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 ||<:><-2> '''{{{+1 망가지기 시작한 오르골}}}''' (2010)[br]こわれかけのオルゴール || ||<:><-2> [[파일:Ytdiov7.jpg|width=100%]] || ||<:> '''장르''' ||[[SF]], [[드라마]] || ||<:> '''감독''' ||[[카와구치 케이이치로]] || ||<:> '''캐릭터 원안''' ||[[POP#s-2.1|POP]] || ||<:> '''구성·각본''' ||[[이노즈메 신이치]] || ||<:> '''캐릭터 디자인''' ||니시오 키미타케(西尾公伯) || ||<:> '''애니메이션 제작''' ||[[액터스]][* 극장판 표기] || ||<:> '''제작''' ||ElectromagneticWave[* 극장판 표기] || ||<:> '''발매 시기''' ||2010년 9월 11일 || ||<:> '''화수''' ||OVA 1화 || ||<:> '''웹페이지''' ||--[[http://flowerorgel.net|공식 홈페이지]]-- [[[[https://www.youtube.com/watch?v=t-L58qCC-2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POP이 본인 유튜브 채널에 전체 영상을 올렸는데 망가지기 시작한 오르골에 대한 애정이 깊은지 유튜브 채널 썸네일이 주인공 플라워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홈페이지 --[[http://www.ne.jp/asahi/magneticwave/popcan/kowa/|링크1]]-- --[[http://flowerorgel.net|링크2]]--[* 회사가 해체됐는지 사이트 하나는 아예 없어졌고, 다른 하나는 초소형 카메라 홍보 사이트로 바뀌었다.] ElectromagneticWave ~~전자기파라니~~ 라는 음악제작회사에서 제작하기로 발표한 동인애니. 고장난 오르골, 망가진 오르골 등 여러가지로 번역되지만 가장 널리 퍼진 해석은 망가지기 시작한 [[오르골]]. 노래는 [[사토 히로미]], 캐릭터 디자인은 [[POP(일러스트레이터)|POP]]이 담당. 트레일러 영상들이 공개된 뒤로 약 1년 이상이 지나 [[코믹마켓]] C77에서 25분 분량으로 완성된 완전판이 공개되었다. 스토리는 여느 여름 비오는 신사에 비를 피하러 간 케이치로라는 남자가 해바라기를 안은 모양으로 버려진 로봇소녀를 주워와 마당에 놔두는데, 어찌 된 영문인지 고장난 로봇이 재기동을 시작했고, 그 로봇과 여름을 보내게 되는데...라는 스토리. ~~[[쵸비츠]]냐.~~ 세계관은 케이치로가 자신의 휴대폰 같은 것으로 플라워가 생산중지된 로봇인 것을 알 수 있을 정도로 발전한 세계인 듯,[* 참고로 이 애니가 스마트폰 보급 한참전에 나온거라서 이런 말이 나온 것이지, 현재는 스마트 폰의 대량 보급으로 이런 일이 아무것도 아닌 이상, 지성을 가진 로봇만으로 작중 배경의 과학 기술의 발달을 판단할 수 있게 되었다.] 게다가 수리공이 있으며 메이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안드로이드[* 과일가게 아저씨말로는 이 로봇의 종류가 '페어렌츠'인 모양.]가 널리 보급된듯한 모양인 것 같다. 그 만큼 과학기술이 발달한 것이다. 심지어 플라워를 보니까 잠도 자는데다, 꿈까지 꿀수 있는 모양이다. 하지만 배경은 현재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저 과학기술이 더 발전한 곳이다. 예고편만 봐도 알 수 있듯 이미 [[새드엔딩]]이 정해진 전형적인 [[최루]]성 애니. 완전판에서도 처음에 새드엔딩을 암시하는 장면이 나온다. 동인 애니이지만 완성도는 상당히 높으며, '만남과 이별'이라는 흔한 소재를 귀여운 캐릭터와 높은 퀄리티로 잘 표현해냄으로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눈물]]을 뽑아내게 만든다. 지명도는 매우 낮은 수준이었으나 극장 상영까지 갔다.--[[http://flowerorgel.net/|#]]-- 그것도 본편에 오리지널 번외편이 추가되어 더욱 볼륨 업 되었다. ~~[[전미가 울었다|이걸로 일본 전역은 대홍수]]~~ === 줄거리 === 정돈되어지지 않은 집에 사는 의욕 없는 자취하는 대학생인 케이치로. 하지만 그 역시 과거엔 밝고 매우 쾌활한데다 사교성도 매우 좋은 유쾌하고 명랑한 청년이었다. 대학교에 다니면서 밴드에 활동하며 밴드 멤버들과 함께 공연도 나설 정도로 음악실력이 좋은 케이치로에게 예기치 못한 불행이 닥친 건 가족들을 공연에 초대하면서부터였다. 케이치로는 가족들에게 공연을 보여줄 생각에 설렜지만 이것이 불행의 시작이었다. 가족들은 공연을 보러 가던 중 그만 교통사고로 전원 사망하였고 이 소식을 멤버에게 들은 케이치로는 큰 슬픔과 죄책감에 시달리다 동료들에게 사과한 뒤 밴드를 떠나 홀로 살게 된다. 여름 무렵... 이 날도 가족들의 명복을 빌고자 신사를 참배한 후, 다시 집으로 가던 케이치로. 그런데 비를 피하러 신사로 다시 들어선 그의 앞에 한 로봇이 눈에 띈다. 해바라기를 든 로봇은 갑자기 케이치로에게 다가가는데, 이를 알수 없는 케이치로는 로봇을 데리고 로봇센터로 간다. 수리공이 검사해본 결과, 소녀 모습을 한 이 로봇의 이름은 플라워. 궁금해서 수리공에게 물어보니 플라워의 기종은 이미 오래 전에 생산이 중지되어 단종된 모델로 수명이 다 한 상태인 내장부품도 현재로선 이미 구할 수 없는 구형모델이라 한다. 한 순간 자신을 점찍은 로봇 플라워로 인해 본의 아니게 고장난 로봇을 떠안은 케이치로. 하지만 플라워의 순수함에 점차 상처받은 마음을 치유받지만, 플라워의 내장부품이 이미 수명이 다 한 상태이다보니 멀지않은 이별을 준비하게 되는데... === 등장인물 === [[파일:Y8ap8xW.jpg]] * '''케이치로''' (CV - [[카키하라 테츠야]]) 쓰레기장같은 집[* 코멘터리에 의하면 감독의 집을 모델로 했다고 한다.]에 혼자 사는 의욕 없는 남자. 원래는 성격이 매우 밝고 명랑한 청년이었으나 트레일러에 나온 영상에 나온 것처럼 교통사고로 인해 가족이 모두 죽어버린 어두운 과거를 지니고 있다.[* 직접적인 언급은 안 나오지만 묘사를 보면 주인공의 공연을 보러가다가 이런 참사가 일어난듯 하다.] 과거에 밴드를 한 적이 있는 듯. 전(前)밴드 동료하고 가까운 사이인 듯 하다. 밴드 공연을 할때까지만 해도 매우 명랑했지만 공연을 하던 날 가족들이 공연을 보러 오다가 교통사고로 전부 사망해 그 충격과 죄책감으로 인해 밴드를 탈퇴한 뒤 의욕 없이 살고 있다. 버려진 플라워를 그냥 둘 수가 없어 자신의 집으로 데리고 온다. 메모리가 손상되어 기억력이 저하 된 플라워를 위해 그림 일기장을 사다 준다. 플라워 말로는 학생인 것 같은 데, 자동차를 운전하는 것을 봐서는 대학생인 것 같다. [[파일:YMR69M8.jpg]] * '''플라워''' (CV - [[아사노 마스미]]) 신사 옆 쓰레기장에 버려져 있던 파란머리에 [[헤드셋]]을 쓴 소녀 모습을 한 로봇.[* 작중에선 모든 로봇이 헤드셋을 쓰나보다.] 생산중지 모델로 이미 [[내구연한|내장부품 자체가 대부분 수명이 다해]] 움직일 수 없는 상태인데도 재기동한다. 수리공 아저씨의 말로는 꽤나 구형이라고, 때문에 고치려고 해도 해당되는 부품이 거의 없다고 한다. 로봇판 시한부 [[병약]] 히로인. 말버릇은 '재미있다'. 과거의 기억은 이미 지워진 듯 하다. 메모리도 약간 손상된 듯 하다.[* 가타가나를 읽지 못하며 계산도 서툴고, 요리도 서툴다. [[핫소스]]를 [[케찹]]이랑 헷갈려서 오므라이스에다 볶아서 케이이치가 비명을 질렀다.] 그 이름도 케이치로가 대충 붙인 것. 케이치로는 그녀를 처음 봤을 때 큰 반향은 없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그녀를 걱정하게 된 케이치로가 어떻게든 살리려 하지만 기종 자체가 워낙 구형인데다 생산중지가 된 지 꽤 된 모델인지라 도저히 대체할만한 부품을 찾을 수 없었고 남은 부품마저 수명이 얼마 남지 않아 죽게 된다. === 스포일러 === [include(틀:스포일러)] 결국 플라워는 마지막으로 놀러간 해변에서 수명이 다해 정지하게 되고 케이치로와 플라워는 '''영원한 이별을 맞이하게 된다.''' 하지만 케이치로는 '''플라워의 부품을 이용해 만든 오르골'''과 함께 길거리에서 노래를 부르며 플라워를 계속 기억해간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