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화 되지 않은 카드/사이버스족]] [[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파일:메타몰포제.png]] || 한글판 명칭 ||<-4>'''메탈 몰-포제'''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メタル・モール-フォーゼ'''|| || 영어판 명칭 ||<-4>'''Metal Molephosis''' (비공식 번역명)||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속성|땅]] || [[유희왕/종족|사이버스족]] || 1000 || 1000 || ||<-5>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 밖에 사용할 수 없다.[br]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종족과 속성을 1개 선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일반 몬스터는 턴 종료시까지 선언한 종족 / 속성이 된다. || [[유희왕 VRAINS]] 119화에서 [[후지키 유사쿠|Playmaker]]가 [[아이(유희왕)|아이]]와의 마스터 듀얼에서 사용. [[엑슬레이어]]를 소재로 링크 소환된 [[링크로스]]가 특수 소환한 토큰 2장의 속성 / 종족을 어둠 속성 / 드래곤족으로 변경한 후 링크로스와 같이 [[프록시 F 매지션]]의 소재가 되었다. 이 효과로 속성과 종족을 바꾼 토큰 2장은 [[바렐로드 F 드래곤]]의 융합 소재로 사용되었다. 이름의 유래는 뭐로 보나 [[변신]]라는 뜻의 [[독일어]] Metamorphose([[메타모르포제]])에서 발음이 비슷한 단어로 조금씩 바꾼 것.[* 여담으로, [[돌연변이(유희왕)|돌연변이]]의 일판 명칭도 메타모르포제이다. 이름의 차이를 두기 위해서도 바꿀 필요가 있었다.] 모르 부분이 영어 mole(두더지)와 발음이 같은 걸 활용해 두더지 모양새로 디자인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