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위서)] 孟建 생몰년도 미상 [목차] == 개요 == [[후한]] 말과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위나라의 인물이며 자는 공위(公威)로 예주 여남군 출신. == [[삼국지(정사)|정사 삼국지]] == [[사마휘]]의 제자이며, [[방통]], [[서서]], [[석도(삼국지)|석도]], [[제갈량]] 등과 교류했다. 서서, 석도와 함께 학문을 깊이 이해하려고 했다고 하며, 제갈량에게서는 서서, 석도 등과 함께 벼슬하면 자사나 군수에 이를 정도라고 평가받았다. 이후 고향을 그리워해 북쪽으로 돌아가고자 해서 제갈량이 벼슬을 하는 것을 꼭 고향에서 해야겠냐며 말렸지만 결국 고향이 있는 북쪽으로 돌아갔으며,[* 제갈량으로서는 동문수학한 절친과 헤어지는 것이 안타깝기도 했겠지만 맹건의 고향인 예주는 조조의 영토였으니 자기 절친이 고향과 가족의 원수 밑으로 들어가 일하며 차후 자신과 적대관계가 될 수도 있는 것을 원치 않아서였다고 볼 수 있다.] 후에 [[위(삼국시대)|위나라]]에서 벼슬을 해서 [[온회]]가 사망하자 양주자사가 되어 뛰어난 정치 수완을 발휘했다고 한다. --자사나 군수가 된다고 했는데 자사가 됐으니 제갈량이 옳았다-- 이후 제갈량이 [[북벌]]로 기산에 출진했을 때 [[사마의]]에게서 온 서신을 보냈는데, 사마의의 대답을 가지고 돌아가는 [[두습]]에게 공위를 잘 부탁했다고 전했다고 한다. 이후 정동장군까지 승진했다고 한다. == [[삼국지연의]] == 유비가 제갈량을 등용하기 위해 두 번째로 유비와 만나게 되었는데, 주막에서 석도와 함께 [[주나라#s-1]]부터 후한 말기에 이르는 역사를 논하는 것으로 천하를 웅비할 기개를 보이다가 일신의 안락을 추구하는 시를 읊었다. 유비가 등용을 시도하자 석도와 함께 거부했으며, 그 와중에 방통이 찾아오자 함께 이야기를 나눴다. == 미디어 믹스 == || [[파일:孟建.jpg]] || [[파일:맹건.jpg]] || || 100만인의 삼국지 || 삼국지 11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07.jpg|width=400]] || || 삼국지 13, 14 ||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삼국지 11]] 콘솔판에서 추가되었다. 특기는 [[침착]],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31/지력 80/정치력 86/매력 75. 지력이 좋아서 특기 자체는 미묘하지만 능력치는 삼국정립 시기 어느 세력에 소속되더라도 내정/야전 어느 쪽에서든 쓸만한 인재다. 연의/정사와는 달리 촉이 데려올 수 있어서 제갈량이 원하던 절친과 함께 일하는 것도 가능하다. [[삼국지 13]]에서 복귀했는데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31/지력 80/정치력 86. 지력과 정치력이 80대라 매우 우수하지만 몇 안 되는 특기가 농업 2 설파 1. 전수특기도 석도와 똑같이 농업으로 전법은 궁병도발이다. 제갈량이 재야에서 농사를 짓던 시절부터 교류를 했다는 이유로 받은 특기일지도. 일러스트는 책을 든 채 무거운 표정을 짓고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2, 무력 31, 지력 71, 정치 77, 매력 68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21, 지력이 9, 정치력이 9 하락했는데 특히 통솔력이 2배 넘게 깎였다. 개성은 석병, 능리, 주의는 왕도, 정책은 시설개발 Lv 3, 진형은 안행, 충차, 전법은 업화, 충차, 친애무장은 [[서서]], [[석도(삼국지)|석도]], [[온회]], [[제갈량]], 혐오무장은 없다. [[파일:석광원맹공위.png]]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에서도 등장한다. 석도와 함께 유비를 만나지만 대사는 그보다 적다. [[분류:조위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