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04년 태풍]][[분류:헤이세이 시대/태풍]][[분류:2010년 태풍]][[분류:2016년 태풍]][[분류:2021년 태풍]][[분류:나무위키 태풍 프로젝트]] [include(틀:태풍 명칭)] [목차] == 개요 == 말로(Malou)는 [[마카오]]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광동어로 보석 [[마노]]를 의미한다. 표준 발음은 마노(maa nou)로, Malou는 초성 n을 l로 발음하는 현상이 반영된 철자. 2004년에는 말로우로 쓰였지만, 이후 말로로 정정되었다. == 2004년 제11호 태풍 == [include(틀:2004년 태풍)] || [[2004년|{{{#FFF '''2004년'''}}}]] [[태풍|{{{#FFF '''태풍'''}}}]] || || 제10호 [[남테운#s-2|남테우른]] → '''제11호 말로우''' → 제12호 [[므란티#s-2|머란티]] || |||||| '''{{{+5 {{{#!html 2004년 제11호 태풍 말로우}}}}}}''' || ||<#3594D3> {{{#ffffff 위성사진}}} ||||[[파일:위성사진 첨부.pn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파일:진로도 첨부.pn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 2004년 8월 4일 9시 ~ 2004년 8월 5일 6시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 '''[[일본]]''' || || {{{#white 태풍 등급}}} ||<-2><:> {{{#000 '''열대폭풍'''}}}[*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열대폭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소형(직경 230 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96 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18 m/s''' || ||<:>10분 평균 || '''21 m/s''' || == 2010년 제9호 태풍 == [include(틀:2010년 태풍)] || [[2010년|{{{#FFF '''2010년'''}}}]] [[태풍|{{{#FFF '''태풍'''}}}]] || || 제8호 [[남테운#s-3]] → '''제9호 말로''' → 제10호 [[므란티#s-3]] || |||||| '''{{{+5 {{{#!html 2010년 제9호 태풍 말로}}}}}}''' || ||<#3594D3> {{{#ffffff 위성사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 2010년 9월 4일 9시 ~ 2010년 9월 8일 12시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 [[괌]], [[일본]], [[대한민국]] || || {{{#white 태풍 등급}}} ||<-2><:> {{{#000 '''열대폭풍'''}}}[*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강한 열대폭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중형(직경 670 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92 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23 m/s''' || ||<:>10분 평균 || '''26 m/s''' || 2010년 9월 4일 동중국해, 오키나와 남동쪽 약 47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했다. 처음에는 '[[곤파스(2010년 태풍)|곤파스]]'에 이어 서해안으로 북상할 것으로 보였으나 이후 남해안 상륙으로 예측이 바뀌고 최종적으론 대한해협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크기는 중형급이나 강도는 강한 열대폭풍 수준으로 그리 강하지 않았다. 국내 언론에서는 대형급 이상으로의 엄청난 발달이 예상된다며 설레발을 쳤지만 중형 크기에 강한 열대폭풍의 세력이 최전성기였고 더 이상 발달하지 않았다. 한반도 남부 지방에 비가 내렸고 별다른 피해는 없었다.[* JMA 기준을 적용하였다. KMA의 경우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비공인 기록'''이기 때문이다.] 9월 8일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된 채 일본에 비를 뿌리고 갔다. === 2010년 제9호 태풍 말로 진로 경과 === || 발표 시각 || 1분풍속 || 10분풍속 || SSHS 등급 || JMA 등급 || || 9월 3일 15시 || 35kn || 35kn ||<|18><#00faf4> 열대폭풍 ||<|12><#00faf4> 약 || || 9월 3일 21시 || 35kn || 35kn || || 9월 4일 3시 || 35kn || 35kn || || 9월 4일 9시 || 35kn || 35kn || || 9월 4일 15시 || 35kn || 40kn || || 9월 4일 21시 || 35kn || 40kn || || 9월 5일 3시 || 35kn || 40kn || || 9월 5일 9시 || 35kn || 40kn || || 9월 5일 15시 || 35kn || 40kn || || 9월 5일 21시 || 35kn || 40kn || || 9월 6일 3시 || 40kn || 40kn || || 9월 6일 9시 || 40kn || 45kn || || 9월 6일 15시 || 40kn || 50kn ||<|3><#ccffff> 중 || || 9월 6일 21시 || 45kn || 50kn || || 9월 7일 3시 || 40kn || 50kn || || 9월 7일 9시 || 40kn || 45kn ||<|5><#00faf4> 약 || || 9월 7일 15시 || 35kn || 40kn || || 9월 7일 21시 || 35kn || 40kn || || 9월 8일 3시 || - || 40kn ||<|2><#fff> '''소멸''' || || 9월 8일 9시 || - || 35kn || || 9월 8일 15시 ||<-4><#fff> '''소멸 및 감시 종료''' || == 2016년 제13호 태풍 == [include(틀:2016년 태풍)] || [[2016년|{{{#FFF '''2016년'''}}}]] [[태풍|{{{#FFF '''태풍'''}}}]] || || 제12호 [[남테운#s-4]] → '''제13호 말로''' → 제14호 [[므란티#s-4]] || |||||| '''{{{+5 {{{#!html 2016년 제13호 태풍 말로}}}}}}''' || || {{{#ffffff 진로도}}} ||||[[파일:1613.2track.png|width=100%]] || || {{{#ffffff 활동 기간}}} ||||<:>2016년 9월 6일 15시 ~ 2016년 9월 7일 9시|| || {{{#white 태풍 등급}}} ||<-2><:> {{{#000 '''열대폭풍'''}}}[*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열대폭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소형(직경 440 km)''' || || {{{#ffffff 최저 기압}}} |||| '''1000 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26 m/s''' || ||<:>10분 평균 || '''21 m/s''' || == 2021년 제20호 태풍 == [include(틀:2021년 태풍)] || [[2021년|{{{#FFF '''2021년'''}}}]] [[태풍|{{{#FFF '''태풍'''}}}]] || || 제19호 [[남테운#s-5]] → '''제20호 말로''' → 제21호 [[냐토#s-2]] || ||<-3> '''{{{+5 {{{#!html 2021년 제20호 태풍 말로}}}}}}''' || ||<#3594D3> {{{#ffffff 위성사진}}}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lou20211028.jp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lou20211105track.pn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2><:> 2021년 10월 25일 9시 ~ 2021년 10월 29일 21시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2><:>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 || || [[템플릿:태풍#s-2.2.4|{{{#white 태풍 등급}}}]] ||<-2><:> {{{#000 '''2등급'''}}}[*JTWC] || || [[템플릿:태풍#s-2.2.4|{{{#white 10분 등급}}}]] ||<-2><:> {{{#000 '''강한 태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2><:> '''중형(직경 890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2> '''965hPa'''[*KMA '''중심기압 965hPa, 10분 최대 풍속 37m/s''']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44m/s''' || ||<:>10분 평균 || '''39m/s''' || === 발생 이전 === ====# 96W 열대요란 #==== 10월 11일 3시, 괌 남쪽 해상에서 96W 열대요란이 발생했다. 10월 12일 15시, [[괌]] 남동쪽 해상에 있는 96W [[열대요란]]의 열대폭풍 발달 가능성을 LOW로 예측하며 [[JTWC]]에서 감시를 시작하였다. 그리고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는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요란으로 표시되었다. 10월 12일 21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는 96W [[열대요란]]이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표시되었다. 10월 13일 3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는 96W [[열대요란]]이 다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요란으로 표시되었다. 10월 13일 9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는 96W [[열대요란]]이 다시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표시되었으나 [[JTWC]]에서는 96W [[열대요란]]의 LOW를 취소하고 와해되었다고 보고 감시를 종료하였다. 10월 13일 21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도 96W [[열대요란]]이 완전히 사라졌다. ====# 97W 열대요란 #==== 10월 17일 1시, [[남중국해]]에 있는 97W [[열대요란]]의 열대폭풍 발달 가능성을 LOW로 예측하며 [[JTWC]]에서 감시를 시작하였다. 10월 17일 3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는 97W [[열대요란]]이 중심기압 1008hPa의 열대요란으로 표시되었다. 10월 17일 15시, [[JTWC]]에서 97W [[열대요란]]의 LOW를 취소하고 감시를 종료하였다. 10월 19일 3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도 97W [[열대요란]]이 완전히 사라졌다. ==== 98W 열대요란 → 25W TS ==== 10월 21일 4시, [[괌]] 동쪽 해상에 있는 98W [[열대요란]]의 열대폭풍 발달 가능성을 LOW로 예측하며 [[JTWC]]에서 감시를 시작하였다. 10월 21일 15시, [[JTWC]]에서 98W [[열대요란]]의 LOW를 취소하고 감시를 종료하였다. 10월 23일 0시, [[괌]] 남남서쪽 해상에 있는 98W [[열대요란]]의 열대폭풍 발달 가능성을 LOW로 예측하면서 [[JTWC]]에서 다시 감시를 시작하였다. 10월 23일 15시, [[괌]] 남서쪽 해상에 있는 98W [[열대요란]]의 열대폭풍 발달 가능성을 [[JTWC]]에서 MEDIUM으로 격상하였다. 10월 23일 21시에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8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해석하면서 태풍발생예보를 시작하였다. 10월 24일 3시에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해석하면서 중심기압이 내려갔다. 10월 24일 7시, [[괌]] 서남서쪽 해상에 있는 98W [[열대요란]]의 열대폭풍 발달 가능성을 [[JTWC]]에서 HIGH로 격상하였다. 10월 24일 9시, [[JTWC]]에서 98W 열대요란의 세력을 1분 평균 풍속 30kn(15m/s)으로 해석함에 따라, 25W TD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8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해석하면서 중심기압이 다시 상승했다. 10월 24일 12시에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해석하면서 중심기압이 다시 내려갔다. 10월 24일 21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8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해석하면서 중심기압이 다시 상승했다. 10월 25일 3시에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4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해석하면서 중심기압이 다시 내려갔다. === 발생 이후 === ==== 10월 25일 ==== [[10월 25일]] 9시에 중심기압 1002hPa, 10분 평균 풍속 18m/s, 강풍 직경 660km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서북서쪽 약 68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 동일 15시에는 중심기압 1000hPa, 10분 평균 풍속 18m/s, 10분 순간풍속 26m/s의 세력으로 중심기압이 조금 내려갔다. 또한, 1분 평균 풍속 40kn(21m/s)로 발달했다. ==== 10월 26일 ==== 10월 26일 3시에 중심기압 998hPa, 10분 평균 풍속 40kn(21m/s), 10분 순간풍속 60kn(31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고, 강풍 직경도 660km에서 720km로 조금 커졌다. 동일 9시에 중심기압 994hPa, 10분 평균 풍속 45kn(23m/s), 10분 순간풍속 65kn(33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다. 동일 21시에 중심기압 992hPa, 10분 평균 풍속 50kn(26m/s), 10분 순간풍속 70kn(36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고, 강풍 직경도 720km에서 770km로 조금 커졌다. ==== 10월 27일 ==== 10월 27일 3시에 중심기압 990hPa, 10분 평균 풍속 55kn(28m/s), 10분 순간풍속 80kn(41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다. 동일 9시에 중심기압 985hPa, 10분 평균 풍속 60kn(31m/s), 10분 순간풍속 85kn(44m/s)로 발달하였다. 동일 12시에 강풍 직경이 770km에서 890km로 더 커졌다. 동일 15시에 중심기압 980hPa, 10분 평균 풍속 60kn(31m/s), 10분 순간풍속 85kn(44m/s)로 중심기압이 조금 내려갔다. 동일 21시에 강풍 직경이 890km에서 880km로 조금 작아졌다. ==== 10월 28일 ==== 10월 28일 3시에 중심기압 975hPa, 10분 평균 풍속 65kn(33m/s), 10분 순간풍속 95kn(49m/s)로 발달하였다. 그리고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에 근접하면서 [[일본 기상청]]의 매시간 태풍정보 발표가 시작되었다. 동일 9시에 중심기압 965hPa, 10분 평균 풍속 70kn(36m/s), 10분 순간풍속 100kn(51m/s)로 발달하였다. 동일 18시에 중심기압 965hPa, 10분 평균 풍속 75kn(39m/s), 10분 순간풍속 105kn(54m/s)로 발달하였다. ==== 10월 29일 ==== 10월 29일 0시에 강풍 직경이 880km에서 830km로 조금 작아졌다. 동일 6시에 태풍 말로의 빠른 북북동진으로 폭풍 반경이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를 벗어나면서 [[일본 기상청]]의 매시간 태풍정보 발표가 종료되었다. 동일 15시에 [[JTWC]]에서 가장 먼저 마지막 정보를 발표하였다. 동일 18시에 중심기압 970hPa, 10분 평균 풍속 70kn(36m/s), 10분 순간풍속 100kn(51m/s)로 약화되었다. 동일 21시에 [[일본 기상청]]에서 태풍 말로가 중심기압 976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하였고, 한국 기상청 또한 태풍 말로가 중심기압 98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하면서, 한미일 3국의 태풍 예보가 완전히 종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