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카드군]] ||<-6><#40394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C0D05, #403946, #403946, #403946, #403946, #403946, #0C0D05)" '''{{{#!html 메멘토}}}'''}}} || ||<-6><:><#fff,#191919>{{{#!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딕빌드 언데드룡.jpg|width=100%]][br],,[[메멘토(유희왕)#명해합룡-메멘토랄 텍트리카|{{{#D78FB7 명해합룡-메멘토랄 텍트리카}}}]],,}}}|| || '''{{{#!html 한글}}}{{{#!html판}}}{{{#!html 명칭}}}''' ||<-5><#fff,#191919> '''메멘토'''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 '''{{{#!html 일}}}{{{#!html어}}}{{{#!html판 명칭}}}''' ||<-5><#fff,#191919> '''メメント''' || || '''{{{#!html 영어판}}}{{{#!html 명}}}{{{#!html칭}}}''' ||<-5><#fff,#191919> '''Memento'''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2> '''{{{#!html속}}}{{{#!html성}}}''' ||<-2> '''{{{#!html종}}}{{{#!html족}}}''' ||<-2> '''{{{#!html관련 카테}}}{{{#!html고}}}{{{#!html리}}}''' || ||<-2><#fff,#191919>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빛]],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2><#fff,#191919> 다양 ||<-2><#fff,#191919> 효과 || [목차] [clearfix] == 개요 == ||<-3> '''유희왕 [[덱 빌드 팩|{{{#white 덱 빌드 팩}}}]] 수록 테마''' || || [[와일드 서바이버즈]] || || [[밸리언트 스매셔즈]] || || [[초월룡]], [[VS(유희왕)|VS]], [[누밸즈]] || → || [[메멘토(유희왕)|메멘토]], [[센츄리온(유희왕)|센츄리온]], [[바르모니카]] || 덱 빌드 팩 [[밸리언트 스매셔즈]]에서 데뷔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으로 캐치 프라이즈는 "망각의 저편에서 되살아나는 초거대 몬스터". 이름의 유래는 "죽음을 기억하라"라는 의미를 가진 라틴어 관용구인 [[메멘토 모리]].[* 캐치 프라이즈에서도 '''망각'''(기억)과 '''되살아나는'''(죽음)으로 반대되는 단어로 강조되어있다. 이를 반영해서 그런지 뼈와 관련된 단어명도 자주 들어간다.] 이중 메멘토는 "기억하다"라는 의미다. 메멘토라는 이름대로 카드들이 하나같이 [[초월룡|고전 카드들을 리메이크한 모습]]으로 종족과 속성은 원본을 그대로 따르되 다른 것은 현대 기준에 맞게 뜯어고쳐서 나왔다. == 성능 == 메멘토 모리라는 말에 걸맞게 묘지에 몬스터를 쌓고 이를 자원 삼아 에이스 몬스터를 소환할 수 있는 테마로 자신의 몬스터를 파괴시키는 효과와 파괴되었을 때 발동되는 효과를 주로 갖고 있다. 순수 메멘토 덱은 이런 식으로 덱을 굴려 묘지를 쌓아 혼 드래곤과 명해합룡을 뽑는 것이 목표. == 효과 몬스터 == === 레벨 1 === 레벨 1 몬스터들은 공통적으로 명해합룡이 존재할 경우 상대 턴에 발동할 수 있는 효과, 그리고 자신 턴에 메멘토 몬스터를 파괴하고 발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 메멘토 메이스 ==== [[파일:1664_20230627124045_img_1_1fyG4R6BcigDyY6fGTkP50N7YSNw35RuaG0UVuTxS0zFMviQCHf67q1W8EG27YkY.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메멘토 메이스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メメント・メイス, 영어판명칭=Memento Mac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레벨=1, 속성=빛, 종족=천사족, 공격력=400, 수비력=3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메인 페이즈에\, 자신 필드에 "명해합룡-메멘토랄 텍트리카"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엔드 페이즈까지 얻는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메멘토" 몬스터 1장을 파괴하고\, 덱에서 "메멘토 메이스" 이외의 "메멘토"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키 메이스]]를 모티브로 한 카드. ①의 효과는 명해합룡이 존재할 경우 상대 필드의 몬스터의 컨트롤을 일시적으로 뺏는 효과. 컨트롤을 뺏어 상대의 전개를 일시적으로 방해할 수 있다. 키메이스의 플레이버 텍스트의 "귀여움에 빠져서, 누구라도 마음을 열어 버린다."를 반영한 효과로 보인다. --근데 명해합룡이 있을 때면 그 친구 무서워서 넘어가는 거 아닌가?-- ②의 효과는 메멘토 몬스터를 파괴하고 메멘토 카드 서치. 마법/함정까지 서치할 수 있어 범위가 폭넓지만, 대신 메멘토 몬스터 1장을 파괴할 필요가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3-08-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VS-JP006 | '''[[밸리언트 스매셔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 || ==== 메멘토 고블린 ==== [[파일:1664_20230627124045_img_2_1fyG4R6BcigDyY6fGTkP50N7YSNw35RuaG0UVuTxS0zFMviQCHf67q1W8EG27YkY.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메멘토 고블린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メメント・ゴブリン, 영어판명칭=Memento Gobli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레벨=1,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400, 수비력=3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자신 필드에 "명해합룡-메멘토랄 텍트리카"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 중\, 자신 필드의 "메멘토" 몬스터를 상대는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메멘토" 몬스터 1장을 파괴하고\, 덱에서 "메멘토 고블린" 이외의 "메멘토" 카드를 2장까지 묘지로 보낸다(같은 이름의 카드는 1장까지).)] [[고블린(유희왕)#스카 고블린|스카 고블린]]을 모티브로 한 카드. ①의 효과는 명해합룡이 존재할 경우 메멘토 몬스터들에게 효과 대상 내성을 부여하는 효과. 명해합룡이 쉽지 않은 소환조건을 가지고 있지만 내성이 약한 편인데, 고블린을 통해 이를 보조해줄 수 있다. ②의 효과는 메멘토 몬스터를 파괴하고 메멘토 카드 2장 덤핑. 파괴되는 메멘토까지 포함하여 총 3장을 덤핑할 수 있다. 마법/함정 또한 덤핑할 수 있어 적재적소에 묘지 효과를 쓸 수 있게 할 수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3-08-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VS-JP007 | '''[[밸리언트 스매셔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 || === 레벨 3 === ==== 메멘토 엔위치 ==== [[파일:1664_20230627124016_img_2_IV5n24bMHSd9wIFL8enJFkOMTC7PE5mKRfwHaNThdveQ3jZzCC8HkLT4LPHPKtYZ.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메멘토 엔위치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メメント・エンウィッチ, 영어판명칭=Memento Fairwitch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레벨=3,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800, 수비력=1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메멘토 엔위치" 이외의 "메멘토"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의 묘지의 레벨 2 이하의 "메멘토"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메멘토" 몬스터 1장을 파괴하고\, 대상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엔젤 마녀]]를 모티브로 한 카드. ①의 효과는 메멘토 몬스터 서치. 씨호스를 서치하면 곧바로 소환이 가능하다. 이렇게 유용한 서치 효과를 가지고 있어 메멘토의 중요한 초동이 된다. 씨호스를 이용하면 엔위치 1장으로 명해합룡을 꺼낼 수 있다. ||<#fff,#191919>1. 엔위치 소환, 효과로 씨호스 서치 2. 씨호스 소환 후 효과 발동, 씨호스를 파괴하고 메이스, 고블린, 엔위치 덤핑. 3. 엔위치의 효과로 엔위치를 파괴하고 고블린 소생. 4. 고블린의 효과로 고블린을 파괴하고 명해합룡과 혼 드래곤 덤핑. 5. 씨호스, 고블린, 엔위치, 메이스, 혼 드래곤을 덱으로 되돌리고 명해합룡 소환.|| ②의 효과는 메멘토 몬스터의 소생. 현재로써는 메이스와 고블린을 소생할 수 있다. ①의 효과로 서치한 씨호스가 덤핑해준 메이스나 고블린을 소생하는 콤보가 가능하다. ||수록 시리즈 || ||<(> 2023-08-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VS-JP005 | '''[[밸리언트 스매셔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 || === 레벨 5 === ==== 메멘토 씨호스 ==== [[파일:1664_20230627124016_img_1_IV5n24bMHSd9wIFL8enJFkOMTC7PE5mKRfwHaNThdveQ3jZzCC8HkLT4LPHPKtYZ.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메멘토 씨호스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メメント・シーホース, 영어판명칭=Memento Tatsunootoshigo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레벨=5, 속성=땅, 종족=야수족, 공격력=1350, 수비력=16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메멘토" 몬스터 이외의 앞면 표시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메멘토" 몬스터 1장을 파괴하고\, 레벨의 합계가 파괴한 몬스터의 원래의 레벨 이하가 되도록\, 덱에서 "메멘토" 몬스터를 묘지로 보낸다(같은 이름의 카드는 1장까지).)] [[씨호스(유희왕)|씨호스]]를 모티브로 한 카드. ①의 효과는 자체 특수 소환 효과. 따라서 상급 몬스터지만 패에서 썩기는 어렵다. 엔위치나 메이스로 서치하고 곧바로 꺼내거나, 아예 빈 필드에 꺼낼 수 있다. ②의 효과는 메멘토 1장을 파괴하고, 레벨 합이 그 레벨 이하가 되도록 메멘토를 덤핑하는 효과. 최상급 몬스터를 꺼내기 위해 묘지 자원을 빠르게 모아야 될 메멘토에게 좋은 효과로, 자신을 지정하고 파괴하면 메이스, 고블린, 엔위치를 덤핑할 수 있다. 파괴되는 자신까지 합쳐서 총 4장의 메멘토가 덤핑되는 셈이다. 여담으로 원본이 원본이라 공개되자마자 바로 [[스타더스트 드래곤]]와 엮는다든지 하는 드립이 성행하고 있다(…) 다만 메이든에 컨트롤 탈취 효과가 있긴 하지만 상대턴에만 턴 종료까지만 지속하는 효과라 빼앗은 몬스터를 소재로 어드밴스 소환하는 건 무리. ||수록 시리즈 || ||<(> 2023-08-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VS-JP003 | '''[[밸리언트 스매셔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 || === 레벨 8 === ==== 메멘토 혼 드래곤 ==== [[파일:1664_20230627123952_img_2_ah9CpSLpkrciUZ66pbfur1HiIiNVfHv5mu5PCH4nwUJHtFDWfgEKWKscq5xLCiFm.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메멘토 혼 드래곤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メメント・ホーン・ドラゴン, 영어판명칭=Memento Horn Drag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레벨=8,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850, 수비력=235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방법에 의한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밖에 할 수 없으며\, 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묘지에 "메멘토" 몬스터가 3종류 이상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필드의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자신 필드의 "메멘토" 카드를 포함한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 3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트라이혼 드래곤]]을 모티브로 한 카드. 트라이혼의 뿔 세 개를 살려 효과 두 개가 전부 3과 큰 관련이 있다. ①의 효과는 묘지에 메멘토 몬스터가 3종류 이상 되었을 때 특수 소환하는 효과. 명해합룡 소환시 묘지의 메멘토 5장을 덱으로 되돌려야 하기 때문에 묘지에 쌓아둔 카드가 적은 초반이라면 '''반드시''' 명해합룡 소환 이전 메멘토 혼 드래곤부터 소환해야한다. 그렇지 않다면 묘지 자원 문제로 혼 드래곤 혼자서 패에 놀게 된다. ②의 효과는 자신이 효과로 파괴되면 메멘토 카드 1장을 포함한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 3장을 파괴하는 효과. 1장은 메멘토가 확정이라 미러전이 아닌 이상 무조건 자신걸 파괴해야하지만 나머지 2장은 자유라서 상대 것을 파괴시키든 자기것을 파괴시켜 유발효과를 발동시키든 가능하므로 범용성이 좋다. ||수록 시리즈 || ||<(> 2023-08-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VS-JP002 | '''[[밸리언트 스매셔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 || === 레벨 11 === ==== 명해합룡-메멘토랄 텍트리카 ==== [[파일:1664_20230627123952_img_1_ah9CpSLpkrciUZ66pbfur1HiIiNVfHv5mu5PCH4nwUJHtFDWfgEKWKscq5xLCiFm.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특수소환=, 한글판명칭=명해합룡-메멘토랄 텍트리카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冥骸合竜(めいがいごうりゅう)-メメントラル・テクトリカ, 영어판명칭=Mementoral Tectolica\, the Netherskull Drag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레벨=11, 속성=땅, 종족=환룡족, 공격력=5000, 수비력=500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이 카드 이외의 자신의 패 / 묘지의 "메멘토" 몬스터 5종류를 1장씩\, 덱 /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렸을 경우에만 패 / 묘지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다른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상대 몬스터 전부에 1회씩 공격할 수 있다., 효과2=②: 1턴에 1번\, 상대가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메멘토"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메멘토의 에이스 몬스터이자 밸리언트 스매셔즈의 커버 카드 중 하나. 메멘토의 유일한 오리지널 몬스터이다. 레벨 11과 [[환룡족]] 최초로 공격력, 수비력 5000에 달했다. 소환 조건은 패 / 묘지의 메멘토 몬스터 5종류를 되돌릴 것. 묘지에서도 소환할 수 있다지만 소재 조건이 꽤나 무거운 편으로, 고블린과 씨호스를 이용하여 빠르게 카드를 덤핑할 필요가 있다. 아니면 본 백을 통해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꺼내는 방법이 유효하다. 현재 메멘토에는 엑스트라 덱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아 전부 덱으로 되돌아간다.[* 굳이 엑스트라덱을 언급한 탓에 나중에 엑스트라덱 몬스터를 내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①의 효과는 상대 몬스터 전부에게 1회씩 공격하는 효과. 보다시피 타점이 매우 높아 전투로 우위를 점하기 쉽다. 다만 ②의 효과와는 다소 충돌하는 것은 유의.[* 그렇지만 메멘토 몬스터들은 기본적으로 필드의 메멘토 몬스터를 파괴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메인 페이즈에 자신을 터트리는 식으로 충돌을 피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상대의 효과 발동에 대응하여 메멘토 몬스터를 꺼내는 효과. 사실은 궁극의 푸른룡의 백룡과 맘모스의 무덤의 융합체라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cggame&no=2104583&page=1|카더라]] ||수록 시리즈 || ||<(> 2023-08-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VS-JP001 | '''[[밸리언트 스매셔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마법 카드 == === 속공 마법 === ==== 메멘토 본 파티 ==== [[파일:1664_20230627124120_img_2_diV8HmX4CIkCjzlzeitIS4up78yuAMtduDbzpwur2SrcISRm08uG3cvyajiawS2e.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메멘토 본 파티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メメント・ボーン・パーティー, 영어판명칭=Memento Bone Party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패 / 필드(앞면 표시)의 "메멘토" 몬스터 1장을 파괴하고\, 그 몬스터와는 카드명이 다른 "메멘토" 몬스터 1장을 덱에서 고르고 패에 넣거나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메멘토"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이 턴\, 그 몬스터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전투 데미지를 준다.)] ①의 효과는 메멘토를 파괴하고, 이름이 다른 메멘토를 덱에서 서치하거나 특수 소환하는 효과. '''패'''에 있는 메멘토도 파괴시킬 수 있어 소환권을 딱히 요구하지도 않는다는게 장점. 엔위치를 소환하여 서치로 잇거나, 씨호스를 소환하여 대량 덤핑을 실시하거나 하는 방법이 유효할 것이다. ②의 효과는 관통 효과 부여. 명해합룡의 공격력이 5000이며 연속 공격 효과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벽을 깔고 버티는 상대에게 큰 데미지를 줄 수 있다. 일러스트에서는 레벨 1 메멘토인 고블린과 메이스가 파티를 벌이고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3-08-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VS-JP009 | '''[[밸리언트 스매셔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 || ==== 메멘토 본 백 ==== [[파일:1664_20230627124144_img_1_W87qWXuyj0enzwCRi82X2VVj6XEMugYEeVuyremOSHzH32YayQxqjIQfdSpLwEPQ.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메멘토 본 백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メメント・ボーン・バック, 영어판명칭=Memento Bone Back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메멘토" 몬스터가 상대에 의해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명해합룡-메멘토랄 텍트리카" 1장을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의 묘지의 "메멘토" 몬스터가 상대에 의해 묘지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메멘토" 몬스터를 가능한 한 특수 소환한다(같은 이름의 카드는 1장까지).)] ①번 효과는 자신의 메멘토 몬스터가 상대에 의해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 '''패/덱'''에서 명해합룡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게 해준다. 수비표시 제한도 없어 상대턴에 공격력 5000의 벽 몬스터를 세워놓을 수 있다는게 장점으로 만약 효과로 파괴된다해도 명해합룡의 ②번 효과로 후속을 노려볼 여지도 있다. ②번 효과는 묘지에 간섭하는 카드를 카운터치는 효과로, [[무덤의 지명자]]같은 카드로 제외시키든 [[강제 탈출 장치]]나 [[현세와 명계의 역전]]같은 카드로 패나 덱으로 되돌리든 메멘토 몬스터가 상대 효과로 묘지에서 벗어나기만 하면 패/덱에서 메멘토 몬스터를 최대 5마리 소환할 수 있게 해준다. 마찬가지로 수비표시 소환 제약은 없지만 1번과 같은 소환 조건 무시 효과는 없어서 명해합룡은 소환하지 못한다. 일러스트에서는 '''본 백'''이라는 단어대로 주변의 광석과 뼈를 긁어모아 메멘토 씨호스가 부활하고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3-08-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VS-JP010 | '''[[밸리언트 스매셔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 || === 필드 마법 === ==== 명해부-메멘토란 ==== [[파일:1664_20230627124120_img_1_diV8HmX4CIkCjzlzeitIS4up78yuAMtduDbzpwur2SrcISRm08uG3cvyajiawS2e.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명해부-메멘토란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冥骸府(めいがいふ)-メメントラン, 영어판명칭=Netherskull Temple – Mementora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메멘토"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할 경우\, 상대는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마법/함정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그 중의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보다 레벨이 낮은 "메멘토" 몬스터 1장을 자신의 패 /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③: 자신 엔드 페이즈에\, 자신의 묘지의 "메멘토" 마법/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①번 효과는 조건부 마/함 봉인 효과. 데미지 스탭 한정이라지만 효과 내성을 걸 수단이 제한적인 메멘토 입장에선 없는것보다는 확실히 낫다. ②번 효과는 메멘토 몬스터가 전투/효과로 '''파괴''' 될 시 해당 몬스터 레벨 미만의 메멘토 몬스터 1장을 패/묘지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 미만이기때문에 레벨 1인 메이스나 고블린이 파괴될시에는 발동시키지 못한다. ③번 효과는 엔드 페이즈마다 묘지의 메멘토 마법/함정 1장을 지정해 필드로 샐비지해올 수 있는 효과. 일러스트에서는 어느 거대한 유해[* 덩치나 혼자 다양한 색조의 광물이 섞여있는 모습을 보면 부활이전의 명해합룡으로 추정된다.]를 숭배하는 듯한 신전이 묘사되어 있다. 또한 아래에 초록색/파란색/빨간색/보라색 광물이 밝혀있는 유해또한 보이는데, 파란색(메멘토 고블린)과 빨간색(메멘토 혼 드래곤), 보라색(메멘토 씨 호스)등은 있는 반면 초록색 광물이 상징하는 몬스터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 ||수록 시리즈 || ||<(> 2023-08-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VS-JP008 | '''[[밸리언트 스매셔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 || == 함정 카드 == === 일반 함정 === ==== 메멘토 프랙처 댄스 ==== [[파일:1664_20230627124144_img_2_W87qWXuyj0enzwCRi82X2VVj6XEMugYEeVuyremOSHzH32YayQxqjIQfdSpLwEPQ.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메멘토 프랙처 댄스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メメント・フラクチャー・ダンス, 영어판명칭=Memento Fracture Danc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필드에 "메멘토" 몬스터가 존재하는 경우\,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그 후\, 자신의 필드에 "명해합룡-메멘토랄 텍트리카"가 존재할 경우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효과2=②: 자신의 "메멘토"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공격 선언 시\,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 시까지 1000 내린다.)] ①의 효과는 제거 효과로, 자신의 필드에 메멘토 몬스터가 있을 경우 1장을 '''지정'''하여 파괴하며, 명해합룡이 있을 경우 1장을 '''지정하지 않고''' 추가로 파괴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타점 하락 효과. 전투에서 추가적인 우위를 점할 수 있다. 연속 공격을 펼쳐야하는 명해합룡과 시너지가 좋은 카드로, 상대 카드가 전부 공격표시라는 가정하에 '''최대 5000'''의 대미지를 더 줄 수 있다. 일러스트에서는 메멘토 혼 드래곤이 앞발로 상대를 할퀴고 있다. 카드 명의 '프랙처'는 부수다, 골절시키다 등의 뜻으로 이름을 의역하면 '''상대를 박살내는 메멘토의 춤사위'''정도가 된다.~~표정이나 행동이나 아무리봐도 '춤'은 아닌것 같지만~~ ||수록 시리즈 || ||<(> 2023-08-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VS-JP011 | '''[[밸리언트 스매셔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 || === 지속 함정 === ==== 메멘토 크레니엄 버스트 ==== [[파일:1664_20230627124236_img_1_bN3KIS78zWe0HfKfRBuCrtGzC5UKhef8sYHyoEueaPSfubABctBHaF6cAQlftEcZ.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메멘토 크레니엄 버스트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メメント・クレニアム・バースト, 영어판명칭=Memento Cranium Burst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동일한 체인 위에서는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공격 가능한 상대 몬스터는 자신의 필드에 "메멘토"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그 중 공격력이 가장 높은 몬스터를 공격해야 한다., 효과2=②: 상대가 필드의 몬스터 효과를 발동했을 때\, 자신 필드의 "명해합룡-메멘토랄 텍트리카"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수비력을 1000 내리고\, 그 발동한 효과를 무효로 한다.)] ①의 효과는 상대가 메멘토 몬스터에게 무조건 공격할 것을 명령하는 효과. 명해합룡의 타점이 5000에 달하며, 본 드래곤만 해도 2850으로 절대 낮은 수치가 아니고 프랙처 댄스를 통해 상대의 공격력을 1000 더 낮출수 있으므로 상대가 이를 뛰어넘을 수 없다 판단할 경우 수비 표시를 강제할 수 있다. 역으로, ②의 효과를 많이 써서 명해합룡의 타점이 크게 내려갔을 경우에도 혼 드래곤 등에게 공격을 전가할 수 있는 효과이기도 하다. ②의 효과는 필드의 몬스터 효과 퍼미션. 명해합룡의 타점이 5000이므로 최대 5번 퍼미션이 가능하다. 비슷한 구조를 가진 [[소명의 신궁-아폴로우사|아폴로우사]]와 비교해볼때 많아도 4번, 적으면 2번 정도인 아폴로우사에 비해 압도적인 기본 5번이라는 횟수는 장점이지만 자기만 있으면 효과 발동이 가능한 아폴로우사와 달리 이 쪽은 명해합룡과 크레니엄 버스트를 두장 다 요구하는데다가 크레니엄 버스트가 함정이라 발동이 늦다는게 단점. 이름의 크레니엄(Cranium)은 [[두개골]]을 뜻한다. 일러스트에선 명해합룡이 포효하면서 전신의 보석에서 레이저를 난사해 주변을 박살내고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3-08-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VS-JP012 | '''[[밸리언트 스매셔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 || == 같이 쓰면 좋은 카드들 == * [[스몰 월드(유희왕)|스몰 월드]] 종족, 속성이 제각각이므로 서치 범위가 꽤 된다. 테마 내에서만 해도 고블린 or 혼 드래곤 or →혼 드래곤 or 고블린→엔위치가 가능하고, 범용으로 잘 쓰이는 [[증식의 G]]를 쓰면 씨호스나 명해합룡이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