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뉴욕]]에서 메츠-윌레츠 포인트(Mets-Willets Point)라는 이름을 가진 역은 두 개가 있으며, 환승이 가능한 위치에 있다. == [[뉴욕 지하철 7호선]]의 역 == || [[34가-허드슨 야드 역|{{{#!html
34가-허드슨 야드 방면}}}]][[111가 역|{{{#!html
111가}}}]] || {{{+1 {{{#fff ←}}} }}} ||[[뉴욕 지하철 7호선|[[파일:뉴욕 지하철 7호선 아이콘.svg|width=75]]]]|| {{{+1 {{{#fff →}}} }}} || [[플러싱-메인 가 역|{{{#!html
플러싱-메인가 방면}}}]][[플러싱-메인 가 역|{{{#!html
플러싱-메인가}}}]] || || [[34가-허드슨 야드 역|{{{#!html
34가-허드슨 야드 방면}}}]][[정션 블러바드 역|{{{#!html
정션 블러바드}}}]] || {{{+1 {{{#fff ←}}} }}} ||[[뉴욕 지하철 7호선|[[파일:뉴욕 지하철 7호선_d 아이콘.svg|width=75]]]]|| {{{+1 {{{#fff →}}} }}} || [[플러싱-메인 가 역|{{{#!html
플러싱-메인가 방면}}}]][[플러싱-메인 가 역|{{{#!html
플러싱-메인가}}}]] || Mets-Willets Point Station. 1927년 5월 7일 개통. 1927년 개통 당시 이름은 '윌레츠 포인트 블러바드 역'이였으나 1964년 새로운 [[뉴욕 메츠]] 구장인 [[셰이 스타디움]]이 개업하면서 '윌레츠 포인트-셰이 스타디움 역'으로 개명됐다. 그리고 셰이 스타디움이 철거된 2009년 '메츠-윌레츠 포인트 역'이라는 오늘날의 이름이 붙게 되었다.[* 사실 [[MTA]]에서 [[시티 필드]]에 역 [[명명권]]을 팔려고 했지만 거절당했다. 만약 성사되었다면 역 이름은 '윌레츠 포인트-시티 필드 역'이 되었을 수도 있다.] 승강장 구조는 3선 2면이지만 섬식 승강장과 맨해튼 방면에 있는 상대식 승강장으로 돼있다. 개통 당시 한동안 종착역으로 쓰여졌고, 덕분에 이런 독특한 구조가 나오게 되었다. 일부 열차는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일시적으로 승객이 증가하는 역인데, 역세권은 [[뉴욕 메츠]] 구장인 [[시티 필드]]와 플러싱 코로나 파크이다[* 시티 필드 바로 옆의 '빌리 진 킹 국립 테니스 센터(Bille Jean King National Tennis Center)'도 무시할 수 없다.]. 야구 경기가 있는날에는 당연이 수요가 폭발하지만 [[US 오픈]]이 뉴욕에서 열릴때도 승객들이 넘처난다[* 그래서 US 오픈 기간에는 미국 전국과 해외에서 온 테니스 관람객으로 거의 만석에 가깝다.]. 덤으로 역 바로 옆에 코로나 차량기지, 케시 스텐글 버스 차고지가 있다. 때문에 야구장을 제외하고는 칙칙한 회색도시 느낌이 강하다. 비 오는 날 걷다 보면 꽤나 음울한 분위기가 나기도 한다[* 게다가 지금은 정리된 상태이지만 바로 옆에 폐차처리점들이 상권을 이루고 있었던 탓에 더 을씨년스러웠다. 정작 고통스러운건 바로 앞의 폐수가 섞인 호수에서 나는 악취이지만.]. === 승강장 === ||<-7> [[플러싱-메인가역|플러싱-메인가]] ↑ || || {{{#ffffff 1}}} || ㅣ || ㅣ || {{{#ffffff 2}}} || {{{#ffffff 3}}} || ㅣ || {{{#ffffff 4}}} || ||<-7> ↓ [[111가역|111가]](완행) / [[정션 블러바드역|정션 블러바드]](급행) || || {{{#ffffff 1}}} || [[뉴욕 지하철 7호선|[[파일:뉴욕 지하철 7호선 아이콘.svg|width=17]]]] [[뉴욕 지하철 7호선]] (완/급행) ||[[111가역|111가]]·[[퀸즈보로 플라자역|퀸즈보로 플라자]]·[[그랜드 센트럴-42가역|42가-그랜드 센트럴]]·[[타임스 스퀘어-42가역|타임스 스퀘어-42가]]·[[34가-허드슨 야드역|34가-허드슨 야드]] 방면|| ||<|2> {{{#ffffff 2}}} ||<|2> [[뉴욕 지하철 7호선|[[파일:뉴욕 지하철 7호선 아이콘.svg|width=17]]]] [[뉴욕 지하철 7호선]] (급행) ||[[정션 블러바드역|정션 블러바드]]·[[퀸즈보로 플라자역|퀸즈보로 플라자]]·[[그랜드 센트럴-42가역|42가-그랜드 센트럴]]·[[타임스 스퀘어-42가역|타임스 스퀘어-42가]]·[[34가-허드슨 야드역|34가-허드슨 야드]] 방면|| ||[[플러싱-메인가역|플러싱-메인가]] 방면|| || {{{#ffffff 3}}} || [[뉴욕 지하철 7호선|[[파일:뉴욕 지하철 7호선 아이콘.svg|width=17]]]] [[뉴욕 지하철 7호선]] (완행) ||<|2>[[플러싱-메인가역|플러싱-메인가]] 방면|| || {{{#ffffff 4}}} || [[뉴욕 지하철 7호선|[[파일:뉴욕 지하철 7호선 아이콘.svg|width=17]]]] [[뉴욕 지하철 7호선]][* 메츠 구장에서 열리는 야구 경기나 US Open과 같이 큰 행사가 열려야만 이 플랫폼을 개방한다.] || 2면 3선 승강장이다. 플랫폼 번호는 임의로 부여했다. == [[롱아일랜드 철도]] 포트 워싱턴 지선의 간이역 == ||<-3> {{{+2 '''Mets-Willets Point'''}}}[br]{{{+1 '''메츠-윌레츠 포인트'''}}} || ||<-3> [[롱아일랜드 철도|{{{#ffffff '''롱아일랜드 철도'''}}}]] || || [[펜실베이니아역(뉴욕)|{{{#!html
뉴욕 펜역 방면}}}]][[우드사이드역|{{{-1 우드사이드}}}]] || [[롱아일랜드 철도 포트 워싱턴선|{{{#!html
포트 워싱턴}}}]]{{{#!html
(1구간)}}} ||<-2> [[포트워싱턴역|{{{#!html
포트 워싱턴 방면}}}]][[플러싱-메인가역|{{{-1 플러싱-메인가}}}]] || ||<-3>[include(틀:지도, 장소=Mets-Willets Point Station (LIRR), 너비=100%, 높이=300px)]|| ||<-3> '''역 운영기관''' || ||<-3> [[MTA|[[파일:MTA 로고.svg|width=100]]]] || ||<-3> '''개업일''' || ||<-3> [[1939년]] || [[뉴욕]]시 [[퀸즈]]에 위치한 [[롱아일랜드 철도]] 포트 워싱턴 지선의 '''간이역''' 내지는 '''임시역'''. 1년 내내 운행하는 포트 워싱턴 지선의 다른 역들과 다르게 매년 시티필드 구장에서 야구 경기가 있을 때에만 한시적으로 운행하며, 그 외의 기간에는 무정차 통과한다. 엘리베이터나 매표기기와 같은 편의시설도 전무하다. 포트 워싱턴 지선이 다른 지선들과 다르게 [[자메이카역]]을 거치지 않아 다른 지선으로 환승하려면 [[우드사이드역]]까지 가야 하는 특성상 포트 워싱턴 지선 연선에 살지 않는다면 시티필드 구장에 갈 때 자차나 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다. 포트 워싱턴 지선 연선 주민이면서 메츠의 팬이라면 경기를 보러 갈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역이다.[* 덕분에 승강장 지붕을 지탱하는 기둥은 뉴욕 메츠의 색깔인 주황색과 파란색으로 도색되어있다.] 시티필드 구장에 갈 때 이 역을 이용하면 육교를 이용해서 [[뉴욕 지하철]] 코로나 차량기지를 건너 7호선 역을 통과해 가게 된다. [[뉴욕 지하철 7호선]]이 사용하는 코로나 차랑기지를 유심히 보면 선로가 분기되는 흔적을 볼수있다. 이는 1932년 폐선된 롱아일랜드 철도 화이트스톤 지선이 사용하던 선로이다. 이 역에서 [[롱아일랜드 철도]] - [[뉴욕 지하철]]간 환승을 하려는 생각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물론 열차가 정차하면 할 수는 있지만 차량기지를 지나는 긴 육교를 건너 환승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롱아일랜드 철도]]의 경우 열차가 상시 정차하는 것도 아니며 매표기기도 없다. 바로 옆 [[플러싱-메인가역]][* 이쪽은 더군다나 7호선 종착역이기 때문에 지하철로 환승하는 경우 항상 앉아서 갈 수 있다.]이나 조금 더 도심으로 들어가서 있는 [[우드사이드역]][* [[롱아일랜드 철도]] 노선 중 포트 워싱턴 지선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 열차로 환승하려면 어차피 이쪽으로 가야 한다.]이 훨씬 나은 선택이다. 바로 옆 [[플러싱-메인가역]]과는 다르게 1구간(도심)에 속하는 역이다. === 승강장 === ||<-12> [[플러싱-메인가역|플러싱-메인가]] ↑ || || ㅣ || {{{#ffffff 1A}}} || {{{#ffffff 2A}}} || ㅣ || ㅣ || {{{#ffffff -}}} || {{{#ffffff -}}} || ㅣ || ㅣ || {{{#ffffff -}}} || {{{#ffffff -}}} || ㅣ || ||<-12> ↓ [[우드사이드역|우드사이드]] || || {{{#ffffff 1A}}} ||<|2> [[롱아일랜드 철도]] 포트 워싱턴 지선 ||[[우드사이드역|우드사이드]]·[[뉴욕 펜역|펜역]] 방면|| || {{{#ffffff 2A}}} ||[[플러싱-메인가역|플러싱-메인가]]·[[브로드웨이역(롱아일랜드 철도)|브로드웨이]]·[[베이사이드역|베이사이드]]·[[그레이트 넥역|그레이트 넥]]·[[포트 워싱턴역|포트 워싱턴]] 방면|| || {{{#ffffff -}}} ||<|4> [[롱아일랜드 철도]] ||<|4>사용하지 않음|| || {{{#ffffff -}}} || || {{{#ffffff -}}} || || {{{#ffffff -}}} || 경기 시에만 운영하는 간이역답지 않게 3면 6선이라는 꽤나 큰 규모의 역 구내를 자랑한다. 물론 이 중 가장 북쪽의 승강장과 두 개의 선로를 제외한 나머지는 쓰이지 않는다. 실질적으로는 섬식 승강장으로 간주해도 무방하다. == 연계 교통 == || '''운영사''' || '''노선 번호''' || || [[뉴욕 버스|{{{#ffffff MTA 뉴욕 버스}}}]] ||[[뉴욕 버스 Q48|Q48]][*공항버스 [[라과디아 공항]]과 연계된다.]|| [[분류:미국의 철도역]][[분류:뉴욕의 대중교통]][[분류:롱아일랜드 철도]][[분류:뉴욕 지하철 정거장]][[분류:1927년 개업한 철도역]][[분류:1939년 개업한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