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망원경고기}}}[br]Telescopefish}}}'''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망원경고기.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Gigantura'' '''[br]A. B. Brauer, 1901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기어강]](Actinopterygii)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홍메치목(Aulop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기간투라과(Gigantur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기간투라속(''Gigantura'') || ||<-2>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 '''기간투라'''(''G. chuni'') '''망원경고기'''(''G. indica'') || [[파일:쥐덫고기 망원경고기 펠리컨장어.jpg|width=500]] 사진에서 가운데가 망원경고기 표본이다.[* 상단과 하단의 표본은 각각 [[쥐덫고기]]와 [[펠리컨장어]].] [목차] == 개요 == 전세계의 열대 또는 아열대 지역의 500~3,000m 심해에 서식하는 기간투라과 기간투라속 [[어류]]. 속명인 기간투라(''Gigantura'')의 유래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기가스|기간테스]]. 여기서 우라(Ura)는 꼬리를 뜻한다. == 상세 == 몸길이는 최대 22cm 정도 된다. 몸빛은 대체적으로 은색을 띠고 있고 비늘이 없다. 골격 구조 대부분은 경골어류답지않게 연골로 이루어져 있어 쉽게 부러질 수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망원경처럼 툭 튀어나온 눈이 특징. 실제로는 눈 위에 거울같은 반사체가 씌여져 있는 형태로, 햇빛이 거의 닿지 않는 심해에서 소량의 빛이라도 모아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눈의 형태를 극단적으로 진화시킨 몇 안되는 사례다. 또한 다른 심해 어류와 마찬가지로 턱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키아스모돈]]처럼 위장까지 팽창하는게 가능해서 자기보다 더 큰 먹이를 잡아 먹는 것이 가능하다. [[파일:망원경고기 치어.jpg|width=400]] 치어의 경우 성체와 같이 길쭉하고 호리호리한 체형이라기보단 [[쥐치|쥐치류]]와 같은 생김새를 가지고 있다. 성체는 지방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가 존재하지 않는데 치어 시절에는 이것들을 가지고 있지만 자라면서 점점 퇴화시킨다. 홍메치목의 몇몇 종들처럼 망원경고기 또한 [[자웅동체]]다. [[분류:기간투라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