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메르세데스-벤츠 그룹 AG)] ||<-2> '''{{{#ffffff {{{+1 Mercedes-Benz Group AG}}}}}}''' [br] {{{#ffffff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주식회사}}} || ||<-2> [[파일:메르세데스-벤츠 그룹 로고.svg|width=100%]] || ||<|2> '''기업명''' ||'''정식''': Mercedes-Benz Group AG || ||'''한글''':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주식회사 || || '''설립''' ||[[2007년]] || || '''본사 소재지'''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슈투트가르트]] || || '''핵심 인물''' ||[[올라 샬레니우스]] (이사회 의장) || || '''주요 주주'''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1대 주주 베이징 자동차 (BAIC Group) 9.98%[br][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2대 주주 지리 홀딩 그룹 (Tenaciou3 Prospect Investment) 9.69%[br][include(틀:국기, 국명=쿠웨이트)] 3대 주주 쿠웨이트 국부 펀드 5.57% || || '''매출액''' ||€1,339억([[2021년]]) || || '''자산총액''' ||€2,588억 billion([[2021년]]) || || '''직원 수''' ||172,425명([[2021년]]) || || '''기업구분''' ||[[대기업]] || || '''업종''' ||자동차 제조업 || || '''링크''' ||[[https://group.mercedes-benz.com/en/|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메르세데스-벤츠]]를 모태로 하는 [[독일]]의 [[기업집단]]이다. 이전 명칭은 [[다임러 AG]]였으며 2022년에 지금의 명칭으로 변경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50px-Daimler_AG.svg.png]]|| || 다임러 AG 시절 그룹 로고 || == 역사 == * [[1926년]] - 다임러와 벤츠가 합병하여 다임러-벤츠 설립. * [[1998년]] - 미국의 [[크라이슬러]]를 인수하여 다임러-크라이슬러로 사명 변경 * [[2007년]] - [[크라이슬러]]를 사모펀드에 매각 후 다임러 AG(Aktiengesellschaft; 주식회사)로 사명 변경 * [[2021년]] - 상용차 부문 [[다임러 트럭]]으로 분사 * [[2022년]] - 메르세데스-벤츠 그룹으로 사명 변경 == 계열사 == * '''[[메르세데스-벤츠]]''' * [[메르세데스-EQ]] * [[메르세데스-AMG]] * [[메르세데스-마이바흐]] * [[YASA]] * [[https://www.mercedes-benz.co.kr/passengercars/mercedes-benz-cars/mercedes-me/stage-mercedes-me.module.html|메르세데스 미]] * [[https://www.share-now.com/|쉐어 나우]] * [[https://www.mercedes-benz-bank.de/intrade/login/login.jsf|메르세데스-벤츠 뱅크]] * [[https://www.mercedes-benz-mobility.com/en/|메르세데스-벤츠 모빌리티]] * [[https://benzfs.com/aboutus/|메르세데스-벤츠 파이낸셜 서비스]] * [[https://int.athlon.com/|아슬론]] == 합자회사 == * [[덴자]] * [[베이징 벤츠]] * [[푸젠 벤츠]] * [[다임러 밴 홍콩 유한회사]] * [[스마트(자동차)|스마트]]([[지리자동차]]) * [[아과스칼리엔테스 협력 공장]]('''Co'''operation '''M'''anufacturing '''P'''lant '''A'''gua'''s'''calientes, COMPAS)[* 메르세데스-벤츠와 [[닛산]]이 [[멕시코]] 아과스칼리엔테스에 설립한 합작 투자 제조 공장. 마찬가지로 각각 50%씩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 [[다임러 트럭]] === 메르세데스-벤츠의 상용차 부문이 분사한 기업이다. 재편 이후 벤츠에서는 다임러 홀딩 AG의 지분을 35%[* 단 다임러 홀딩 AG 그룹은 65%의 지분을 보유중이다.]를 보유, 이 가운데 약 5%는 연금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다. == 여담 == *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와 협력 관계를 맺은 적이 있다. 2010년 4월 7일부터 [[르노]]와 [[닛산]]은 다임러 AG의 주식 1.55%를, 다임러 AG는 르노와 닛산의 주식 3.1%로 상호 교환을 시작했는데 [[르노 트윙고]] 3세대의 플랫폼이 [[스마트(자동차)|스마트]]의 RR 플랫폼으로 바뀌고,[* 여담으로 이 플랫폼은 르노 트윙고가 처음으로 사용했다.] [[인피니티 Q30]]이 [[메르세데스-벤츠]]의 [[메르세데스-벤츠 MFA 플랫폼|MFA 플랫폼]][* [[메르세데스-벤츠 A클래스|A클래스]], [[메르세데스-벤츠 B클래스|B클래스]], [[메르세데스-벤츠 CLA|CLA]], [[메르세데스-벤츠 GLA|GLA]], [[메르세데스-벤츠 GLB|GLB]]의 플랫폼으로 이 플랫폼을 사용하는 차량들의 주유구는 왼쪽에 위치해 있다.]을 사용하는가 하면 [[르노 캉구]] 2세대가 [[메르세데스-벤츠 시탄]]으로, [[닛산 나바라]] 3세대가 [[메르세데스-벤츠 X클래스]]로 [[배지 엔지니어링]]되는 성과를 이루었다. 하지만 2019년에 협력 관계는 끝이 났다. * 중국 자본의 유입을 무시할 수 없는 상태이다. 2021년, 중국의 벤츠 지분은 [[베이징자동차]] 9.98%, [[지리자동차]] 9.69%로 총 19.67%[* 독일은 법으로 국외 자본이 자국 기업의 주식을 20% 이상 사들이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최대치로 보유한 셈]를 중국 민간&국영기업이 소유하게 되었다. 세번째로 지분이 큰 곳이 쿠웨이트 국부펀드이기 때문에, 중국 자본이 대부분의 의사결정을 좌지우지 할 수 있는, 뗄레야 뗄수 없는 관계가 되었으며, 벤츠가 이후에도 프리미엄 이미지를 가질 수 있을지는 두고봐야 할 일이다. 한편, 벤츠도 베이징자동차의 9.55%, 블루파크[* 베이징자동차의 자회사]의 2.46%를 보유하고 있으며 신규 전기차 세단 [[EQE]]를 중국 공장에 배정했다. 이러한 유착관계로 독일 내에서도 정보와 인력 유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게 사실이다. * [[2022년 대러시아 경제제재#s-4|2023년 4월 부로 결국 러시아에서 완전히 철수하였다.]] 그나마 [[카마즈]] 지분만 남겼을 뿐. [[분류:메르세데스-벤츠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