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Maxim-Tokarev}}}'''[br]''Пулемёт Максима-Токарева''[br]''맥심-토카레프 기관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ksim-tokarev-1.jpg|width=100%]]}}}|| || '''종류''' ||[[기관총#s-3.2|경기관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25년]]~[[1945년]] || || '''개발''' ||[[토카레프#s-1|표도르 토카레프]] || || '''개발년도''' ||[[1924년]] || || '''생산''' ||[[툴라 조병창]] || || '''생산년도''' ||[[1925년]]~[[1927년]] || || '''생산수''' ||약 2,500정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br][include(틀:국기, 국명=대만, 출력=중화민국)][br][include(틀:국기, 국명=중국)][br][include(틀:국기, 국명=북한)][br][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제2공화국)] || || '''사용된 전쟁''' ||[[스페인 내전]][br][[중일전쟁]][br][[제2차 세계 대전]][br][[6.25 전쟁]] || ||<-2> {{{#White '''기종'''}}} || || '''원형''' ||[[맥심 기관총#PM M1910|PM1910]] || ||<-2> {{{#White '''제원'''}}} || || '''탄약''' ||[[7.62×54mmR]] || || '''급탄''' ||100발, 250발짜리 벨트 || || '''작동방식''' ||숏 리코일 || || '''총열길이''' ||650mm || || '''전장''' ||1,330mm || || '''중량''' ||12.9kg(빈 총)[br]15.5kg(탄약 장전 시) || || '''발사속도''' ||600RPM || || '''탄속''' ||800m/s || || '''최대사거리''' ||2,0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맥심-토카레프는 [[소련]] 최초의 자국산 [[경기관총]]이다. [[맥심 기관총#PM M1910|PM1910]]을 토대로 개발했다. == 상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xim_tokarev_3.jpg|width=600]]}}} || [[제1차 세계 대전|대전쟁]]과 [[러시아 내전|적백내전]] 당시 소련군(적군)은 [[루이스 경기관총|루이스]]나 [[쇼샤]], [[호치키스 M1909|M1909]] 같은 타국의 경기관총을 사용했다. 그러나 [[1920년대]]에 들어서 이 경기관총들은 수명이 다해가고 있었고 이 경기관총들을 [[영국|제조한]] [[프랑스|국가]]들과 외교적으로 사이가 좋지 않았을 뿐더러, 이 때문에 총기에 맞는 탄약마저 구하기가 어려워졌다. 결국 [[1923년]], [[GRAU#s-4|포병관리국]]은 자국의 [[7.62×54mmR]] 탄을 사용하는 신형의 경기관총을 개발할 계획을 세우게 된다. 첫번째 설계안은 총기 개발자인 이반 콜레스니코프가 코로보프 병기창에서 설계했고 그 다음에 [[토카레프#s-1|표도르 토카레프]]가 툴라 조병창에서 설계했다. [[1925년]] 초, 야전 실험이 치러졌고, 토카레프의 시제품이 콜레스니코프의 것보다 월등한 성적을 내어 그 해 5월 26일에 맥심-토카레프라는 이름으로 정식채용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맥심토카레프.jpg|width=600]]}}} || [[1926년]]에서 [[1927년]] 까지 2,500정 이상의 맥심-토카레프가 툴라 조병창에서 생산되었고 1,400정 정도가 [[1938년]]~[[1939년|39년]] 사이에 '''중국 홍군'''에게 공여되었다. 나머지는 [[스페인 내전]] 당시의 공화국군에게 공여되었다. [[소련군]]은 얼마 지나지 않아 [[덱탸료프#s-3|데그탸료프]]가 개발한 [[DP-28]]을 제식채용했고 맥심-토카레프를 빠르게 대체해 나갔다. 그러나 소련군이 현대화 되기 전인 [[겨울전쟁]]에서도 쓰였고 독일군에게 압도적으로 밀려 사용할 기관총까지 부족해진 [[독소전쟁|대조국전쟁]]에서도 알게 모르게 쓰였다. 총 자체가 '''벨트급탄식 경기관총'''이다 보니 양이 적어도 제 값은 묵묵히 했다고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2차 세계대전/소련 보병장비)] [include(틀:스페인 내전/공화군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중화민국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기관총]][[분류:보병 무기/세계 대전]][[분류:소련군/장비]][[분류:TOZ]][[분류:1925년 출시]][[분류:1927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