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맷 랜들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두산 베어스 외국인 선수)] ---- [include(틀:두산 베어스 개막전 선발 투수)] ---- || '''맷 랜들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두산 베어스|{{{#fff 두산 베어스}}}]] {{{#fff 등번호 30번}}}''' || || [[이경필]][br](1999~2004) || → || '''{{{#fff 랜들[br](2005~2008)}}}''' || → || [[후안 세데뇨|세데뇨]][br](2009)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dimg.donga.com/5059263.1.jpg|width=100%]]}}} || ||<-2> '''{{{#000 {{{+2 매튜 "맷" 랜들}}} [br] Matthew "Matt" Randel}}}''' || ||<|2> '''출생''' ||[[1977년]] [[2월 15일]] ([age(1977-02-15)]세) || ||[[오리건]] 주 [[포틀랜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이중국적자. 은퇴 후에도 미국에 돌아가지 않고 한국인 아내를 만나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고 한국에 정착해 한동안 살았다. 현재는 미국으로 돌아가 부인과 함께 살고 있다.] || || '''신체조건''' ||183cm, 82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99년]]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입단 || || '''소속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1999~2000) [br] [[요미우리 자이언츠]] (2003~2004) [br] '''[[두산 베어스]] (2005~2008)''' || [목차] [clearfix] == 개요 == [[두산 베어스]]의 前 외국인 [[투수]]. == 선수 생활 == === 프로 입단 이전 === 리지필드고교 졸업 후 [[LA 다저스]]에 84라운드로 지명받았으나 입단하지 않았고, 야구 장학생으로 루이스앤클라크 대학에 진학했으나 2학년을 마치고 중퇴했다. 이후 피자집 아르바이트 등으로 시간을 보내다가, 1999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입단 테스트를 거쳐 연봉 480만엔에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에 입단했다. === [[일본프로야구]] === 1999년에는 줄곧 2군에 머물렀고 이듬해인 2000년 7월 19일 [[지바 롯데 마린스]] 전에 구원 등판, ⅓이닝 2피안타 1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하며 1군 데뷔전을 마친다. 하지만 호크스에서의 1군 등판은 그것이 처음이자 마지막이었고, 2000시즌이 끝난 후 랜들은 일본을 떠난다. 이후 다시 1년 가량을 쉬다가, 이후 2002년 독립리그를 거쳐 그 해 말에 입단 테스트를 받고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입단, 일본 야구에 재도전하게 된다. 2003년은 2군에서 출발했으나 다른 외국인 투수들의 부진을 틈타 1군에 승격, 4월 24일 [[야쿠르트 스왈로즈]] 전에 선발 등판해 5이닝 2실점으로 호투하며 1군무대 첫 승을 거둔다. 이후 등판에서는 부진한 모습을 보여 곧 2군으로 내려갔으나, 발전 가능성을 인정받아 잔류에는 성공했다. 그리고 2004년에는 시범경기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며 개막 1군 엔트리에 합류했고, 중간계투와 임시 선발을 오가며 전반기에만 3승을 거뒀으나 팔꿈치 부상이 오면서 시즌 아웃, 결국 요미우리를 떠나게 된다. 일본에서 거둔 성적은 28경기 4승 3패 1세이브 평균자책점 5.76. === [[두산 베어스]] 시절 === ||
[[파일:200903171216582228_1.jpg|width=100%]] || 이후 랜들은 요미우리 시절부터 절친한 사이였던 [[게리 레스]]가 일본으로 팀을 떠나는 대신 랜들을 추천해줘서 2005년 [[한국프로야구]] [[두산 베어스]]에 입단하게 된다. 하지만 두산 팬들은 메이저리그는커녕 마이너리그 경험도 전무하고 일본에서의 성적도 그다지 신통치 않았던데다 팔꿈치 부상 경력까지 있는 랜들보다는 메이저리그 경력이 있는 베테랑 투수 척 스미스 쪽에 기대를 걸고 있었다. 하지만 랜들은 시범경기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개막전 선발로 낙점되었고, 이후에도 안정된 피칭을 보여주며 선발진을 이끌게 된다. 한편 두산 구단은 반대로 4승 6패 ERA 4.55라는 기대 이하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던 척 스미스를 7월 4일부로 웨이버 공시하고, 대체 외국인 선수로 [[KIA 타이거즈]]의 [[다니엘 리오스]]를 트레이드로 영입해온다. KIA에서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이던 리오스는 두산에서 완벽히 부활했고, 두산은 정규리그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직행한다. 랜들은 [[한화 이글스]]와의 플레이오프 2차전에 선발 등판해 7이닝 1실점의 호투로 승리투수가 되었고, 이후 팀은 한화를 스윕하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하게 된다. 랜들은 [[삼성 라이온즈]]와의 한국시리즈 2차전에 선발 등판해 6이닝 1실점으로 호투했으나 승패없이 물러났고, 결국 두산은 4전 전패로 스윕당하며 준우승에 머무르게 된다. 그리고 2006시즌, 랜들은 두 번의 완봉승을 포함해 무려 16승을 거두며 커리어 최고의 시즌을 보내게 된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팀은 5위에 그치며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2007시즌에도 랜들은 12승을 기록하며 무려 22승을 거두는 괴력을 선보인 1선발 리오스의 뒤를 든든히 받쳤다. 토종 에이스 [[박명환]]이 FA로 [[LG 트윈스]]로 이적하고, [[이혜천]]은 부상으로 시즌을 통째로 날렸으며, 유망주 [[김명제]]마저 정체된 모습을 보인 가운데 이 해 두산의 선발진은 저 외국인 선수 두 명이 지탱했다고 해도 전혀 과언이 아니었다. 두산 팬들 사이에서 '''선발 로테이션은 [[워렌 스판|리오스-랜들]][[정지훈(야구)|-비-비-비]]'''라는 자조섞인 농담이 나올 정도였다.[* [[애틀란타 브레이브스]]의 전설적인 명투수 [[워렌 스판]]과 관련된 시의 패러디이다. 이쪽도 팀이 워렌 스판-자니 세인의 원투펀치 말고는 답이 없어서 이 둘만 나오면 좋겠다고 한 신문에 기자가 쓴 시다.][* 여담으로 같은 해인 2007년 [[한화 이글스]]도 선발진을 [[류현진]]-[[정민철]]-[[세드릭 바워스|세드릭]]-[[정지훈(야구)|비-비-비]] 형식으로 운영했다. [[김인식]] 당시 한화 감독이 이 우천취소를 잘 써먹기도 했다.] 어쨌든 두산은 이 막강한 원투펀치를 앞세워 정규리그 2위에 올라 플레이오프를 거쳐 한국시리즈까지 진출했으나, [[SK 와이번스]]와의 한국시리즈에서 2연승 후 4연패를 당하며 또다시 준우승에 머물렀다. 2008시즌에는 일본으로 떠난 리오스 대신 랜들과 절친한 사이인 게리 레스가 두산으로 복귀해 시너지 효과를 이룰 것이라 기대를 받았으나, 레스가 가족의 건강 문제로 5월 초에 임의탈퇴로 한국을 떠났고 랜들도 9승에 그치며 한국에 온 뒤 가장 부진한 시즌을 보내게 된다. 하지만 랜들은 포스트시즌에서 자신의 진가를 발휘, [[삼성 라이온즈]]와의 플레이오프에 두 번 선발등판해 1승을 따내며 팀의 한국시리즈 진출에 공헌한다. 플레이오프 6차전을 앞두고 부친상을 당하는 아픔을 겪었으나 팀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위해 끝내 출국하지 않고 [[SK 와이번스]]와의 한국시리즈 1차전에 선발 등판, 5⅓이닝 1실점으로 승리투수가 되어 1차전 MVP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후 랜들은 팀이 1승 2패에 몰린 4차전에 선발 등판해 7이닝 3실점(2자책점)으로 역투했으나 어째서인지 끝내 팀은 패하고 말았고, 팀은 결국 1승 후 4연패를 당하며 SK에게 또다시 준우승에 그치고 말았다. 하지만 랜들이 여태껏 포스트시즌에서 보여준 팀에 대한 헌신은 두산 선수단과 팬들에게 큰 감동을 주었고, 정규시즌에서의 다소 부진한 성적에도 불구하고 랜들은 또다시 재계약에 성공한다. 하지만 시즌을 코앞에 둔 2009년 3월 12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야구장]]으로 출근하던 랜들은 '''[[선릉역]]''' 계단에서 미끄러지면서 전치 6주의 허리 부상을 당한다. 재활기간까지 포함해 최소 3개월 정도의 공백이 불가피해지면서 더는 기다릴 수 없었던 두산 구단은 결국 3월 30일, 랜들의 퇴출을 발표하였다. 부상으로 두산에서 방출 된 후 바로 현역 은퇴를 선언하였다. == 여담 == * 취미는 음악으로, 기타 등 악기 연주는 물론 곡을 직접 쓰기도 한다고. 선수 시절에도 밴드를 결성해 [[이태원동]]의 바에서 라이브 공연을 하기도 했는데, 은퇴 이후에는 아예 음악 활동에만 전념하고 있다고 한다. 2014년까지 국내에서 Mixed Blood라는 [[하드코어 펑크]] 밴드의 베이시스트로 활동 중이었다. * 포스트시즌에 굉장히 강했다. 통산 9경기 5승 1패 평균자책점 2.28. [[파일:external/ef6ebe814c9d14b954d3520fb03ef9ae586ada40838b3cd75c4b66992d881f29.gif]] * 2006년 5월 17일 [[이승엽 야구장|대구구장]]에서 열린 원정 경기에서 [[홈런]]을 치고 [[빠던]]을 시전한 [[양준혁]]에게 경기 도중 [[뻐큐|법규]]를 시전한 적이 있다. 저 시절에는 [[미국인]] 야구선수들이 [[배트 플립]]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했으니 마냥 이해 못할 행동은 아니지만 다음날 랜들은 자신을 자책하는 차원에서 무의식적으로 나온 행동이었다고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09&aid=0000033345|해명했다.]] 은퇴 이후에도 양준혁에 대한 감정이 그리 좋진 않다. * [[일본프로야구]] 경험에 대해 부정적인 반면 [[한국프로야구]]에서의 삶에 만족하였다.[[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5/04/21/2005042170463.html|[민훈기의 코리안드림] (1) 두산 투수 맷 랜들]] 두산 동료들과 잠실 야구장 흡연실에서 같이 담배를 피울 정도였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2>
{{{#ffd300 역대 기록}}} || || {{{#000000 연도}}} || {{{#000000 소속팀}}} || {{{#000000 경기수}}} || {{{#000000 이닝}}} || {{{#000000 승}}} || {{{#000000 패}}} || {{{#000000 세}}} || {{{#000000 홀}}} || {{{#000000 ERA}}} || {{{#000000 피안타}}} || {{{#000000 사사구}}} || {{{#000000 탈삼진}}} || || 2000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다이에]] || 1 || ⅓ || 0 || 0 || 0 || 0 || 0.00 || 2 || 0 || 1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탈삼진}}} || || 2003 ||<|2>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 3 || 9⅓ || 1 || 1 || 0 || 0 || 7.71 || 12 || 5 || 5 || || 2004 || 24 || 39 ⅔ || 3 || 2 || 1 || 0 || 5.45 || 39 || 20 || 42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탈삼진}}} || || 2005 ||<|4> [[두산 베어스|{{{#010d57,#a8b4fd 두산 베어스}}}]] || 29 || 149 ⅔ || 12 || 7 || 0 || 0 || '''3.25''' [br] (3위) || '''163'''[br](3위) || 62 || 111 || || 2006 || 30 || '''192 ⅓'''[br](3위) || '''16'''[br](2위) || 8 || 0 || 0 || 2.95 || '''170'''[br](4위) || 68 || '''142'''[br](4위) || || 2007 || 28 || 164 ⅓ || '''12'''[br](5위) || 8 || 0 || 0 || '''3.12''' [br] (5위) || 142 || 65 || 113 || || 2008 || 29 || 150 ⅔ || 9 || 9 || 0 || 0 || 4.48 || '''171'''[br](3위) || 58 || 101 || ||<-2> '''[[일본프로야구|NPB]] 통산'''(3시즌) || 28 || 50 || 4 || 3 || 1 || 0 || 5.76 || 53 || 26 || 48 || ||<-2> '''[[KBO 리그|KBO]] 통산'''(4시즌) || 116 || 657 || 49 || 32 || 0 || 0 || 3.41 || 646 || 253 || 467 || ||<-3>
{{{#131230,#d0cfed 완투, 완봉기록(KBO)}}} || || {{{#ffffff 연도}}} || {{{#ffffff 완투}}} || {{{#ffffff 완봉}}} || || 2005 || 0완투 || 0완봉 || || 2006 || '''2완투''' (4위) || {{{#ff0000,#ff0000 '''2완봉'''}}} (1위) || || 2007 || 0완투 || 0완봉 || || 2008 || 0완투 || 0완봉 || || '''통산''' || 2완투 || 2완봉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외국인 선수(야구)]][[분류:포틀랜드 출신 인물]][[분류:1977년 출생]][[분류:1999년 데뷔]][[분류:2009년 은퇴]][[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은퇴, 이적]][[분류:요미우리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복수국적자]][[분류:대한민국으로 귀화한 인물]][[분류:미국계 한국인]][[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