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 money chords}}} [[파헬벨]]의 [[카논(음악)|카논]]을 재해석해 만든 [[화음|코드]] 진행(chord progression)으로, 귀에 쏙 들어오는 친숙한 멜로디를 많이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팝과 가요를 불문하고 상업적으로 정말 자주 쓰이는 코드 진행이다. '''머니''' 코드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가 있는 셈. 말 그대로 '''돈이 되는 코드'''. 캐논 코드라고 불리기도 한다. 사실 카논은 장단조 화성 음악에서 유래한 게 아니고 선법을 이용한 [[대위법]]적인 음악이며 현재의 머니코드는 이를 현대 [[선법]]화성학적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애초에 파헬벨 시절에는 코드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다. 정확히는 [[르네상스]] 시대부터 화성적 기법을 사용하긴 했으나, 이 화성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기 시작한 것은 파헬벨의 다음 세대 작곡가이자 이론가인 [[장 필리프 라모]]에 의해 본격적으로 시작된 거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조성]] 개념을 보는 음악학적 관점이 사람마다 약간 다를 수 있으므로 머니코드 역시 전통적 [[조성]]확립 [[종지]]를 변형시키고 다른 방법으로 조성확립을 시도한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고 한다. == 예시 == [youtube(5pidokakU4I)] Axis of Awesome의 머니코드 메들리. [youtube(oOlDewpCfZQ)] 뮤직비디오 버전 [youtube(HFrsBMXipDk)] 영국의 코미디언이자 지휘자인 라이너 허쉬의 메들리 [youtube(86vEfqICGmk)] 양산형 발라드 리믹스 == 유형 == 크게 네 가지의 유형이 있다. || '''음도''' || '''다장조 (가단조) 진행''' || ||I - V - vi - iii - IV - I - ii - V ||C - G - Am - Em - F - C - Dm - G || ||I - V,,6,, - vi - iii,,6,, - IV - I,,6,, - ii - V ||C - G/B - Am - Em/G - F - C/E - Dm - G || ||I - V - vi - IV ||C - G - Am - F || ||i - VI - III - VII ||Am - F - C - G || 첫 번째 유형이 파헬벨 카논과 가장 유사하다.[* 카논에서는 마지막 ii(Dm)이 IV(F)라는 점만 다르다.] 두 번째 유형은 첫 번째 유형의 변형으로 재즈 편곡의 영향을 받아 베이스음을 스케일 역순[* 근음이 다장조 기준으로 도시라솔파미레솔 순서로 흘러간다.]으로 하행하여 잡는 것으로 듣자마자 귀에 바로 감기는 진행이지만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최근에는 기피되는 추세다. 대중음악의 구성에 맞게 4마디로 축약한 세 번째의 유형이 정말 많이 사용되며 이쪽을 따로 따서 '4 Chords'라고 하기도 한다. 좁게는 이 세 번째 유형만을 머니코드로 칭하기도 한다. 네 번째 유형은 세 번째 유형을 나란한조인 단조로 사용한 것인데, I (혹은 III)가 시작이냐 vi (혹은 i)가 시작이냐만 다를 뿐 코드의 순서 자체는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머니코드는 계속 반복되기 때문이다.[* C - G - Am - F - C - G - Am - F가 장조, Am - F - C - G - Am - F - C - G가 단조일 뿐 코드가 바뀌는 순서는 같다.] 기존의 I - V - vi - IV로 된 장조 머니코드가 너무 식상해진 2010년대 이후에 각광받고 있는 진행이다. 복잡해진 현대 실용음악에서는 본래의 머니코드 상태보다는 멜로디의 뼈대만 머니코드로 구성하고 기상천외한 편곡을 더해 세련되게 만든다. 대리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대표적이며[* 5도를 7도의 diminished로 잡는다거나(G → Bdim), 4도와 2도를 바꾼다든가(F → Dm) 등등.] II - V - I의 5도권(circle of fifth) 편곡을 더해 블랙뮤직의 느낌을 내는 것도 일반적인 편곡법이다. I - V,,6,, - vi - iii,,6,, - IV - I,,6,, - ii - V 유형에서 C - G/B - Am - Em/G은 그대로 따라가나, Dm - Em - F - G 순으로 역행상승하는 변형코드가 주로 쓰이기도 한다.[* 끝부분은 C로 끝나는데 Csus에서 C로 바뀌는 부분이 대표적이다.] C major ( 다 장조 ) 기준 위에 나온 캐논 코드 진행을 활용하여 ( C - Bm7(b5) - E7 - Am - Gm - C7 - F - Em ( C/E ) - Dm - G ) 진행인 I -> related ii minor b5 -> V/vi -> vi -> related ii minor -> V/IV -> IV-> iii ( I6 ) -> vi -> ii -> V ) 코드 진행이 가요나 뉴에이지 곡 등에 많이 사용된다. == 대표적인 머니 코드 곡들 == ※ 머니코드가 사용된 음악을 '''모두 적으면 당연히 문서의 길이가 천문학적으로 길어집니다. 누구나 알 법한, 정말 중요한 노래들만 적어주세요.''' === I - V - vi - iii - IV - I - ii - V === || '''발표년도''' || '''가수''' || '''제목''' || '''조성''' || '''비고''' || '''빌보드''' || || 1938 || [[소련 국가]] ||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프 || 다장조 (C Major) || || ─ || || 1979 || [[빌리지 피플]] || [[Go West]] || 다장조 (C Major) || || ─ || || 1994 || [[오아시스(밴드)|oasis]] || [[Whatever(오아시스)|Whatever]] || 사장조 (G Major) || || ─ || || 1994 || [[Green Day]] || Basket Case || 내림마장조 (E♭ Major) || || ─ || || 1996 || [[김장훈]] || [[노래만 불렀지]] || 사장조 (G Major) || || - || || 1997 || [[CCM(음악)|CCM]] || [[당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 || 라장조 (D Major) || || ─ || || 2001 || [[자전거 탄 풍경]] || [[너에게 난 나에게 넌]] || 사장조 (G Major) || || ─ || || 2002 || [[부활]] || [[Never Ending Story]] || 올림바장조 (F♯ Major) || || ─ || || 2002 || [[myco]] || [[Myself(달빛천사)|Myself]] || 가장조 (A Major) || [* 애니메이션 [[달빛천사]]의 엔딩곡으로 사용되었다.] || ─ || || 2004 || [[Sweetbox]] || Life is so cool || 라장조 (D Major) || [* 파헬벨의 캐논 자체를 샘플링했다.] || ─ || || 2004 || [[박상민]] || [[해바라기]] || 다장조 (C Major) || || ─ || || 2006 || [[백지영]] || 사랑 안 해 || 사장조 (G Major) || || ─ || || 2013 || [[로이킴]] || 봄봄봄 || 마장조 (E Major) || [* 역시 머니코드를 이용한 ‘Love Is Canon’과 표절시비가 일기도 했다. 다만 봄봄봄의 경우 세컨더리 도미넌트를 이용해 머니코드를 다소 변화시킨 형태.] || ─ || || 2021 || [[이무진]] || [[신호등(이무진)|신호등]] || 나장조 (B Major) || [* 후렴 부분만 해당한다. 또한 후렴에서만 조성이 라장조(D Major)다.] || ─ || 특히 Go West 는 빌리지 피플의 원곡보다 1990년대 초 영국의 [[펫 샵 보이즈]]의 리메이크가 귀에 들어오는 파헬벨 카논진행이 강조되자 유럽축구 팬들 사이에서 축구응원가로 널리 쓰이며 머니코드라는 개념 자체를 널리 알리게 된다. ==== I - V,,6,, - vi - iii,,6,, - IV - I,,6,, - ii - V ==== || '''발표년도''' || '''가수''' || '''제목''' || '''조성''' || '''비고''' || '''빌보드''' || || 1988 || [[무한궤도(밴드)]] || [[그대에게]] || 나장조 (B Major) || [*2절 2절 후렴구 부터 2키만큼 높혀 D♭ Major로 [[조바꿈|전조]]한다.] [*리메이크 2006년 넥스트 5.5집 리메이크.] || ─ || || 1991 || [[이문세]] || [[옛사랑]] || 가장조 (A Major) || || ─ || || 1999 || [[god(아이돌)|god]] || [[어머님께]] || 마장조 (E Major) || [* 마찬가지로 머니코드를 사용한 2pac의 곡 표절로 판정되었다.] || ─ || || 2002 || [[체리필터]] || [[낭만 고양이]] || 내림나장조 (B♭ Major) || || ─ || || 2012 || [[이승철]] || [[아마추어#s-2|아마추어]] || 올림바장조 (F♯ Major) || || ─ || || 2021 || [[방탄소년단]] || [[Permission to Dance]] || 마장조 (E major) || || 1 || === I - V - vi - IV === || '''발표년도''' || '''가수''' || '''제목''' || '''조성''' || '''비고''' || '''빌보드''' || || 1970 || [[비틀즈|The Beatles]] || [[Let It Be(노래)|Let It Be]] || 다장조 (C Major) || [* 정확히 말하면 최초는 아니지만, 머니코드를 뚜렷하게 사용한 최초의 대형 히트곡 중 하나이다.] || 1 || || 1975 || [[밥 말리|Bob Marley]] || [[No Woman, No Cry]] || 다장조 (C Major) || || ─ || || 1987 || [[U2]] || With Or Without You || 라장조 (D Major) || || 1 || || 1989 || [[스키드로우 #s-3]] || I remember you || 가장조 (A Major) || || 6 || || 2003 || [[The Black Eyed Peas]] || [[Where Is The Love?]] || 바장조 (F Major) || || 8 || || 2006 || [[MC몽]] || [[아이스크림(MC몽)|아이스크림]] || 다장조 (C Major) || || ─ || || 2007 || [[MIKA]] || [[해피 엔딩/각종 매체|Happy Ending]] || 올림다장조 (C♯ Major) || || ─ || || 2007 || [[Jason Mraz]] || I'm Yours || 나장조 (B Major) || || 6 || || 2007 || [[앨리샤 키스|Alicia Keys]] || No One || 나장조 (B Major) || || 1 || || 2011 || The Axis of Awesome || 4 Chords || 라장조(D Major) || [* [[닉값|제목에서 알 수 있듯]], 머니코드를 사용한 곡들을 엮은 메들리이다.] || ─ || || 2011 || [[Adele]] || [[Someone Like You]] || 가장조 (A Major) || || 1 || || 2013 || [[이디나 멘젤|Idina Menzel]] || [[Let It Go(겨울왕국)|Let It Go]] || 내림가장조 (A♭ Major) || [* [[겨울왕국]] OST이며, 너무 많이 사용되어서 오히려 기피되었던 머니코드의 위력을 다시 한 번 보여준 곡. 정확히는 후렴 부분만 머니코드에 해당한다.] || 5 || || 2015 || [[제시 제이|Jessie J]] || Flashlight || 바장조 (F Major) || [* 피치 퍼펙트 2 OST] || 61 || || 2016 || Auli'i Cravalho || [[How Far I'll Go]] || 마장조 (E Major) || [* 모아나 OST] || 41 || || 2017 || [[진짜사나이]] || [[이 자리에 (Always)]] || 올림바장조 (F♯ Major) || || ─ || ==== i - VI - III - VII ==== || '''발표년도''' || '''가수''' || '''제목''' || '''조성''' || '''비고''' || '''빌보드''' || || 2003 || [[O-Zone]] || [[Dragostea Din Tei]] || 나단조 (B minor) || [* 유명한 numa numa iei 부분은 VI-III-VII-i] || ─ || || 2010 || [[에미넴|Eminem]] feat. [[Rihanna]] || [[Love The Way You Lie]] || 마단조 (E minor) || [* 후렴에 해당.] || 1 || || 2011 || [[제니퍼 로페즈|Jennifer Lopez]] feat. [[Pitbull]] || On The Floor || 내림마단조 (E♭ minor) || [* 1982년 곡인 람바다(Lambada)를 샘플링.] || 3 || || 2013 || A Great Big World feat. Christina Aguilera || Say Something || 나단조 (B minor) || || 4 || || 2014 || [[OMFG#s-2|OMFG]] || Hello || 사단조 (G minor) || || ─ || || 2015 || [[OMFG#s-2|OMFG]] || I love you || 가단조 (A minor) || [*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두 곡의 코드진행이 완벽하게 똑같다. ] || ─ || || 2015 || [[Adele]] || [[Hello(Adele)|Hello]] || 바단조 (F minor) || || 1 || || 2016 || [[Sia]] || [[Cheap Thrills]] || 올림바단조 (F♯ minor) || || 1 || || 2017 || Luis Fonsi || [[Despacito]] || 나단조 (B minor) || || 1 || ==== i - III - VI - VII ==== 위 방식에서 둘째-셋째 순서를 바꾼 것이다. || '''발표년도''' || '''가수''' || '''제목''' || '''조성''' || '''비고''' || '''빌보드''' || || 2013 || Neru || [[로스트 원의 호곡]] || 마단조 (E minor) || 전반부 || ─ || === I - vi - IV - V === || '''음도''' || '''다장조 진행''' || ||I - vi - IV - V|| C - Am - F - G|| 캐논 코드와 유사하게 팝 음악에 자주 사용되는 코드 진행이며[* 하지만 이 코드 진행은 전통적 조성 구조의 [[종지#s-2]] 형태(IV - V 로 진행하는 형태의 반종지이다. - 물론 이 코드는 반복되므로 사실상 정격종지라고 생각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이므로 [[선법]]적이라고 하기엔 어폐가 있다.] 제목 그대로 50년대에 자주 사용되었다는 뜻에서 50년대식 코드 진행(50s progression)이다. 아이스크림 코드 진행, [[스탠드 바이 미]] 코드 진행, 두왑 코드 진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다른 이름들에서 알 수 있듯이 50~60년대에 엄청나게 유행했던 두왑(Doo Wop) 장르에 흔히 사용되는 코드였으며, 벤 E. 킹의 명곡 [[스탠드 바이 미]]의 진행이기도 하다. 최초의 예는 1933년 [[리차드 로저스]]가 작곡한 'Blue Moon'이며 거의 모든 두왑 장르의 곡과 'Stand By Me'를 샘플링한 모든 곡들 역시 당연히 이 코드 진행을 따른다. 두왑장르가 멸종한 현재에는 계보가 끊긴 코드 진행같지만 가끔 이 코드 진행을 쓰는 곡들이 나온다. || '''발표년도''' || '''가수''' || '''제목''' || '''조성''' || '''비고''' || '''빌보드''' || || 1954 || The Penguins || Earth Angel || 내림가장조(A♭ Major) || [* Stand By Me와 더불어 가장 대표적인 두왑 곡이다.] || || || 1955 || Righteous Brothers || [[사랑과 영혼|Unchained Melody]] || 다장조(C Major) || || || || 1961 || Ben E. King || [[스탠드 바이 미|Stand By Me]] || 사장조(G Major) || [* 대표적인 아이스크림 코드 진행의 예이다.] || 9 || || 1983 || [[폴리스(밴드)|The Police]] || [[Every Breath You Take]] || 사장조(G Major) || || 1 || || 1992 || [[휘트니 휴스턴|Whitney Houston]] || [[보디가드(미국 영화)|I Will Always Love You]] || 가장조(A Major) || [* 리메이크이며, 원곡은 [[돌리 파튼]]의 1972년 곡이다. 또한 아이스크림 진행은 후렴부에 해당하고 벌스는 머니코드로 되어 있다.] || 1 || || 1995 || [[마이클 잭슨|Michael Jackson]] || [[You Are Not Alone]] || 다장조(C Major) || || 1 || || 1997 || [[퍼프 대디|Puff Daddy]] || [[I'll Be Missing You]] || 사장조(G Major) || [* 폴리스의 'Every Breath You Take'를 샘플링한 곡이다.] || 1 || || 2007 || Sean Kingston || Beautiful Girls || 사장조(G Major) || [* 'Stand By Me'를 샘플링하여 다시 한 번 아이스크림 코드 진행을 인기있게 만든 히트곡이다.] || 1 || || 2007 || [[하하(가수)|하하]] || [[너는 내 운명]] || 내림마장조(E♭ Major) || [* Beautiful Girls와 마찬가지로 'Stand By Me'를 샘플링한 곡이다.] || ─ || || 2008 || [[백지영]] || 총 맞은 것처럼 || 내림가장조(A♭ Major) || || ─ || || 2016 || [[레이디 가가|Lady Gaga]] || Million Reasons || 다장조(C Major) || || 4 || || 2018 || Etasonic || [[https://m.youtube.com/watch?v=9jXXBkyZZ-0|Sunshine]] || 라장조 (D Major) || || ─ || === VI - VII - i - v[* 끝부분에 v 대신 III 또는 VII가 들어가기도 한다.] === || '''음도''' || '''가단조 진행''' || || VI - VII - i - v|| F - G - Am - Em|| 이것도 머니코드와 유사하게 팝 음악에 자주 사용되는 코드 진행이다. || '''발표년도''' || '''가수''' || '''제목''' || '''조성''' || '''비고''' || '''빌보드''' || || 2013 || Neru || [[로스트 원의 호곡]] || 마단조 (E minor) || 후렴구 || ─ || || 2015 || kz || [[Hand in Hand(VOCALOID 오리지널 곡)|Hand in Hand]] || 내림마장조(E♭ major) || 후렴구 || ─ || || 2017 || [[라이언 전]] || [[나야 나 (PICK ME)]] || 마단조 (E minor) || || ─ || || 2021 || [[저스틴 비버]] || [[STAY(The Kid LAROI)]] || 올림다장조(C♯ major) || || 1 || === IV - V - iii - vi === 위의 진행과 비슷하며 일본의 대중음악인 J-POP, 애니메이션 음악, 게임 음악에서 매우 자주 쓰이는 코드 진행이자[* 일본의 경우 7,80년대 [[시티 팝]] 때부터 정말 지겹도록 쓰고 있다.] K-POP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진행이다. 일본에서는 왕도진행(Ōdō shinko, royal road progression)이 또는 소악마 진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음계#5음계|5음계]]와도 잘 어울려 [[엔카]]나 [[트로트]], 동양풍 사극풍 같은 노래에서도 자주 쓰인다. || '''음도''' || '''다장조 진행''' || || IV–V–iii–vi || F–G–Em–Am || || '''발표년도''' || '''가수''' || '''제목''' || '''조성''' || '''비고''' || '''빌보드''' || || 1987 || [[Rick Astley]] || [[Never Gonna Give You Up]] || 내림나단조 (B♭ minor) || || 1 || || 1988 || [[Rick Astley]] || [[Together Forever]] || 나단조 (B minor) || || 1 || || 1997 || [[아쿠아(밴드)|Aqua]] || [[Barbie Girl]] || 올림다단조 (C♯ minor) || || 7 || || 2009 || [[fripSide]] || [[only my railgun]] || 내림가단조 (A♭ minor) || || || 서양 음악에서도 가끔 쓰이는데 대표적으로 [[Together Forever]]와 [[The Show Must Go On]]이 있다. 이 코드진행을 쓰는 음악의 리스트는 [[https://en.wikipedia.org/wiki/IV%E2%96%B37%E2%80%93V7%E2%80%93iii7%E2%80%93vi_progression|위키피디아]]를 참고할 것. 이 코드 진행은 [[투파이브원|ii - V - I]] 종지로 자주 해결된다. 이 두 코드 진행을 붙이면 '''IV - V - iii - vi - ii - V - I'''의 큰 코드 진행이 되며, 이는 결코 장조의 5도권 동형진행[* IV - vii° - iii - vi - ii - V - I]에서 7도를 5도 화음으로 대리한 것과 같다. == 여담 == * 머니코드를 쓰는 곡들은 그 특성 상 [[사이버 렉카|표절 렉카]]들과 표절무새들의 표적이 되어 표절몰이를 당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표절 렉카들은 비교랍시고 [[매쉬업]][* 2개 이상의 곡을 1곡처럼 자연스럽게 겹치거나 조합하는 것]을 하거나 [[메들리]][* 여러 곡을 부분부분 잘라서 서로 이어붙이는 것]를 만들어 놓고는 표절이라고 우기는 경우가 많은데, 코드 진행이 같은 곡들은 당연히 조성과 템포만 통일하면 잘 어울릴 수밖에 없다는 것을 악용하여 음악 전문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을 상대로 표절이라고 선동하는 것이다. [[분류: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