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매염방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e5d85c ''' 역대 [[금상장|{{{#e5d85c 홍콩 금상장 시상식}}}]]'''}}} || ||<-5> [[파일:Hong_Kong_Film_Award_Trophy.png|width=100]] || ||<-5> {{{#e5d85c '''여우주연상'''}}} || || '''제7회[br]([[1987년]])''' || {{{+1 → }}} || '''제8회[br]([[1988년]])''' || {{{+1 → }}} || '''제9회[br]([[1989년]])''' || || 소방방[br](부시원가부취두) || {{{+1 → }}} || '''매염방[br](연지구)''' || {{{+1 → }}} || [[장만옥]][br](스타킹을 벗지 않은 여인) || ||<-5> {{{#e5d85c '''여우조연상'''}}} || || || {{{+1 → }}} || '''제4회[br]([[1985년]])''' || {{{+1 → }}} || '''제5회[br]([[1986년]])''' || ||없음[* 조연상은 제4회 부터 수상하였다.]|| {{{+1 → }}} || '''매염방[br](연분)''' || {{{+1 → }}} || 엽덕한[br](화가시대) || ||<-5> || || '''제16회[br]([[1997년]])''' || {{{+1 → }}} || '''제17회[br]([[1998년]])''' || {{{+1 → }}} || '''제18회[br]([[1999년]])''' || || [[서기(배우)|서기]][br](색정남녀) || {{{+1 → }}} || '''매염방[br](반생연)''' || {{{+1 → }}} || [[서기(배우)|서기]][br](고혹자 정의편) || ||<-5> || ---- ||<-5>
{{{#a82f5f ''' 역대 [[금마장|{{{#a82f5f 대만 금마장 시상식}}}]]'''}}} || ||<-5> [[파일:금마장 로고.svg|width=100]] || ||<-5> {{{#a82f5f '''여우주연상'''}}} || || '''제23회[br]([[1986년]])''' || {{{+1 → }}} || '''제24회[br]([[1987년]])''' || {{{+1 → }}} || '''제25회[br]([[1988년]])''' || || 장애가[br](최애) || {{{+1 → }}} || '''매염방[br](연지구)''' || {{{+1 → }}} || 정유령[br](달 별 그리고 태양) || ||<-5> || ---- }}} || ||<-2> {{{#!wiki style="margin: -5px -12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71b21, #242b33,#242b33, #171b21)" {{{+2 {{{#fff '''매염방'''}}}}}}[br]{{{#fff '''梅艷芳 | Anita Mui'''}}}}}}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매염방프로필사진3.jpg|width=100%]]}}} || || {{{#fff '''본명'''}}} ||{{{#000,#e5e5e5 매염방(梅艷芳 | Anita Mui Yim-fong)}}} || ||<|2> '''{{{#white 출생}}}''' ||[[1963년]] [[10월 10일]] || ||[[영국령 홍콩]] [[구룡반도]] [[야우침몽구|웡곡]][br](現 [[홍콩]] [[구룡반도]] [[야우침몽구]] 몽콕) || ||<|2> '''{{{#white 사망}}}''' ||[[2003년]] [[12월 30일]] ([[향년]] 40세) || ||[[홍콩]] [[홍콩 섬]] [[완차이구]] 해피밸리 컨발센트병원 || || {{{#fff '''국적'''}}} ||{{{#000,#e5e5e5 [include(틀:국기, 국명=홍콩)]}}} || || {{{#fff '''묘소'''}}} ||{{{#000,#e5e5e5 [[홍콩]] Po Lin Monastery (보린사) }}} || || {{{#fff '''신체'''}}} ||{{{#000,#e5e5e5 168㎝ | 47㎏ | [[B형]] }}} || || {{{#fff '''본적'''}}} ||{{{#000,#e5e5e5 [[광둥성]]}}} || || {{{#fff '''직업'''}}} ||{{{#000,#e5e5e5 [[가수]], [[배우]]}}} || || {{{#fff '''종교'''}}} ||{{{#000,#e5e5e5 [[불교]] }}} || || {{{#fff '''언어'''}}} ||{{{#000,#e5e5e5 [[광둥어]], [[보통화]], [[영어]] }}} || || '''{{{#white 학력}}}''' ||[[중졸]] || || {{{#fff '''가족'''}}} ||{{{#000,#e5e5e5 2남 2녀 중 막내, [[어머니]] }}} || || '''{{{#white 별명}}}''' ||梅姐, 阿梅, 梅姑姑 || || {{{#fff '''데뷔'''}}} ||{{{#000,#e5e5e5 1982년 1집 앨범 《心債》}}} || || {{{#fff '''취미'''}}} ||{{{#000,#e5e5e5 [[테니스]], [[음악]], [[독서]]}}} || || {{{#fff '''대표작품'''}}} ||{{{#000,#e5e5e5 동방삼협 (東方三俠)[br][[영웅본색 3]] (英雄本色)[br]신조협려 (九一神雕俠侶)[br]심사관 (審死官)}}}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external/www.chinasmack.com/anita-mui-02.jpg|width=100%]] || 홍콩의 [[가수]] 겸 [[배우]]. 20세기 후반 [[홍콩 느와르]], 무협 영화의 전성기 당시 카리스마 여배우로 국내에서도 인기가 있었으며, 1988년 5월에는 서울프레올림픽쇼에 홍콩 가수 자격으로 출연했다. 생전에 [[장국영]]과의 친분이 깊었으며, 그가 [[자살]] 직전 매염방과 전화 통화를 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코믹 연기에도 굉장히 능해 [[주성치]] 영화에도 여배우들 중에서는 가장 자주 출연한 편에 속하기도 했다. 1988년 일본 후지 TV에 한 쇼프로에서 MC 를 한국 중국 양국에 당시 대세배우들을 찾아서 격주로 돌아가면서 쇼프로를 진행했는데 그때 한국 배우는 [[이혜숙]]이었다. 2003년 9월 기자 회견에서 [[자궁경부암]] 판정을 받았다고 고백했으며 같은 해 12월 30일에 [[향년]] 40세로 생을 마감했다.[* 그래도 9월 기자 회견에서는 암판정을 받았으나 말기암은 아니라서 지금처럼 치료에 전념하면 충분히 나을 수 있으니 걱정은 안해도 된다고 밝히기도 했다.] 세상을 떠나기 한 달 전 인생의 마지막을 화려하게 장식한다는 의미에서 2003년 11월 '''웨딩드레스'''를 입고 히트곡 석양지가를 부르면서 콘서트의 끝을 맺었는데 이 때 웨딩드레스를 입은 그녀의 모습은 지금도 그녀의 트레이드 마크로 유명하다. 그녀의 언니 매애방도 2000년에 자궁경부암으로 세상을 떠나서 그녀는 생전에 자궁 경부암에 대한 집안 내력이 있다고 밝혔으며, 세상을 떠나기 전에 전 재산을 기부 및 여러 모로 처분했다고 한다. 세상을 떠나기 전 전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는 의미에 불교 자선단체에 맡긴다는 유언을 남겼으나, 매염방 사후 모친[* 이 모친은 심지어 소송에 재산을 다 탕진하느라 그나마 매염방이 생전에 남겨준 유산마저도 없는 상태라고 한다. 사실 매염방의 유년시절부터 제대로 된 교육은 안시키고 부려먹는 차원에서 연예활동을 시키고 딸의 죽음 이후에는 딸의 유산만 탐내고 있는 그야말로 [[막장부모]]의 전형이기때문에 매염방의 팬들은 이 모친을 거의 불구대천의 원수로 취급한다. 최근까지도 아직 정신을 못차리고 심지어 영화 <매염방>의 저작권침해를 주장했다가 세간의 비웃음을 사기까지 한건 덤. 심지어 2023년을 기점으로 100살을 넘겼음에도 정정함을 유지하면서(?) 지금도 계속 소송에 전념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자궁경부암]]이 집안 내력이었던만큼 이 모친도 매염방, 매애방 자매처럼 [[자궁경부암]] 판정을 받았으나 세상을 떠난 딸들과 달리 완치판정을 받기까지 했다.]이 그 유언장이 가짜라고 주장하면서 자선단체를 상대로 딸의 재산을 돌려달라고 소송을 걸기도 했으나 홍콩법원에서 패소판결을 내리기도 했다.[* 그나마 모친의 몫으로 매염방이 남겨준 돈마저 이 소송에 탕진하느라 생활고에 시달릴 정도라고 한다.] 매염방의 시신은 홍콩 케이프 콜리슨 화장장에서 화장되어 보린사에 안치되었다.[* 자신의 생전 절친이었던 장국영과 같은 곳에서 화장되었다.] [[옹핑 360]]에 매염방 추모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2013년 12월 30일에는 그녀의 10주기를 맞아 [[장학우]], [[증지위]]가 주최한 '매염방.10.사념.음악.회(梅艷芳。10。思念。音樂。會)'[* [[장학우]], [[장혜매]], 임억련, 초맹, 두덕위, 하운시, 양천화, 소영강, 양한문, 허지안, [[양조위]], 임자상, 정수문, 진혁신, [[곽부성]], [[유덕화]]가 매염방의 곡을 부른 뒤, (엔딩곡인 석양지가를 부르기 전에) 무대에 올랐던 이들을 포함해서 [[성룡]], [[유가령]], [[양가휘]], [[장만옥]] 등의 출연진들이 붉은 색 장미꽃을 들고 석양지가를 제창했다. [[https://youtu.be/4hu9XPOz3iM|##]]]가 열렸고, 2014년에는 홍콩 스타의 거리에 그의 동상이 세워졌다. [[이소룡]]의 동상에 이어 두 번째로 스타의 거리에 동상이 세워졌으며, 동상 아래에 새겨진 '홍콩의 딸 매염방(香港女兒梅艷芳)'이라는 글씨는 [[유덕화]]가 그녀를 기리는 마음으로 남긴 친필이다. 일본의 유명 아이돌 [[콘도 마사히코]]와 1985-1986년 당시 연인관계였다.[* 하지만 당시 일본에서는 [[나카모리 아키나]]가 그의 연인으로 훨씬 유명했다. 한마디로 콘도가 양다리를 걸친 셈.~~그는 결혼 이후에도 불륜을 저질렀고, 결국 연예계에서 은퇴~~ 또한 매염방은 나카모리 아키나의 당시 곡들([[CRIMSON|Oh no, Oh yes!]], [[難破船|난파선]] 등)을 중국어로 커버하기도 했었다.(...)] 그녀의 대표곡 중 하나인 몽반(夢伴)은 콘도 마사히코의 동명곡을 번안한 곡이다.[* 이외에도 석양지가(夕陽之歌) 역시 콘도 마사히코의 석양의 노래(タ烧けの歌)를 번안한 곡이다.] 국내 더빙은 [[MBC]] 성우는 [[윤소라]]이고 [[KBS]]판에서는 [[서혜정]], [[이현선(성우)|이현선]], [[최문자]], [[안경진]]이 번갈아 맡았다. 2021년 매염방의 전기 영화 《매염방: Anita》가 [[2021년 부산국제영화제|부산국제영화제]] 폐막작으로 공개되었다. 이후 2022년에 5화로 구성된 디렉터즈컷 시리즈로 [[디즈니+]]에 올라왔으며 한국에도 5월에 올라왔다. == 앨범 목록 == * 1982년 심채 (광동어) * 1983년 적색 매염방 (광동어) * 1984년 매염방 비약 무태 (광동어) * 1985년 1월 사수류년 (광동어) * 1985년 5월 괴녀해 (광동어) * 1985년 7월 만주 사화 * 1986년 요녀 (광동어) * 1987년 1월 사화 심과 (광동어) * 1987년 6월 열염 홍진 (광동어) * 1988년 3월 백변 매염방 재전광화 87- 88 연창회 (콘서트 실황) * 1988년 5월 몽리 공취 (광동어) * 1988년 11월 열염 홍진 * 1989년 4월 숙녀 (광동어) * 1989년 8월 anita in brazil (광동어) * 1990년 2월 봉면 어랑 (광동어) * 1990년 9월 백변 매염방 하일요광화 연창회 (콘서트 실황) * 1991년 1월 욕망 야수가 (광동어) * 1991년 7월 친밀 애인 * 1992년 11월 the legend of pop queen part 1 (광동어 베스트) * 1992년 11월 the legend of pop queen part 2 (광동어 베스트) * 1993년 희극 인생 (광동어 베스트) * 1993년 황자 지풍 (광동어 베스트) * 1993년 변 (광동어 베스트) * 1993년 정환 일생 (광동어 베스트) * 1994년 소심 * 1994년 시저 양저 (광동어 * 1995년 매염방 일개미려적회향 연창회 (콘서트 실황) * 1995년 가지녀 (광동어) * 1997년 방종사현태배연창실녹 (콘서트 실황) * 1997년 여인화 * 1997년 7월 경화 수월 (광동어) * 1998년 1월 정가 (광동어 베스트) * 1998년 6월 변주 (광동어) * 1998년 9월 정가 2 (광동어 베스트) * 1998년 11월 상전명월광[* 床前明月光. [[이백]]의 시 [[정야사]](靜夜思)를 소재로 부른 노래.] (국어) * 1999년 5월 larger than life (광동어) * 1999년 8월 몰화설 * 2000년 I'm so happy (광동어) * 2001년 중이심방45수 (광동어 베스트) * 2002년 with (20주년 기념 앨범) * 2003년 극몽환 연창회 (콘서트 실황- vcd/ dvd 발매) * 2004년 매염방 경전금곡 연창회 (콘서트 실황) * 2004년 매, 억록 (추모 베스트) * 2004년 영원적 매염방 (추모 국어 베스트) == 영화 == 한국에 미출시된 몇몇 영화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 1984년 연분(緣份, Behind The Yellow Line)[* [[장국영]], [[장만옥]]과 함께 주연을 맡았던 로맨틱 코미디 영화. 극중에서 장만옥에게 빠져있는 장국영을 괴롭히면서(...) 대놓고 좋아하는 분위기를 풍기는 인물로 나왔으며 이 작품에서 장만옥이 로맨스를 강조한 이미지라면 ~~장국영 망가뜨리기로 점철된(...)~~ 코미디적인 요소는 매염방이 크게 활약했다.] - 아니타[* 매염방의 영어 이름이기도 하다.] 역 * 1985년 무명경찰(靑春差, Young Cops) * 1986년 공처 2인방(殺妻二人組, 100 Ways To Murder Your Wife) * 1987년 개심물어(開心勿語, Trouble Couples) * 1987년 연지구(胭脂扣, Rouge) - 여화 역 * 1987년 몽경영웅(小生夢驚魂, Scared Stiff) * 1988년 공자다정(公子多情, The Greatest Lover)[* [[주윤발]]과 함께 주연을 맡은 로맨틱 코미디 영화. 홍콩으로 건너온 대륙 청년인 주윤발을 일류 플레이보이로 교육시키면서 점차 그에게 빠져드는 [[츤데레]](...)적인 면모를 잘 연기해냈다.] - 아니타 역 * 1989년 [[영웅본색 3]](英雄本色III夕陽之歌, A Better Tomorrow: Love and Death in Saigon) - 주영걸 역 * 1989년 성룡의 미라클(奇蹟, Miracles: The Canton Godfather) - 양노명 역 * 1989년 부귀병단(富貴兵團, The Fortune Code) * 1990년 [[카와시마 요시코|천도방자]](川島芳子, The Last Princess Of Manchuria) - [[카와시마 요시코]] 역 * 1990년 상하이 상하이(亂世兒女, Shanghai, Shanghai) * 1991 도성 2(賭覇, Top Bet) * 1991 신조협려(九一神鵰俠侶)[* 한국 개봉은 1992년] * 1992 심사관 - 주성치의 아내 이씨 역[* 대표적인 주성치 주연 작품에서는 기본적으로 주성치가 무술에 능한 편이다. 그런데 여기서는 정말 싸움을 못하는 약골로 등장하는데, 오히려 매염방이 무술 고수로 등장해 위기때마다 남편을 구하러 날아온다.][* 제12회 금상장영화제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으나 '완령옥'의 장만옥에게 근소한차로 수상하지 못했다.] * 1992 선학신침(新仙鶴神針 The Magic Crane) - 백운비 역 * 1993 전신(戰神 The Moon Warriors) - 월아 역 * 1993 동방삼협(東方三俠 The Heroic Trio) - 동동 역 * 1993 동방삼협2(東方三俠 The Heroic Trio 2: Executioners) - 동동 역 * 1993 도학위룡 3(逃學威龍 三之 龍過鷄年, Fight Back To School III) - 용과계년[* 심사관 이후 1년만에 주성치와 주연을 맡은 작품.]- 주디 역 * 1993 심사관 2(審死官續集 - 濟公, The Mad Monk) - 관세음 역 * 1994 [[취권(영화)#s-3.2|취권 2]](醉拳II, Drunken Masters 2) - 황 부인 역 * 1995년 성룡의 홍번구(紅番區, Rumble in the Bronx) - 의령 역 * 1995년 이연걸의 영웅(給爸爸的信, My Father is Hero) - 방일화 역 * 1997년 반생연(半生緣, Eighteen Springs) - 만로 역 == 수상 == * 1982년 TVB 주최 신인 가요제 신수 가창 대회 대상[* 3000대 1의 경쟁률을 뚫었다.] * 1982년 ifpi 신인상 * 1983년 동경 가요제 아시아 특별상 * 1983년 tbs 상 * 1983년 5회 중문금곡상- 적적유혹 * 1983년 10대 경가금곡- 심채, 교출아적심 * 1984년 4회 홍콩 금상장 영화제 최우수 여우 조연상- 연분 * 1984년 7회 10대 중문금곡상- 사수유년(似水流年) * 1984년 10대 경가금곡상- 사수유년 * 1985년 ifpi 85년 최우수 음반상 * 1985년 10대 경가금곡 최우수 여가수상 * 1986년 10대 경가금곡- 최우수 여가수상 * 1987년 23회 금마장 최우수 여우 주연상- 연지구 * 1987년 10대 경가금곡 최우수 여가수상 * 1987년 9회 중문금곡상 * 1987년 10대 경가금곡 최우수 음반상 * 1988년 10대 경가금곡- stand by me * 1988년 11회 10대 중문 금곡상 * 1988년 10대 경가금곡 최우수 음반상- 몽리공취 * 1989년 [[아시아-태평양 영화제]] 여우 주연상 * 1989년 8회 홍콩 금상장 최우수 여우 주연상- 연지구 * 1989년 8회 홍콩 금상장 최우수 영화 주제가상 - 연지구[* 영화 제목과 동명의 노래로 매염방이 부른 노래] * 1989년 10대 경가금곡- 석양지가 * 1989년 금곡금상- 석양지가 * 1989년 12회 10대 중문금곡상- 석양지가 * 1989년 12회 10대 중문금곡상- 숙녀 * 1989년 홍콩 상업 방송 질타악단 여가수 부문 금상 * 1989년 홍콩 예술가상 가창 부문상 * 1989년 10대 경가금곡 최우수 여가수상[* 1990년 [[생일]]날 더 이상 홍콩 내에서 가수 상을 받지 않겠다는 입장 발표.] * 1990년 10대 경가금곡 경가금곡상 - 심잉시냉 * 1992년 홍콩 10대 경가금곡 - 공로상 * 1998년 홍콩 무선 방송- 가장 사랑받은 금곡- 사수유년 * 1998년 17회 홍콩 금상장- 최우수 여우 조연상- 반생연 * 1998년 3회 홍콩 금자형상-여우 조연상- 반생연 * 2002년 6회 중국장춘영화제 여우 주연상- 남인사십 * 2002년 2회 차이니즈 필름 미디어 어워드(华语电影传媒大奖)- 홍콩/대만 부문 여우 주연상- 남인사십 * 2002년 경가금곡 경가치경대장상 * 2002년 중국 MTV 시상식 홍콩, 대만 지역 음악 특별상 수상 * 2003년 제사계중국금창편장 예술성취장 [[분류:홍콩의 여배우]][[분류:홍콩의 여가수]][[분류:1963년 출생]][[분류:2003년 사망]][[분류:1982년 데뷔]][[분류:홍콩 특별행정구 출신 인물]][[분류:자궁암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