b2c8dd9ab7b24499286582c491ff04e720923bf0f2749e05880d31c788e3c62c.png|width=600]] [[파일:external/medias.audiofanzine.com/esp-truckster-aged-primer-grey-321012.jpg|width=600]] "Truckster"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e22490bb8f954608105aa345e21fccfc.jpg|width=600]] Explorer 5가지를 사용한다--많기도 하네--. 라이브 영상을 찾아보다 보면 "EET FUK" 라고 적힌 스티커가 붙어있는 기타도 볼 수 있었을 테지만 제임스가 임의로 붙인 것으로 추정되어 목록에서는 제외했다. 모델 수가 그렇다보니 사진을 다 올리기엔 뭐하여 모델명만 열거한다. 모델명은 다음과 같다. -Black (White Pickguard) vintage Nash -Silver diamond plate -Black diamond plate -“Tattoo” white (사진에 보이는 모델이다.) -Black diamond plate “antlers inlay” [[파일:external/www.chorder.com/2983-desktop.jpg|width=600]] LTD Grynch === 제임스 트루사트 (James Trussart) === [[파일:external/www.guitarrelic.com/SteelDeville-300x201.jpg]] Les Paul "Rusty Holey" [[파일:external/www.premierguitar.com/fce9384a-c480-4f73-9321-2fb0ad25f62a.jpg]] Explorer 목재가 아닌 것 같다면, 잘못 본 거 아니다. 바디는 전부 금속 맞다.--미친 게 분명해--[* 실제로도 제임스 트루사트의 기타들은 금속 재질로 만들어져 있으며 국내 악기상인 버즈비에서 500~700만원이라는 고가에 판매되었다.] === 켄 로렌스 (Kenneth Lawrence)[* 한 명이 자신의 이름을 내건 브랜드에서 '''모든''' 공정을 한다. 베이스 생산이 주류지만 기타도 생산한다. 가격은...] === [[파일:external/www.rareguitarheaven.net/186_P_1337572693145.gif]] [[파일:external/www.guitarscollector.com/ExpFull.jpg]] Explorer. 각각 Flame Sun 과 Aztec Tribal 모델이다. 다를 게 없는 것 같다면 지판의 인레이를 살펴보자. || [youtube(FtHWuO8CvUU)] || || 2022년 10월 기준 제임스가 보유한 켄 로렌스제 기타 목록 || === [[Gibson]] === [[파일:external/images.gibson.com/gibson-explorer_1.jpg]] [[Explorer(Gibson)|Explorer]] [[파일:external/www.guitarscollector.com/07july1207_pic14.jpg]] [[Les Paul]] 커스텀. --깁슨스럽지는 않은 색깔이다.-- [[파일:external/www.guitarscollector.com/05may1608_pic12.jpg]] Les Paul "RIP Cliff Burton" --깨알 [[윈스턴]]-- [[파일:external/i.simpalsmedia.com/d24773b044dd4e068332b0a31fc57aec.jpg]] [[Flying V]]. 3가지 색상을 쓴다. -White -Sunburst -Silverburst === [[Line 6]] === [[파일:external/images.equipboard.com/line-6-variax-700-acoustic-l.jpg|v=1488878825]] Line 6 Variax Acoustic 700 === Dave of England === [[파일:external/www.premierguitar.com/8ab00f35-aa12-4f47-9922-af8232141254.jpg]] Les Paul, Aluminum engraved JH tattoo. === [[Fender]] === [[파일:external/www.guitarscollector.com/11nov1310_pic17.jpg]] [[Telecaster]]. B-Bender Butterscotch[* 애초에 텔레캐스터는 레스폴을 겨냥해서 나온게 맞기는 한데..][* 여기에도 [[EMG]]가 달려있다.] === Iron Cross === [[파일:external/www.guitarscollector.com/gibsonod5.jpg]] [[Gibson]] [[아이언 크로스]]. [[파일:external/static.weloveshopping.com/580896.jpg]] [[ESP(기타)|ESP]] 아이언 크로스. 깁슨 버전도 있고, ESP 버전도 있기에 따로 적는다. 원래는 제임스가 중고로 구한 깁슨 레스폴 커스텀에 철십자와 EMG에 주문제작한 금장 픽업을 달고 커스텀 레릭 처리를 한 것이 원형이다. ESP에서는 그 기타를 모디하여 생산하였다. [[파일:external/ed193d6b9f85124a64d6e561f16aa003154152345347e66f59c9c311ae11ccc0.png]] 한편, 한정 생산한 블랙/골드 색상의 모델과는 다르게 화이트/블랙 색상은 양산하고 있다. == [[커크 해밋]] == 커크 해밋 시그니쳐의 외형은 대부분 [[슈퍼스트렛]]을 따른다. 공포영화 마니아인 커크의 취향이 그대로 드러나는 프린팅의 기타들이 상당수를 차지한다. === [[ESP(기타)|ESP]] === [[파일:attachment/메탈리카/KH-2.jpg]] KH-2 Vintage, "Caution Hot" [[파일:attachment/메탈리카/KH-2Mummy.jpg]] KH-2 "Mummy" [[파일:external/7648a636021afd83e419574b0192e2618746293241d8e1eed59fc52065493ca6.jpg]] KH-2 Greenburst [[파일:external/www.metallica-japan.com/01jan3110_pic25.jpg]] KH-2 Custom Paint "By Mark Ryden" [[파일:external/www.guitarscollector.com/esp-kh-3-thru-custom-shop.jpg]] KH-3 "Spider 13" [[파일:external/www.guitarscollector.com/01jan1209_pic19.jpg]] KH-4 Mirror Pickguard [[파일:external/22817bba3a7f5f1dfb6332dbca85b18b362a4a3d6caa6a5067b04365043a696a.jpg]] KH-20 Black Translucent [[파일:external/www.guitarscollector.com/xlarge--40-.jpg]] M-1 "Bride Of Frankenstein"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cf28479f8a5a93e8efff016003d284cb.jpg]]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f967f06517df07f85dd92a5456ef013b.jpg]] M-2 "Ouija" [[파일:external/www.metallica-japan.com/04apr2310_pic27.jpg]] M-2 "Dracula-Original" [[파일:external/www.metallica-japan.com/09sep2610_pic07.jpg]] M-2 "Dracula-Big" [[파일:external/52acbaa2a1070d0fb0a3cf0d9d62ab2deb625217c4a170378774f2311379af38.png]] LTD KH-WZ White Zombie [[파일:external/c6d7e41c87c95096107af79571e6b868593ce04e073217e323d45b453835e68c.png]] KH "Demonology" [[파일:external/www.guitarscollector.com/11nov1310_pic18.jpg]] Les Paul Jr. Sunburst === [[Jackson(기타)|Jackson]] === [[파일:external/www.rhoadsflyingv.com/jackson-rhoads-v.jpg]] Flying V "Randy Rhoads" [[파일:external/www.metallica-japan.com/05may1210_pic20.jpg]] Flying V "Randy Rhoads" #11 Copper === [[Gibson]] === [[파일:external/www.guitarscollector.com/2008-06june0508_pic16.jpg]] [[파일:external/www.long-mcquade.com/lg_Cslpstdltrnh%20angle.jpg]] Gibson Les Paul translucent red tiger stripe [[파일:external/www.flying-v.ch/fc03bk1.jpg]] Gibson Flying V Black with Gold hardware [[파일:k2kBc9KP9XJ6pKsnVfG8FT.jpg]] Gibson Les Paul Standard 1959[* 일명 '그리니'. [[피터 그린]], [[게리 무어]]가 사용하던 기타. 참고로 넥 픽업이 거꾸로 달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사실 피터 그린이 실수로 잘못 장착한 것이라고 한다.] [[파일:external/afc7c44c160a7e350e871aee8502b747255b1566e4bc27ac9455536d2d2b8d1e.jpg|set_id=2]] Gibson Les Paul translucent black tiger stripe === Teuffel === [[파일:external/www.metallica-japan.com/Kirk-Hammett-02.jpg]] Teuffel Niwa Charcoal Gray == 로버트 트루히요 == 워윅과 Zon에서 시그네쳐 베이스가 나온다. 허나 스테이지에서 펜더나 ESP, 뮤직맨도 간간이 들고 나오는 걸 보아 엔도서 위반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만 여러가지 들고 나오는 듯. === [[Warwick]] === Warwick 5 string Trujillo chrome Warwick 5 string Trujillo heavy chrome Warwick 5 string Trujillo “Terminator” black chrome Warwick 5 string matrix turquoise Warwick 4 string Trujillo blue chrome Warwick 5 string Trujillo blue stain maple “Surf Stringers” Warwick 5 string Trujillo black stain === [[ESP(기타)|ESP]] === ESP 5 string Trujillo model army green Nash ESP 5 string Trujillo model Dirty Donny ESP 5 string Trujillo Red Scorched === Tobias === Tobias 5 string “Aztec de la Chloe” Tobias 5 String blue stain Tobias 5 String black stain === Nash === Nash 4 String P-Bass white w/ red tortoise pick guard Nash 4 String P-Bass “Jailbreak” black Nash 4 string P-Bass 62 Black w/ copper pick guard Nash 4 String P-Bass yellow “Shitblaster” Nash 4 string “Flamethrower” === Zon === Zon 5 string “Klown” Zon 5 string “HoodRat” === [[Fender]] === Fender 4 string P-Bass black w/ white pick guard Fender 4 String P-Bass tobacco burst === [[Music Man]] === Music Man 4 string Fretless Sting Ray root beer sparkle === [[YAMAHA]] === Yamaha 5 string “Aztec” Yamaha 5 string “Rat Rod” === [[Rickenbacker]] === Rickenbacker 4 String 4003 Rickenbacker 4 String 4003 “Mean Green” 이상 장비들은 metallica.com에 등록된 트루히요의 장비들이다. == 라스 울리히 == 6기통 드럼에 7가지 심벌을 사용한다. 전성기 때는 9기통에 심벌을 묵직한 것들로만 뽑아 8개를 달고 연주했지만 나이가 들며 기량이 확 죽으면서 드럼셋도 이처럼 간소화되었다. === 드럼 === [[파일:external/www.totaldrumsets.com/lars-ulrich-set-up-3.jpg]] [[파일:external/www.tamadrum.co.jp/12.jpg]] 2009년 [[NAMM Show]]에서 선보여진 드럼셋 [[Ibanez]]가 소속되있는 Hoshinogakki의 산하에 있는 [[TAMA]] 라는 브랜드의 Star Classic 메이플 드럼을 사용한다. LU 마그네틱 오렌지 피니쉬를 입힌 드럼도 있지만, 스테이지에서는 대부분 퍼플에 펄이 들어있는 컬러를 사용한다. 셋팅은 다음과 같다. 베이스 드럼 - 16″ × 22″ (X2) 탐탐 - 8″ × 10″, 10″ × 12″ 플로어 탐 - 14″ × 16″, 16″ × 16″ [[파일:external/www.long-mcquade.com/lg_LU1465.jpg]] 6.5″ × 14″, 라스 울리히의 시그네쳐 스네어. [[파일:external/remo-production.s3.amazonaws.com/Lars_Ulrich-avatar.jpg.240x240_q90_bw_crop.jpg]] 상피에 메탈리카의 로고가 있다. --사진이 흑백인 건 무시하도록 하자.-- [[파일:30516357_2343884925625385_8562852697189908480_n.jpg|width=400]] 1990년대에는 주로 Artstar II 키트를 썼다. 현재 쓰는 Star Classic 세트는 전반적으로 스파클 피니시 처리가 되어 있어 공연 때 반짝반짝 빛나는 것과 달리 Artstar II 세트는 흰색 바탕에 별 달리 특별한 피니시 처리가 되어 있지 않아 투박하지만 강렬한 외관을 자랑하였다. 여기에 하드웨어는 검정색이어서 묵직한 느낌을 더했고, 탐탐도 4개씩 설치해서 우람한 외관을 자랑하여 드럼 세트의 카리스마를 배로 늘렸다. === 하이햇 & 심벌 === 하이햇과 심벌은 [[질젼]]의 심벌을 사용한다. [[파일:external/pq.b5z.net/Zildjian_Z_Custom_Dyno_Beat_Hats_14in.jpg]] 14″ Dyno Beat Z hi-hats [[파일:external/s3.amazonaws.com/1126386_13844_popup.jpg]] 17″ Projection A brilliant crash. 18", 19" 로 이와 다른 규격의 두 모델, 총 3개를 사용한다. [[파일:external/www.electroaudio.com.ar/ORIENTAL%203.jpg]] 18″ China Trash (X2). 하나는 라이드로, 하나는 본 용도로 사용한다. --라이브를 정신 사납게 하는 주범-- 그리고 다른 규격으로 20" 차이나 심벌을 하나 더 사용한다. === 페달 & 스탠드 & 스틱 === [[파일:external/www.drumcityguitarland.com/GetImage.ashx?Path=~%2Fimages%2FTama+hardware%2FTama+HP900PS+Iron+Cobra+Power+Glide+Single+Pedal.jpg]]&maintainAspectRatio=true&maxHeight=300&maxWidth=300 Tama 의 아이언 코브라 파워글라이드. 물론 베이스 드럼이 두 개이니 페달도 두 개를 쓴다. [[파일:external/s3.lonestarpercussion.com/Tama-HH905N.jpg]] 같은 회사의 Lever Glide 하이햇 스탠드이다. 다른 스탠드와 달리 받침 다리가 2개이고, 나머지 하나는 페달이 대신해준다는 게 타 스탠드와는 구별되는 점. DW도 이런 방식을 채택하긴 한다. [[파일:external/www.tama.com/187.png]] Tama의 로드프로 붐 심벌 스탠드. [[파일:external/www.altomusic.com/10051520.jpg]] 어헤드 라스 울리히 시그네쳐 알루미늄 드럼 스틱. 길이 16.25인치 (41.275cm), 직경 0.595인치 (1.5113cm), 7그램의 묵직함을 자랑한다. 알루미늄이라는 특성상 진동이 그대로 손으로 전달될 것 같지만, VRS 시스템으로 충격을 상당히 잘 상쇄시켜준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메탈리카, version=657)] [[분류:메탈리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