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아르메니아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1981년 출생]][[분류:아르메니아계 미국인]][[분류:복수국적자]][[분류:1999년 데뷔]][[분류:2017년 은퇴]][[분류:시라크 주 출신 인물]] ||<-2>
[[파일:20120804_gav_sv5_019.0.webp|width=100%]]|| || '''{{{#white 이름}}}''' || '''만벨 감부랸[br]([ruby(Մանվել, ruby=M a n v e l)] [ruby(Գամբուրյան, ruby=G a m b u r y a n)])''' || || '''{{{#white 국적}}}''' || '''[[아르메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width=24]]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 || '''{{{#white 출생지}}}''' || '''레니나칸, [[아르메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width=24]] || || '''{{{#white 거주지}}}''' || '''노스 할리우드, [[캘리포니아]]''' [[파일:캘리포니아 주기.svg|width=24]] || || '''{{{#white 생년월일}}}''' || '''[[1981년]] [[5월 8일]] ([age(1981-05-08)]세)''' || || '''{{{#white [[종합격투기|{{{#white 종합격투기}}}]] 전적}}}''' || '''[[https://www.sherdog.com/fighter/Manny-Gamburyan-5185 | 26전 15승 10패 1무효]]''' || || '''{{{#white 승}}}''' || '''2KO, 7SUB, 6판정''' || || '''{{{#white 패}}}''' || '''5KO, 5판정''' || || '''{{{#white 체격}}}''' || '''165cm / 61kg / 170cm''' || || '''{{{#white 링네임}}}''' || '''[[모루|The Anvil]]''' || ||<|1> '''{{{#white 주요 타이틀}}}''' || '''[[TUF]] 5 라이트급 토너먼트 준우승''' || || '''{{{#white SNS}}}'''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annyGamburyan?t=biU0_MRju8bnfCk7kSl9TA&s=09, 크기=22)] [[https://m.facebook.com/profile.php?id=100058038281635|[[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https://instagram.com/mannygamburyan?utm_medium=copy_lin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 개요 == 전 종합격투기 선수. [[TUF]] 5 준우승자다. == 전적 == * 주요 승: 대니 헨더슨, 티모시 모리스, 대런 브라이언트, 팻 벤슨, [[조르지 산티아고]], [[새미 모건]], [[네이트 모어]], 제프 콕스, 존 프란치, [[레너드 가르시아]], [[마이크 브라운(종합격투기)|마이크 브라운]], [[오미가와 미치히로]], [[콜 밀러]], [[코디 깁슨]], [[스캇 조겐슨]] * 주요 패: [[션 셔크]], [[네이트 디아즈]], [[롭 에머슨]], [[티아고 타바레스]], [[조제 알도]], [[타이슨 그리핀]], [[디에고 누네스]], [[닉 렌츠]], [[존 도슨]], [[조니 에두아르도]] * 무효: [[데니스 시버]][* 원래 시버의 만장일치 판정승이나 약물검사에서 HCG가 적발되어 무효처리] == 커리어 == === [[UFC]] === TUF 5 시즌에 출전해서 [[맷 와이먼]], [[조 로존]] 등을 꺾고 결승까지 진출했으나 [[네이트 디아즈]]에게 2라운드 20초 만에 TKO 패 당했다. 1라운드는 디아즈를 그래플링으로 고전시키며 굉장히 잘 싸웠으나 2라운드 초반에 테이크다운을 시도하다 어깨 부상을 당하며 허망하게 패배했다. UFC 79에서 [[네이트 모어]]를 1분 31초 만에 하체관절기로 잡아냈다. UFN 13에서 제프 콕스를 1분 41초 만에 길로틴초크로 잡아냈다. TUF 5 준우승 이후 상대를 서브미션으로 2연속 초살시키며 상당히 좋은 흐름을 탔다. UFC 87에서 [[롭 에머슨]]에게 12초 만에 KO 당했다. UFC 94에서 그래플링에 일가견이 있는 [[티아고 타바레스]]에게도 판정패를 당해 2연패에 빠진 그는 UFC에서 퇴출당했다. === [[WEC]] === 5승 무패의 신인 존 프란치를 판정으로 잡고 WEC 데뷔전 승리를 거뒀다. WEC 페더급 타이틀 도전자 출신 [[레너드 가르시아]]를 판정으로 이기고 연승을 거뒀다. 그리고 다음 경기에서 엄청난 기회를 잡게 되었다. 전 WEC 페더급 챔피언이자 페더급 랭킹 2위인 [[마이크 브라운(종합격투기)|마이크 브라운]]과 경기가 성사 된 것. 한마디로 져도 본전 이기면 대박인 매치였다. 그리고 2분 22초 만에 그를 KO 시키며 희대의 이변을 연출해냈다. 경기력에서는 타격으로 고전하는 모습을 보이며 밀렸으나 브라운이 헛방을 날리는 실수를 저질렀고 그 틈에 한방을 먹이며 KO 승을 거뒀다. 이 업셋으로 타이틀샷 획득에 성공한다. 그리고 챔피언 [[조제 알도]]와 타이틀 매치를 치루게 되었다. 하지만 1라운드부터 타격에서 고전했고 2라운드에 테이크다운을 시도하다 읽혀서 어퍼컷에 KO 당했다. 이후 WEC와 UFC가 합병되며 UFC에 재입성하였다. === 다시 [[UFC]] === 간만에 다시 UFC에 왔으나 시작부터 [[타이슨 그리핀]], 디에고 누네즈에게 패하며 좋지 않은 시작을 알렸다. WEC 시절 알도에게 패한 것까지 합치면 3연패로 상당히 좋지 않은 흐름인 셈. 하지만 [[오미가와 미치히로]], [[콜 밀러]]를 판정으로 잡으며 2연승을 거뒀다. 페더급 랭킹 10위권으로 평가받는 [[데니스 시버]]에게 판정패를 당했으나 시버가 약물 적발되며 무효처리되었다. 페더급의 다크호스 [[닉 렌츠]]를 상대했으나 판정패를 당했다. 이 패배로 한계를 느꼈는지 밴텀급으로 체급을 내렸다. 밴텀급으로 체급을 하향한 뒤 [[코디 깁슨]], [[스캇 조겐슨]]를 잡고 2연승을 거두며 좋은 흐름을 보였다. 하지만 2016년에 [[존 도슨]], [[조니 에두아르도]]에게 2연속 TKO 패를 당한 뒤 은퇴 선언을 했다. 그 후 2019년에 복귀하겠다고 선언했으나 끝내 복귀하지 않았다. == 파이팅 스타일 == == 여담 == 페더급 랭킹 2위 [[마이크 브라운(종합격투기)|마이크 브라운]]를 KO 시키는 업셋을 만든 적이 있어서 이변의 사나이로 불린 적이 있다. 사촌동생이 [[카로 파리시안]]이다. 한때 [[론다 로우지]]의 메인 코치였었다. 그러다 보니 로우지의 코치인 [[에드몬드 타베디안]]과 친하고 그의 체육관인 글렌데일 파이팅 클럽에서 훈련도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