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width=7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ercedes-Benz_Unimog_2013.jpg|width=100%]]}}} || || {{{#ffffff '''Unimog'''}}} || [[파일:external/www.mercedes-benz.com.cy/UsershanDesktopBilderUnimog-WorldHistoryunimog_unimog_world_history_home_715x230.jpg]] 역대 유니목 라인업 [목차] '''Mercedes-Benz UNI'''versal '''MO'''tor '''G'''erät[* 다목적 엔진구동 농기계 라는 의미.] == 개요 == [[독일]] [[다임러 트럭]] 산하의 [[메르세데스-벤츠]]에서 생산 중인 [[4WD|AWD]] 다용도 [[트럭]]. 즉, 요약하자면 '''어느 곳에서나, 무엇이든 가능한 트럭'''이라 볼 수 있다. 우니모크라고도 불리기는 하나 한국 내에서는 유니목이라는 표기가 더 대중화된 편.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였던 [[1945년]], 독일은 [[전쟁]]의 여파로 심각한 인력난을 겪게 된다. 이에 [[농업]]부분의 기계화를 통한 인력절감을 계획하게 되었고 벤츠의 수석 [[디자이너]]였던 알베르트 프리드리히(Albert Friedrich, 1902~1961)는 에르하트 운트 죈네(Erhard & Söhne)사와 파트너쉽을 맺고 새로운 농업용 다목적 차량을 구상하였다. 해당 설계차량은 [[차동 기어|차동잠금]] 설정이 가능한 [[파워트레인]][* 초창기에는 [[4WD]]를 지원하지 않았다.]에 25[[마력]] [[가솔린 엔진]]을 탑재하여 최대 50 km/h로 달릴 수 있었고, PTO[* Power Take Off, 동력인출장치.] 포트를 설치하여 다양한 농업장비들을 가동할 수 있는 등, '''일반적인 [[자동차]]라기 보다는 자력으로 움직이는 농업용 동력원'''에 가까운 물건이였다.[* 애초에 농업용 트랙터 + 경트럭의 개념으로 구상된 물건이다.] 타이어 트레드 간격인 1.27 m도 감자를 두 줄로 담을 수 있을 만큼의 너비를 상정하고 만들었다고 하니, 애초에 농기계로 시작한 물건이 맞다. [[파일:external/image.trucktrend.com/unimog-prototype-front-three-quarter.jpg]] 유니목 [[프로토타입]] 본격적인 양산은 [[1949년]]부터 게브뤼더 베링거(Gebr. Boehringer)사에서 시작되었지만, 수요에 비해 공급량이 시원찮자 [[1951년]], 벤츠가 유니목 [[프로젝트]]를 인수하여 직접 생산하게 된다. 이후 다양한 개량형들이 등장하면서 지금까지 이어지는 중이다. == 특징 == ||<:> [[파일:Mercedes-Benz_Unimog_U4000_twist.jpg|width=100%]] ||<:> [[파일:Mercedes-Benz_Unimog_U2150_tan45.jpg|width=100%]] || 설계 개념부터 '''어디든지 갈 수 있는 농업용 동력원'''이였기 때문에 엄청난 험지 주파능력을 자랑한다. 세부형식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오프로더]] 모델인 U5000 기준 '''접근각 46도, 이탈각 50도에 100%(1,000[[퍼밀]])[* 1 퍼밀의 경사도는 수평거리 1,000 m당 수직거리 1 m 의 변화가 있다는 뜻으로 1,000퍼밀이면 수평 1,000 m당 수직 1,000 m. 즉, 수직 수평 높이가 1 대 1이라는 뜻이다. 즉, [math(\tan45°)]=1이므로 '''45°경사로를 오를 수 있다는 뜻이 된다.''' 일반 승용차는 15도만 되어도 오르기 힘들다. 일반 도로는 생각보다 경사가 급하지 않다.] 경사로를 올라간다.''' [[파일:Portal_axle.jpg]] 또한 포털 엑슬(Portal axle)이라 부르는, 각 휠마다 기어를 물려 지상고를 최대한 높게 뽑은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파일:external/media.emercedesbenz.com.s3.amazonaws.com/Mercedes-Benz-unimog-13C429_50.jpg]] 작업에 최적화 된 UGN 라인업의 경우, 특유의 파노라마 캡과 더불어 바리오 파일럿(Vario Pilot)이라 부르는 운전대 좌/우 가변 선택이 가능하다. 즉, 상황에 따라서 고정걸쇠 하나 풀고 운전대를 밀면 좌핸들/우핸들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는 것. [[https://www.facebook.com/mercedesbenzunimog/videos/the-variopilot-system-allows-the-entire-driving-position-to-be-mechanically-swit/344847053221769/|작동영상]][* 덕분에 우핸들 국가에서 우핸들을 금지하는 좌핸들 국가로 가져갈때도 좌핸들 개조가 필요없다.][* 작동영상을 보면 대시보드 트림을 뜯은 뒤 고정걸쇠를 풀고 이동 후 다시 고정걸쇠를 걸고 뜯었던 트림을 다시 달면 끝. 물론 브레이크페달과 가속페달도 같이 움직인다.] [[파일:Mercedes-Benz_Unimog_U423_RoadRailer.jpg]] 로우기어가 촘촘하게 되어있어서[* 일반 주행은 토끼, 저속에는 등짐 진 당나귀, 초저속이 필요하면 거북이가 그려진 버튼을 눌러준다.] 견인력이 매우 우수하다. 참고로 최저 0.36km/h로 주행이 가능하다. [[파일:Mercedes-Benz_Unimog_army.jpg]] 저런 뛰어난 험지주행능력 덕분에 [[독일 연방군]] 또한 '2톤 트럭'이란 명칭으로 운용중이다. 있다. [[프랑스군|프랑스 육군]]의 [[CAESAR]] [[자주포]] 차대로도 사용되며 이외의 유럽 각국의 군대에서 운용중이다. 대한민국 육군과 공군에서도 사용하는데 주로 [[제설차]]로 사용된다. 특히 눈이 많이 오는 방공포대, 레이더사이트의 제설에는 필수적인 차량인데, 부대 특성상 도로폭이 좁고 험지인 편이라는 점, 또한 소규모 부대라 제설 동원 가능 인원이 적기에 절찬리에 이용 중. 이 제설능력 때문에 겨울 제설작업이 중요 문제인 [[강원도]]도 다목적 제설용도로 보유 중이다. [[https://www.dogdrip.net/index.php?document_srl=297498162|#]] [[오프로드]] 매니아들에게 인기가 좋은 차량이다. 간혹 [[한국도로공사]]에서 제설용 차량으로 사용하다 퇴역한 유니목이 민간에 불하되곤 하는데, 오프로드 차량으로 쓰기 위해 구입한다고 한다. 강력한 오프로드 성능과 상대적으로 쾌적한 운전공간 덕에 "완주만 해도 성공"이라 일컫는 지옥의 랠리 [[다카르 랠리]]에도 많이 참가하고, 완주하고 있다. 화물 적재 수송보다는 특수장비 확장성과 험지에서의 중량물 견인 등에 특화된 차량이기 때문에 최대 적재 중량이나 엔진의 힘은 비슷한 가격대의 대형 화물차보다 다소 떨어지는 편이다. 제조사에서 주장하는 최대 적재 중량은 최대 3.5톤 내외[* UHN5023 기준]로, [[현대 마이티]]와 [[2.5톤 트럭|비슷한 수준]]이고 전장 역시 전폭과 높이에 비해 짧은 편이다. 엔진 출력 또한 최소 156마력에서 최대 299마력[* 오프로드 특화 라인업인 UHN은 231마력]으로 2.5톤~5톤 카고 트럭과 비슷한 수준이다. 유니목이 자랑하는 견인력은 엔진에서만 나오는 것이 아니라 타 차량과는 비교하기 힘들 정도로 높은 기어비에서 나온다. 비포장 도로에서의 본격적인 화물 수송 및 로드 트랙터 역할은 [[메르세데스-벤츠 제트로스]]나 [[메르세데스-벤츠 아록스]] 등 더 큰 상용차의 몫이다. == 유니목 기반 특장차 == 험지 주파능력 외에도 유니목의 또다른 설계 개념이였던 작업 확장성 또한 엄청나다. 그야말로 자동차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수준으로, 유니목을 개조하거나 프레임을 이용해서 제작 가능한 특장차들은 다음과 같다. * 고상 작업차 * [[구급차]][* 일반 구급차보다는 산악/험지용 구급차로 사용된다. 간혹 군용 구급차로 사용하는 국가들도 존재한다.] * 선로 보선차 * [[소방차]][* 험지 주행 능력이 뛰어난 특성을 살려, 산불 진화용으로 주로 도입] * [[입환기]][* 일반 타이어 그대로 선로 위에 올라가는데 고무차륜(?) 버프로 최대 1,000톤 편성을 25 km/h로 견인 가능. 무려 [[KTX-산천]] 2개 편성을 견인할 수 있다.][* [[광명역 KTX 탈선사고]] 당시에 사고 복구 용도로 투입된 전례가 있다. 선로를 주행할 때에는 [[철도차량 운전면허|철도장비 운전면허]]가 필요하니 유의하자.] * 정비차 * [[제초]]기 * [[제설차]][* [[강원도]]와 [[제주도]], [[울릉도]]에서 다수 보유하고 있다.][* 2011년 [[극한직업(TV 프로그램)|극한직업]] 강원도 제설편에 등장하였다.] * [[청소차]] * [[캠핑카]] * [[크레인]] * [[트랙터]] * [[트랙터 트럭]] * [[장갑차]] : 독일의 [[UR-416]][* [[서독]] 시절 제작된 장갑차다.], [[TM170]], 한국의 [[바라쿠다 장갑차]]나 남아공의 뷔펠 장갑차, 일부 [[MRAP]]형 장갑차 등 * [[CAESAR]] * [[버스]] * 경주용 트럭 == 판매 모델 == === UGN 라인업 === ||<:> [[파일:Mercedes-Benz_Unimog_U218.jpg|width=100%]] ||<:> [[파일:Mercedes-Benz_Unimog_U318.jpg|width=100%]] || ||<:> '''유니목 U218''' ||<:> '''유니목 U318''' || ||<:> [[파일:Mercedes-Benz_Unimog_U423.jpg|width=100%]] ||<:> [[파일:Mercedes-Benz_Unimog_U530.jpg|width=100%]] || ||<:> '''유니목 U423''' ||<:> '''유니목 U530''' || 유니목의 특징들 중, 작업 확장성에 초점을 맞춘 모델로 넓은 시야와 최대 4군데까지 지원하는 PTO 포트가 장점. * '''U200 (405.090)''': 휠베이스 2.8 m, 전장 4.98 m의 가장 짧은 모델. [[메르세데스-벤츠 OM9x4·9x6 엔진|OM934 디젤 엔진]]을 탑재하며 156마력 트림인 '''U216'''과 177마력 트림인 '''U218'''로 나뉘어진다. * '''U300 (405.104)''': 휠베이스 3 m, 전장 5.16 m 모델. OM934 디젤 엔진을 탑재하며 177마력 트림인 '''U318''' 하나만 존재한다. * '''U400 (405.105)''': 휠베이스 3 m, 전장 5.15 m 모델. U300의 강화형이며 같은 OM934 디젤 엔진을 탑재하지만 231마력 트림이 적용되었다. '''U423''' 하나만 존재. * '''U400 (405.110)''': 휠베이스 3.15 m, 전장 5.3 m 모델. OM936 디젤 엔진을 탑재하며 272마력 트림인 '''U427'''과 299마력 트림인 '''U430'''으로 나뉘어진다. * '''U400 (405.125)''': 휠베이스 3.6 m, 전장 5.76 m의 장축 모델. '''U423''', '''U427''', '''U430''' 트림이 존재한다. 마력은 위 항목의 모델별로 동일. * '''U500 (405.202)''': 휠베이스 3.35 m, 전장 5.44 m 모델. OM936 디젤 엔진을 탑재하며 272마력 트림인 '''U527'''과 299마력 트림인 '''U530'''으로 나뉘어진다. 국내에서 주로 제설차로 이용되는 트림이 이것이다. 가격은 3억 3,000만원부터라고 한다. * '''U500 (405.222)''': 휠베이스 3.9 m, 전장 6.13 m의 장축 모델. '''U527''', '''U530''' 모델이 존재한다. 마력은 위 항목의 모델별로 동일. === UHN 라인업 === ||<:> [[파일:Mercedes-Benz_Unimog_U4023.jpg|width=100%]] ||<:> [[파일:Mercedes-Benz_Unimog_U5023.jpg|width=100%]] || ||<:> '''유니목 U4023''' ||<:> '''유니목 U5023''' || 유니목의 특징들 중, 험지 주파능력에 초점을 맞춘 모델로 강력한 프레임과 높은 접근각, 이탈각이 장점. * '''U4000 (437.427)''': 휠베이스 3.85 m, 전장 6 m 모델. OM934 디젤 엔진을 탑재하며 231마력 트림인 '''U4023''' 하나만 존재한다. * '''U5000 (437.437)''': 휠베이스 3.85 m, 전장 6 m 모델. U4000의 강화형이며 프레임이 한줄에서 두줄로 늘어나 최대 하중이 증가되었다. OM934 디젤 엔진을 탑재하며 231마력 모델인 '''U5023''' 하나만 존재하며 국내 수입되는 모델이다. == 대중매체 == === [[포르자 시리즈]] === [[포르자 호라이즌 4]]부터 등장하기 시작했다. 순정모델은 정말정말 느려터진 주행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개조품중 [[볼보 아이언나이트]]의 '''13리터짜리 2400마력 디젤엔진'''이 존재한다. 해당 엔진을 적용하면 가속력과 최고속도가 뻥튀기되어 온로드, 오프로드를 가리지 않고 주변 라이벌 차량들을 모조리 밀치고 다니는 도로위의 여포로 돌변한다. 덕분에 팀 레이싱에서 가끔 블로킹용으로 기용된다. === [[WARNO]] === [[서독군]]의 보급차량으로 등장한다. 보급량은 적어서 전선에 매복한 보병이나 대공/대전차 미사일을 간단히 채워주는 용도다. === [[도미네이션즈]] === 원자력 시대의 보급 차량인 군수품 호송으로 등장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보급 차량)] === [[나다트 대통령 구출작전|에어리어 88 나다트 대통령 구출작전]] === 에어리어 88 코믹스에서 주인공이 대통령을 데리고 탈출할때 유니목을 타고 간다. 여기선 45도가 아니라 거의 7~80도는 될듯한 절벽을 달려 올라가는 엄청난 성능을 보여줬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메르세데스-벤츠의 차량)] [include(틀:현대전/독일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오스트리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스위스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폴란드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네덜란드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벨기에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그리스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세르비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덴마크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리투아니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에스토니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대만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태국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싱가포르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인도네시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호주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뉴질랜드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튀르키예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카타르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알제리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튀니지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브라질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아르헨티나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레바논의 힘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 관련 문서 == * [[메르세데스-벤츠]] * [[트럭]] [[분류:메르세데스-벤츠/생산차량]][[분류:1949년 출시]][[분류:트럭]][[분류:독일 연방군/장비]][[분류:네덜란드군/장비]][[분류:오프로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