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CrassClown-JP-Manga-DM.png]] || 한글판 명칭 ||<-4>'''머더 서커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SBS]]판에서는 '죽음의 서커스'로 불리기도 했다.]|| || 일어판 명칭 ||<-4>'''マーダーサーカス'''|| || 영어판 명칭 ||<-4>'''Crass Clown'''||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는 4.]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 [[악마족]] || 1350 || 1400 ||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듀얼리스트 킹덤 편|듀얼리스트 킹덤 편]]에서는 [[고스트 코츠즈카]]가 [[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에서 사용. 여기에서는 레벨 5였다. 덱을 보강시켜준 [[밴디트 키스]]의 조언으로 일부러 공격 표시로 소환해 [[화염의 검사]]와 맞붙어서 전투로 파괴되었고, 이후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에 의해 다른 몬스터들과 함께 [[머더 서커스 좀비]]로 부활하게 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본선 편]]에서는 [[바쿠라 료|어둠의 바쿠라]]와의 듀얼 중 코츠즈카의 패에 있는 카드로도 확인되었다. 모티브는 '살인 광대(Killer Clown)'라는 별명을 가진 연쇄살인마 [[존 웨인 게이시]]로 추정.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CrassClown-DM2-JP-VG.png]] || 한글판 명칭 ||<-4>'''머더 서커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マーダーサーカス'''|| || 영어판 명칭 ||<-4>'''Crass Clown'''||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5.] || 환상마족 || [[악마족]] || 1350 || 1400 || ||<-5>어둠의 서커스에서 춤추는 삐에로. 그 춤을 보고있으면 힘이 빠져나간다.|| DM1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CrassClown-BE02-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머더 서커스, 일어판명칭=マーダーサーカス, 영어판명칭=Crass Clown, 레벨=4,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1350, 수비력=1400, 효과1=이 카드의 표시 형식이 수비 표시에서 공격 표시로 바뀌었을 때\,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 1장을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수비 표시 상태에서 공격 표시가 되면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패로 되돌리는 [[유발효과]]를 가진 효과 몬스터. [[드림 삐에로]]처럼 수비 표시로 바뀌면 효과가 발동하는 유형. 이 쪽은 '''바운스'''이기 때문에 특정 상황에서는 드림 삐에로보다 훨씬 유용하다. 대신 표시 형식이 반대라 [[스텀블링]] 특화 덱에는 채용하기가 힘들다. 뒷면 수비 표시에서 앞면 공격 표시가 되었을 때도 효과는 발동한다. [[파수병 골렘]]과 비교하면 1턴에 여러 번 발동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능력치와 수동적인 발동 조건이 발목을 잡는다. 다만 [[리버스(유희왕)|리버스]] 몬스터처럼 뒷면 수비 표시에서 앞면 공격 표시가 되었을 때도 효과는 발동한다. == 관련 카드 == === [[머더 서커스 좀비]] === 머더 서커스의 [[언데드화]] 버전. === [[드림 삐에로]] === === [[데블 박스]] === 머더 서커스를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각주][[분류:유희왕/OCG/악마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