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맷 올슨/선수 경력)] ||<-5>
'''[[맷 올슨|{{{#ffffff 맷 올슨}}}]]{{{#ffffff 의 시즌 일람}}}''' || || [[맷 올슨/선수 경력/2021년|2021년]] || → || '''{{{#ffffff 2022년}}}''' || → || 2023년 || [목차] == 개요 == 미국의 야구선수 [[맷 올슨]]의 2022 시즌을 정리한 문서. == 시즌 전 == 메이저리그 직장폐쇄가 끝난 직후인 3월 14일, 1:4 트레이드로 고향팀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로 트레이드되었다. 반대급부로 [[크리스티안 파체]], [[셰아 랭글리어스]], 라이언 큐식과 [[조이 에스테스]]가 오클랜드로 넘어간다. 트레이드 후 알렉스 앤소폴로스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단장은 자신이 만들었던 가장 어려운 결정이자 거래였다며 기존 1루수이자 프랜차이즈 스타였던 [[프레디 프리먼]]에 대한 아쉬움과 [[맷 올슨]]에 대한 믿음을 동시에 드러내기도 했다. 올슨은 트레이드 직후 인스타그램에 [[맷 채프먼]]과 함께한 사진을 게시하며 오클랜드에 대한 아쉬움과 감사함, 그리고 애틀랜타에 대한 기대감을 동시에 글로서 남겼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lson_atl.jpg|width=100%]]}}} || || '''{{{#FFFFFF 트레이드 다음날 알렉스 앤소폴로스 단장과의 연장계약 발표 기자회견에서}}}''' || 트레이드 다음날인 3월 15일, 8년 $168M의 대형 연장계약을 발표했다. 이로써 애틀랜타는 1루수 걱정을 덜게 되었고, 프랜차이즈 1루수 [[프레디 프리먼]]과의 결별이 사실상 확정되었다. 한편 지난 시즌 활약에 비해 계약 규모가 꽤 소소하다는 의견이 많다. 심지어 그 흔한 트레이드 거부권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오클랜드에서도 연봉협상에서 잡음이 일어난 적이 없는 것으로 봤을 때 돈욕심이 크게 없다는 평. 시범경기에서는 13경기 32타수 .344/.432/.594, 2홈런의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 페넌트레이스 == === 4월 === ||<-17> '''{{{#fff 4월 기록}}}''' ||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볼넷''' || '''삼진''' || '''병살타''' || '''도루'''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OPS+''' || || 22 || 98 || 24 || 9 || 0 || 2 || 11 || 6 || 6 || 3 || 1 || 0 || .293 || .398 || .476 || .874 || 159 || 4월 7일 [[신시내티 레즈]]와의 정규시즌 개막전에서 2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2타수 무안타 2볼넷 1득점 1삼진을 기록했다. 4월 8일 신시내티 레즈와의 경기에서 2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장했다. 첫 타석부터 [[레이버 산마르틴]]을 상대로 브레이브스에서의 첫 안타를 기록했다. 6회 말에는 1사 이후 타석에 들어서 [[대니얼 두아르테]]를 상대로 2루타를 뽑아냈으나 후속타자들이 범타 처리되며 득점에 성공하진 못했다. 8회 말 [[벅 파머]]를 상대로 안타를 뽑아내며 3안타 경기를 완성했다. 4월 9일 [[신시내티 레즈]]와의 경기에서 3타수 2안타 2루타 1볼넷으로 활약했다. 팀은 2대 1로 신승을 거두었다. 4월 10일 신시내티를 상대로 2:6 뒤진 시점에서 중전 솔로포를 날리며 애틀랜타에서의 첫 홈런을 선보였다. 4월 16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2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장했고, 첫 타석부터 [[닉 마르티네스]]를 상대로 안타를 기록하더니 한 점 앞선 5회 초에는 달아나는 솔로 홈런을 쏘아올렸다. 4타수 3안타 1볼넷으로 좋은 활약을 펼치며 팀의 승리에 일조했다. 개막 후 10경기를 치른 시점에서 .412, 2홈런, 7득점, 2타점 OPS 1.232로 뜨거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타점은 적은편이나 7득점만 봐도 출루율이 매우 높고 어지간하면 홈까지 들어오는 중이다. 4월 17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의 경기에서 2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다르빗슈 유]]를 상대로 멀티히트를 기록했다. 4타수 2안타를 기록했다. 4월 18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2번타자 1루수로 출장하여 4타수 3안타 1득점을 기록했다. 경기 전 앞선 애틀랜타의 프랜차이즈이자 주전 1루수였던 [[프레디 프리먼]]과 반갑게 인사를 나누는 장면이 포착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4월 22일 [[마이애미 말린스]]와의 홈 경기에서 2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장하였다. 첫 두 타석에선 땅볼을 기록했으나 7회 말 세 번째 타석에서 한 점 앞선 2사 1,2루상황 타석에 들어서 [[리차드 블레이어]]를 상대로 2타점 적시 2루타를 기록했다. 올슨의 쐐기타에 힘입어 팀은 그대로 승리했다. 4월 30일 [[텍사스 레인저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4타수 무안타 2삼진으로 침묵했다. === 5월 === ||<-17> '''{{{#fff 5월 기록}}}''' ||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볼넷''' || '''삼진''' || '''병살타''' || '''도루'''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OPS+''' || || 28 || 122 || 25 || 14 || 0 || 4 || 10 || 15 || 17 || 29 || 5 || 0 || .240 || .353 || .490 || .843 || 136 || 5월 2일 [[뉴욕 메츠]]와의 원정 경기에서 전 동료 [[크리스 배싯]]에게 3타수 무안타로 꽁꽁 묶였다. 5월 3일 [[뉴욕 메츠]]와의 더블헤더 1차전에서 넉 점 뒤진 5회 초 [[데이비드 피터슨]]을 상대로 추격의 쓰리런 홈런을 기록했다. 15일만에 쏘아올린 홈런. 2타수 1홈런 2볼넷으로 3출루 경기를 펼쳤으나 팀은 패배했다. 같은 날 더블헤더 2차전에서는 [[카를로스 카라스코]]를 상대로 2루타 두 개를 기록하며 또 활약했다. 5월 4일 [[뉴욕 메츠]]와의 경기에서 2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장했으나 4타수 무안타 1볼넷으로 침묵했다. 팀은 승리. 5월 6일 [[밀워키 브루어스]]와의 홈 경기에서 2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장해 3타수 무안타 1볼넷을 기록했다. 볼넷 출루 이후 득점에도 성공했다. 5월 8일 [[밀워키 브루어스]]와의 홈 경기에서 2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장했고, 두 점 앞선 2회 말 [[애런 애쉬비]]를 상대로 유격수 쪽 짧은 뜬공을 띄웠으나 밀워키의 야수들이 모두 잡지 못하며 출루에 성공했다. 2루까지 진루한 사이 두 명의 주자가 모두 홈을 밟으며 리드를 넉 점으로 벌린 2타점 2루타로 기록되었다. 5월 10일 [[보스턴 레드삭스]]와의 홈 경기에서 3회 말 두 번째 타석에서 선두타자로 나와 [[개럿 휘틀록]]을 상대로 2루타를 기록했다. 7회 말에는 [[한셀 로블레스]]를 상대로 안타를 기록했고. 뒤이어 득점에도 성공했다. 5타수 2안타를 기록했으나 팀은 패배했다. 시즌 타율은 .270, OPS는 .840으로 상승했다. 5월 11일 [[보스턴 레드삭스]]와의 홈 경기에서 한 점 뒤진 3회 말 [[네이선 이볼디]]를 상대로 동점 1타점 적시 2루타를 터뜨렸다. 4타수 1안타 1타점을 기록했고, 팀은 [[올랜도 아르시아]]의 끝내기 투런홈런으로 승리했다. 5월 14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의 경기에서 2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1회 첫 타석부터 전 동료 [[션 머나야]]를 상대로 솔로 홈런을 기록했다. 시즌 4호 홈런. 팀은 올슨의 홈런에 힘입어 승리했다. 5월 22일 [[마이애미 말린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2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장했으나 4타수 무안타를 기록, 팀의 한 점차 패배를 막지 못했다. 특히 5회 말에는 2사 만루에서 타석에 들어섰으나 초구를 건드려 유격수 땅볼로 물러났다. 올슨은 최근 6경기에서 23타수 3안타, .130/.286/.217에 그치는 등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시즌 OPS는 .785까지 떨어졌다. 결국 다음날 경기부터 5번타자로 타순이 내려갔다. 5월 24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5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동점 상황 6회 말 [[제임스 놀우드]]를 상대로 균형을 깨뜨리는 시즌 5호 홈런을 기록했다. 팀은 [[윌리엄 콘트레라스]]의 끝내기 안타로 승리하였다. 5월 26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경기에서 [[애런 놀라]]를 상대로 2루타만 두 개 기록하며 좋은 모습을 보였으나 팀은 놀라에게 8.1이닝 1실점으로 꽁꽁 묶이며 패배했다. 5월 27일 [[마이애미 말린스]]와의 경기에서는 3타수 무안타 1볼넷 '''3삼진'''을 기록하며 부진했다. 5월 28일 [[마이애미 말린스]]와의 경기에서도 3타수 무안타 2삼진을 기록했다. OPS .800선이 다시 붕괴되었다. 5월 29일 [[마이애미 말린스]]와의 경기에서 첫 타석부터 [[엘리서 에르난데스]]를 상대로 2루타를 때렸고, 3회에는 뜬공으로 물러났으나 5회 1사 2루에서 [[오스틴 라일리]]를 불러들이는 1타점 2루타를 터뜨렸다. 이 안타로 올슨은 올 시즌 처음으로 20 2루타를 달성한 선수가 되었다. 5월 30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와의 경기에서 5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1회와 5회 득점권 기회를 맞았으나 모두 범타로 물러나고 말았다. 8회 초 [[이안 케네디]]를 상대로 2루타를 때렸으나 승부를 뒤집기엔 역부족이었다. 4타수 1안타로 OPS는 .810이 되었다. 현재까지는 49경기 5홈런 .249/.363/.448, OPS+ 122. 작년보다 떨어진 성적으로 기대보다는 못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수비 역시 49경기를 치른 시점에서 자신의 커리어상 가장 낮은 .990으로 아쉬운 성적이다. 반면 다저스로 넘어간 기존 1루수 [[프레디 프리먼]]은 작년보다 높은 OPS+를 기록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이며 애틀랜타 팬들의 아쉬움을 자극하고 있다. 그러나 다음날인 31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와의 경기에서 5타수 4안타 1홈런 2루타 2개 4타점 1득점으로 엄청난 활약을 펼쳤다. 하지만 팀은 연장전 끝 [[쿠퍼 험멜]]에게 끝내기 안타를 맞으며 패하고 말았다. === 6월 === ||<-17> '''{{{#fff 6월 기록}}}''' ||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볼넷''' || '''삼진''' || '''병살타''' || '''도루'''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OPS+''' || || 27 || 119 || 25 || 8 || 0 || 6 || 11 || 21 || 11 || 23 || 1 || 0 || .234 || .303 || .477 || .779 || 113 || 6월 2일 [[콜로라도 로키스]]와의 경기에서 3회와 5회 득점권 타석에서는 모두 1루수 직선타로 물러나며 아쉬움을 삼켰으나 6회에는 [[오스틴 라일리]]를 불러들이는 1타점 적시타를 때려내며 점수를 8점 차로 벌렸다. 6월 3일 [[콜로라도 로키스]]와의 경기에서 5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장하였다. 애틀랜타가 한 점 앞선 연장 10회 초 2사 2,3루 상황에서 콜로라도 벤치는 [[카를로스 에스테베스]]를 고의사구로 거르고 [[맷 올슨]]을 상대했으나, 올슨은 2타점 적시타로 보답했다. 올슨의 안타에 힘입어 팀은 승리를 거두었다. 6월 5일 [[콜로라도 로키스]]와의 경기에서 4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장해 3-3으로 맞선 2회 초 [[라이언 펠트너]]를 상대로 앞서가는 쓰리런 홈런을 때렸다. 시즌 7호 홈런. 6월 7일 처음으로 친정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를 상대로 경기를 펼쳤다. 경기 전 [[채드 핀더]] 등 팀 동료들과 인사를 나누었다. 첫 타석에서 [[콜 어빈]]을 상대로 안타를 때렸다. 그러나 이후 세 타석에서 2삼진 1땅볼을 기록했다. 6월 8일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의 경기에서 5타수 2안타 1타점을 기록했다. 시즌 OPS는 .827로 상승. 6월 9일 [[피츠버그 파이리츠]]와의 경기에서 4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장했으나 4타수 무안타 2삼진을 기록했다. 6월 11일 [[피츠버그 파이리츠]]와의 경기에서 4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3타수 무안타 1삼진을 기록했다. 6월 12일 [[피츠버그 파이리츠]]와의 시리즈 마지막 경기에서 한 점 앞선 8회 말 [[체이스 데 용]]을 상대로 솔로 홈런을 때려냈다. 그러나 이후 5경기에서 21타수 3안타 무장타로 부진에 빠졌다. 시즌 OPS는 .777까지 하락. 6월 19일 [[시카고 컵스]]와의 경기에서 2루타만 세 개를 때려내며 반등의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팀도 6-0으로 승리했다. 시즌 2루타는 27개로 이 부문 리그 전체 1위를 질주하고 있다. 공동 2위는 [[라파엘 데버스]], [[케텔 마르테]], [[J.D. 마르티네즈]]의 23개. 6월 21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는 올 시즌 처음으로 멀티홈런을 때려내며 10홈런 고지를 밟았다. 그러나 팀은 난타전 끝 10-12로 패배했다. 6월 24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홈 경기에서 4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장해 6회 [[훌리오 유리아스]]를 상대로 희생플라이를 때리는 등 3타수 2안타 1타점을 기록하며 팀의 유일한 득점을 만들었다. 팀은 패배. 6월 26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선데이 나이트 베이스볼 경기에서 3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장했다. 정규이닝까지는 안타를 때리지 못했고, 연장 10회 초 [[맥스 먼시]]의 103.1마일짜리 총알같은 타구를 낚아채며 팀의 실점을 막았다. 이후 한 점 뒤진 연장 10회 말 선두타자로 들어서 1타점 동점 적시타를 때려냈다. 6월 28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3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장했다. 1회 초부터 [[트래비스 다노]]와 함께 백투백 홈런을 때리며 팀에 리드를 안겼고, 8회 초에는 동점 상황에서 결승 솔로홈런을 때리며 팀의 승리를 견인했다. 6월 21일 이후 8일만에 멀티홈런을 때렸다. 6월 29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경기에서 4회 선두타자로 나와 [[레인저 수아레즈]]를 상대로 시즌 31번째 2루타를 때렸다. 브레이브스 프랜차이즈 역사에서 76경기를 치른 선수들 중 두 번째로 많은 2루타를 때려냈다고 한다. 첫 번째는 레드 워싱턴이 1932년에 기록한 76경기 33 2루타. 6월 30일 올스타전 1차 투표 결과가 발표되었는데, 올슨은 [[폴 골드슈미트]], [[피트 알론소]], [[프레디 프리먼]]에 이어 내셔널리그 4위를 차지했다. 2,477,992표를 득표했다. === 7월 === ||<-17> '''{{{#fff 7월 기록}}}''' ||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볼넷''' || '''삼진''' || '''병살타''' || '''도루'''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OPS+''' ||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7월 27일 드디어 '''20홈런'''을 달성하면서 2020시즌 단축만 뺀다면 5년 연속 20홈런 달성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7월 30일에도 21홈런을 쳤다. === 8월 === 7월 30일 21호 홈런 이후 2루타 한개만 나오는 등 장타력이 실종되면서 8월 10일까지 손맛을 보지 못 하고 있다. 이때문에 코칭 스태프들도 휴식이 필요하다 여겼는지 미국시간으로 연속 2일간 선발에서 제외되었다. === 9월 이후 === 9월 [[wRC+]]가 104도 아닌 '''4'''라는 황당할 정도의 부진을 겪고 있다.[* wRC+ 항목에 설명되어 있듯 100이 리그 평균이고 70만 되어도 극도의 부진이라고 할 수 있는 수치인데 한자리수를 찍고 있는 것이다.] 9월 1일부터 9월 21일까지 73타수 7안타(2루타 1) 1홈런 7볼넷 23삼진 ops .375의 성적을 기록하면서 9월 성적만 보면 5월까지의 [[마커스 시미언]] 보다도 못한 성적을 기록하는 중. 그래도 시즌 막판에는 [[뉴욕 메츠]]와의 순위결정 시리즈에서 3게임 연속 홈런을 치는 등 살아나는 모습을 보였다. == 총평 == 30홈런 100타점을 넘기면서 브레이브스가 기대했던 장타력은 보여주었고 특히 시즌 막판의 하드캐리로 팀이 [[뉴욕 메츠]]를 제치는데 일등공신이 되었으나 시즌 후반의 부진과 수비에서의 불안함으로 전체적으론 아쉬운 성적을 거뒀다. 포스트시즌에서는 브레이브스 타자들 중 가장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나머지 선수들의 부진으로 아쉽게 디비전시리즈에서 탈락하면서 다음시즌을 기약해야 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34홈런 103타점 OPS .802.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맷 올슨/선수 경력, version=50)] [[분류:맷 올슨]][[분류:야구선수/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