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프랑스의 패션 브랜드]][[분류:OTB]][[분류:명품 패션 브랜드]] [include(틀:다른 뜻1, from=마르지엘라, other1=메종 마르지엘라의 설립자, rd1=마틴 마르지엘라)] ||<-2> '''{{{+1 메종 마르지엘라}}} [br] Maison Margiela''' || ||<-2> [br][[파일:메종 마르지엘라 로고.svg|width=90%]][br][br] || || '''기업 유형''' ||[[비상장 기업]] || || '''이전 기업명''' ||메종 마틴 마르지엘라 {{{-2 (Maison Martin Margiela)}}} || || '''분야''' ||[[패션]] || || '''설립''' ||[[1988년]] ([age(1988-01-01)]년 전) || || '''설립자''' ||[[마틴 마르지엘라]] [br] 제니 메이렌스 {{{-2 (Jenny Meirens)}}} [br] 레오나르도 에이젠바움 {{{-2 (Leonardo Ejzenbaum)}}} || || '''핵심 인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fff '''CEO'''}}}}}} 지안프랑코 지아난젤리 {{{-2 (GIanfranco Gianangeli)}}}[b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fff '''CD'''}}}}}} [[존 갈리아노]] || || '''업종''' ||[[의류]], [[액세서리]] || ||<|2> '''본사'''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163 Rue Saint-Maur 75011 Paris, 너비=100%, 높이=100%)]}}}|| || '''모회사''' ||[[OTB]] || || '''홈페이지''' ||[[https://www.maisonmargiela.com/| [[파일:메종 마르지엘라 로고.svg|width=80&bgcolor=#fff]]]] || ||<-2> [[https://www.instagram.com/maisonmargiel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maisonmargiel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argiela, 크기=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OKkerman2d_SmGj8P4_JE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1987년 8월 디자이너 [[마틴 마르지엘라]]와 제니 메이렌스가 공동 설립한 [[프랑스]]의 [[명품]] [[패션 하우스]]. 모회사는 [[마르니]], 질샌더, 디젤, [[디스퀘어드2]], 빅터&롤프 등을 거느린 [[OTB]]그룹. 특유의 해체주의적인 디자인으로 유명하며, 199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꽤나 큰 영향력과 파급력을 패션계에 끼치고 있다. 매 시즌 파리 패션위크에서 쇼를 발표하는 중이다. 남성복, 여성복, 향수, 아이웨어, 가죽 잡화 등 여러 카테고리 제품을 선보이며, 때때로 출판물이나 가구 등도 선보인다. 메종 마틴 마르지엘라였으나, 2010년대 들어서 메종 마르지엘라로 이름을 줄였다. 재미있게도 제품군을 숫자로 명명한다. 숫자에 따른 제품군은 다음과 같이 나뉜다. 0 - 'Artisanal' 여성 & 남성 컬렉션, 'défilé' 일부 컬렉션 1 - 여성 컬렉션 4 - 여성복 (주로 재발매 및 재해석 되는 제품군들이 여기에 속한다.) 3 - 향수 8 - 아이웨어 컬렉션 10 - 남성 컬렉션 14 - 남성복 (여성복 4번 라인과 동일) 11 - 여성 & 남성 액세서리 12 - 파인 주얼리 컬렉션 13 - 오브제 & 출판물 22 - 여성 & 남성 신발 컬렉션 MM6 - 여성 세컨드 라인 == 역사 == [[1987년]] [[장 폴 고티에]]에서 일하던 마틴 마르지엘라가 설립한 이래로 [[레이 가와쿠보]]의 해체주의 디자인을 재해석하여 90년대 설립 당시부터 같은 벨기에 출신의 [[드리스 반 노튼]] 등 “앤트워프 식스” 등과 더불어 트렌드를 주도해온 반면 특유의 실험적인 디자인으로 인한 지속적인 판매부진으로 재정적 압박에 시달렸으나 [[2002년]] OTB그룹의 렌조 로쏘의 투자를 받으면서 OTB그룹의 자회사로써 관리되고 있다. [[2008년]] 2009 S/S 시즌을 앞두고 [[마틴 마르지엘라]]의 은퇴설이 불거졌으며, 이는 곧 사실로 판명되었다. 2009년 그의 [[은퇴]] 후 한동안 그의 디자인 팀이 모든 컬렉션을 운영하다가, 반유대주의 발언으로 [[LVMH]] 그룹에서 해고 되었으나 자숙의 기간을 거친 [[존 갈리아노]]를 2014년 부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임명, 현재까지 마르지엘라의 모든 디자인을 맡고 있다. 독일군 레플리카 스니커즈, 쥬얼리 라인 등을 히트시키며 마르지엘라의 대중화를 이끌고 2010년대 후반, 가장 핫한 브랜드 중 하나로 재도약한다. 마르지엘라의 에르메스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임명의 경우엔 마르지엘라 쇼에 뒤마의 딸이 모델로 섰던 것이 인연이 되어 그녀의 추천을 통해 에르메스로 재직을 할 수 있었다고 한다. [[2012년]] [[H&M]]과의 협업으로 게스트 디자이너로 참여, 한정판 상품을 내 놓았다. == 기성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3Mznfsw0UM)]}}} || || '''Maison Margiela Co-Ed 2023 컬렉션''' || == 향수 == [[향수(화장품)|향수]]도 유명하다. 특정 장소를 연상시켜 [[추억]]을 떠오르게 하고 몽환적인 상상력을 유도하는 향이 특징이다. === 일반 컬렉션 === [[파일:메종일반.jpg]] 특정 장소를 모티브로 한 컬렉션. 가격은 100ml에 20만원 가량이다. * 레이지 선데이 모닝 늦잠을 자고 일어난 일요일 아침 10시 린넨 침대를 비추는 햇살을 모티브로 한 향. * 버블 바스 [[비누]]와 [[코코넛]] 향이 나는 따뜻한 거품 욕조에서 즐기는 혼자만의 시간을 모티브로 한 향. * 바이 더 파이어플레이스 한겨울 밤의 모닥불과 [[군밤]]을 모티브로 한 향. * 세일링 데이 [[요트]]를 타고 항해하는 여름날을 모티브로 한 향. * 비치 워크 초저녁(오후 4시경) [[바닷가]]의 노란 햇빛과 짭짤한 공기, [[선크림]]을 모티브로 한 향. * 재즈 클럽 [[재즈]] 음악이 울려퍼지는 [[클럽]]을 모티브로 한 향. * 위스퍼 인 더 라이브러리 오래된 [[도서관]]의 중후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모티브로 한 향. * 웬 더 레인 스탑스 [[비]]가 갠 직후에 촉촉한 주변을 비추는 햇빛을 모티브로 한 향. * 어텀 바이브 [[가을]]날 단풍과 낙엽이 가득한 숲을 모티브로 한 향. === 판타지 컬렉션 === [[파일:메종판타지.jpg]] [[판타지]] 세계를 모티브로 한 [[여행]]을 연상시키는 몽환적인 컬렉션. 판매점의 수를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청소년]]들의 탈선을 막기 위해 제한했다고 한다. 몽환적인 향을 맡으면 여행을 가고 싶어져서 일진이 될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한국에서는 구하기 어려워 직구하거나 해외 매장에서 구매해야 한다. 가격은 100ml에 30만원 가량이다. * 플라잉 * 위키드 러브 * 어크로스 샌드 * 댄싱 온 더 문 * 소울 오브 더 포레스트 == 국내 매장 == 한국에는 [[신세계인터내셔날]]이 전개하다가, 2022년부터 [[OTB]]코리아에서 직진출로 전개하면서, 매장수를 확장하고 있다. * 메종 마르지엘라 의류 매장 * [[신세계백화점]] ([[신세계백화점 본점|본점]], [[신세계백화점 강남점|강남점]], [[신세계백화점 경기점|경기점]], [[대전신세계]]) * [[롯데백화점]] ([[롯데백화점 본점|에비뉴엘 본점]], [[롯데백화점 부산본점|에비뉴엘 부산본점]], [[롯데백화점 동탄점|동탄점]]) * [[갤러리아백화점]] ([[갤러리아백화점 명품관|명품관 EAST]], [[갤러리아백화점 광교|광교점]], [[갤러리아백화점 타임월드|타임월드점]]) * [[현대백화점]] ([[더현대서울]],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압구정본점]],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무역센터점]], [[현대백화점 목동점|목동점]], [[현대백화점 판교점|판교점]]) * 메종 마르지엘라 향수 매장 * [[갤러리아백화점]] [[갤러리아백화점 타임월드|타임월드점]] * [[신세계백화점]]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센텀시티점]], 타임스퀘어점, [[신세계백화점 경기점|경기점]], [[대전신세계]], 천안아산점 * [[롯데백화점]] 부산본점, 잠실점 * [[AK플라자]] 수원점 == 여담 == * 목 뒷면 안쪽의 상품택을 고정하는 네 개의 스티치를 그대로 드러내는 것이 시그니처로 유명하다. 다만 2010년대 이후로 계속 우려먹으면서 그만 우려먹으라는 비판 또한 받는 중. * 족발같이 생긴(..) 타비 슈즈 역시 유명하다. 일본의 전통 양말인 타비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이전에는 주로 여성용 구두로만 선보였는데, 최근에는 로퍼, 메리제인, 스니커즈, 부츠 등 다양한 슈즈 제품들을 타비로 선보인다. 한편 타비를 신을 때의 문제는 양말을 어떻게 선택하냐는 것인데 아버지들 신는 발가락이 분리된 무좀 양말(..)을 신으면 된다. * 열성적 지지자층이 견고한 브랜드이며, 해당 브랜드의 열성적 지지자들은 마르지엘라 옷만 입는다고 할 정도로 열성적이다. * 2019년 9월, 20 S/S 패션쇼에서 클로징 모델 레옹 데임(Leon Dame)의 과장된 워킹이 화제가 됐었다. * 향수 라인업의 경우, 국내에선 단독매장 외에도 [[세포라]]에서 시향해볼 수 있다. * 지압 양말을 마르지엘라 신상이라고 속인 사람이 있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hit&no=17153|#]] * 2022년 10월 19일 [[삼성 갤럭시]]의 [[갤럭시 Z 플립 4]]와의 협업이 삼성전자 공식 인스타그램을 통해 발표되었다.[[https://www.instagram.com/p/Cj40d3gLMjw/?igshid=YmMyMTA2M2Y=|#]] * 2022년 11월 [[더현대 서울]]에 입점하면서 5AC백을 중심으로 한 팝업 스토어와 한정 메뉴를 선보이는 메종 마르지엘라 카페를 운영하였다. 동시에, 메종 마르지엘라와 [[현대백화점]]이 협업한 한정판 현대백화점 카드를 선보였다 [[https://www.apparelnews.co.kr/news/news_view/?idx=201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