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광둥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분류:국가역사문화명성]] [include(틀:광둥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000,#ddd 광둥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梅州, ruby=Méizhōu)][ruby(市, ruby=Shì)] | [ruby(梅州市, ruby=Mòi-chû-sṳ)]}}}'''[br]메이저우시 | Meizhou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梅州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광둥성]] 메이저우시 메이장구 신중루38호[br]广东省梅州市梅江区新中路38号 || ||<-2> '''{{{#ffff00 지역}}}''' || [[중난]] || ||<-2> '''{{{#ffff00 면적}}}''' || 15,864.51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2구 1현급시 5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北京时间)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전체인구}}}''' || 3,873,239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244명/km² || ||<-2> '''{{{#ffff00 HDI}}}''' || 0.710 ^^(2016)^^ || ||<-2> '''{{{#ffff00 서기}}}''' || 마정융(马正勇) || ||<-2> '''{{{#ffff00 시장}}}''' || 왕후이(王晖)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175억 1,400만 ^^(2020)^^ || || '''{{{#ffff00 1인당}}}''' || $4,522 ^^(2020)^^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매화]] || || '''{{{#ffff00 시목}}}''' || [[목서]] || ||<-2> '''{{{#ffff00 차량번호}}}''' || '''粤M'''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梅'''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44'''14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753''' || ||<-2> '''{{{#ffff00 우편번호}}}''' || '''514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GD-14''' ||}}}}}}}}} || ||<-3> [[http://www.meizhou.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광둥성]]의 [[지급시]]. 서쪽으로 [[허위안시]], 남쪽으로 [[산웨이시]], [[제양시]] 및 [[차오저우시]], 동쪽으로 [[푸젠성]]과 접한다. [[한족]]의 일파인 [[객가인]]의 시작지로 추정되는 곳으로, 이로 인하여 붙여진 별명이 '''세계 객가인의 수도(世界客都)'''. 그러다보니 메이저우에서는 객가인 특유의 건축인 [[토루]]를 많이 볼 수 있으며, 객가인의 문화 대부분이 이 메이저우 지역에서 생겨났다. 여담으로, 광둥성에서 제일 낙후된 지역이다. 너무 지형이 험준하여 개발도 힘들고 동시에 주변에는 개발하기 쉬운 지역들이 많아 개발에서 소외되었기 때문. 그래서 평균 1인당 GDP 1만달러, 높으면 3만달러까지도 가는 광둥성에서 1인당 GDP가 4,500달러로, 중국 평균은 커녕 중국 전역을 기준으로도 낙후된 지역으로 존재하고 있다. == 역사 ==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 지역에서 주나라의 유물들도 대거 발굴되고 있어 현재로써는 이 지역 원주민들은 [[주나라]]와 교역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이 독자 행정구역이 된 시기는 [[오대십국시대]] [[후진]] 대로, 후진은 이 지역에 경주(敬州)를 설립시킨다. 다만 [[북송]]이 설립되자 북송 초대 황제 [[조광윤]]은 한자 敬이 자신의 조부의 이름에 쓰여있다는 것을 이유로 들며 명칭을 공주(恭州)로 교체시킨다. [[수나라]] 대에는 이 메이저우에 매화가 많다는 이유로 인하여 명칭을 매주(梅州), 즉 현재의 메이저우로 개명시킨다. [[원나라]] 대에는 조주로(潮州路) 소속이었으며 [[명나라]] 대에는 조주부(潮州府) 소속이었다. [[중화민국]]시대 메이저우는 메이현(梅县)이라고 불리었으며, 이 명칭은 현재 메이저우시 산하 구인 메이셴구(梅县区)로 남아있다. [[중일전쟁]] 때에는 [[일본군]]의 공격을 받았으나 [[객가인]]의 중심지 답게 엄청 지형이 험준하여 점령이 힘들고 점령해도 이득이 없어 일본군은 점령을 포기한다. [[중화인민공화국]]이 건립된 이후 [[1988년]]에 [[지급시]]로 승격된다. == 교통 == 관내에 메이저우 메이셴 공항(梅州梅县机场)이 존재하며, 국내선 전용이다. 철도역 메이저우 서역(梅州西站)과 메이저우역(梅州站)이 존재하며, 메이저우 서역은 메이산철도(梅汕铁路), 메이저우역은 장룽철도(漳龙铁路) 및 메이칸철도(梅坎铁路)가 지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