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요리)] [include(틀:말레이시아 관련 문서)] [[말레이어]]: Masakan Malaysia [[영어]]: Malaysian cuisine [목차] == 개요 == [[말레이시아]]의 [[요리]]. 말레이시아는 [[다민족]] [[국가]]로서 주요 민족인 말레이계 요리, [[인도계 말레이시아인|인도계]],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중국계]]에 따라 크게 셋으로 나뉘는데 이 중 주류는 나라 이름과 같이 말레이계이며 말레이시아 요리라고 하면 대개 말레이계의 요리를 뜻한다. 특징적인 요리로 말레이계와 중국계의 [[혼혈]]인들 특유의 요리 바바뇨냐[* 바바와 뇨냐는 말레이어로 각각 남자와 여자를 의미한다. 주로 경제력이 있던 중국계 남성과 말레이 여성이 결혼하여 가정을 이룬 경우 그들의 문화를 일컫는다.] 요리라는 것도 있다. 향신료 사용이 많다는 점에 있어서 [[인도 요리]]의 영향을 꽤나 진하게 받았다. 말레이시아 요리의 종류는 기본적으로는 [[인도네시아 요리]]와 유사하지만 외국 음식 문화를 서로 다르게 받아들였기 때문에 차이가 난다. 일단 공통점 먼저 살펴보자면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는 언어도 [[마인어]]로 같아서 요리 이름도 거의 같다.[* 말레이시아가 지금은 더 작은 나라라서 인지도에 밀리지만 사실 따지자면 이 쪽이 원조에 가깝다. [[영어]]로 치면 [[영국식 영어]]와 [[미국식 영어]]의 차이쯤 된다.] 사실 같은 문화권에서 이 쪽은 [[영국]]의 [[해협식민지|식민지]]였고 인도네시아 쪽은 [[네덜란드]]의 [[네덜란드령 동인도|식민지]]가 되어 분리된 것이 크기 때문이다. [[인도네시아 요리]]가 주로 [[중국 요리|중화 요리]]와 [[네덜란드 요리|네덜란드 식문화]]의 영향을 받았다면, 말레이시아 요리는 [[영국 요리|영국의 식문화]]와 [[인도 요리]], [[중국 요리|중화 요리]]의 영향을 골고루 받았다. [[싱가포르 요리]]도 사실상 말레이시아 요리와 큰 틀은 똑같다. [[중국계 싱가포르인|화교]] 인구 비중이 더 높다는 것 빼면 말레이시아나 싱가포르나 [[해협식민지|같은 나라]]에서 갈라져나간 거라 당연하다. 다만 싱가포르가 식비가 훨씬 비싸다. 싱가포르가 애초부터 도시국가이다보니까 식료품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데다가 인건비와 '''임대료'''가 매우 비싸니까 말이다. == 종류 == 말레이시아 내의 주요 민족별로 요리 계통이 다르다. [[무슬림]]인 말레이인은 [[돼지고기]]를 많이 사용하는 [[중국집|중국계 식당]] 이용을 자제하는 식으로 민족별로 식당도 섞이지 않고 따로인 경향이 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아예 안 섞이지는 않고 바바뇨냐와 같은 중국 요리와 말레이시아 요리가 퓨전된 형태의 요리도 있고, 중국 요리나 인도 요리라도 [[할랄 푸드|할랄]]이면 거리낌 없이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가령 중국식 볶음면을 말레이인들과 인도인들이 접하면서 볶음면에 커리와 삼발소스를 첨가해서 인도식, 말레이식 볶음면 요리로 현지화한다거나,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중국계 주민]]들이 커리 요리를 접하면서 커리를 화교들의 입맛에 맞게 담백하게 만드는 식이다. 다양한 형태의 요리를 체험하는 것을 좋아한다면 말레이시아는 천국일 수도 있다. 일단 말레이시아의 빵, 커리 요리는 주로 [[인도 요리]], 볶음 요리와 면 요리는 주로 [[중국 요리]]에 영향을 받았다 보면 된다. 다만 말레이시아의 외식비가 소득수준이 더 낮은 태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싸기때문에 외식문화가 발달한데다가 말레이시아 요리나 [[중국 요리]]나 기름에 지지고 볶거나 튀긴 요리들이 많다보니 비만율이 높아지는 문제도 있기에 말레이시아 내에서는 고민이 크다. === 말레이계 요리 === * '''삼발 소스(Sambal)''' [[태국 요리]]처럼 돌절구에 찧어서 만드는 매콤한 소스. 원래는 남인도 [[타밀족]]들이 쌀에 말아먹는 매운 커리 국물이다. [[파일:A03928A7-D12B-4F15-A60B-9B162CE3B142.jpg|width=510]] * '''[[나시르막|나시르막(Nasi Lemak)]]''' 코코넛밀크를 넣고 찐 밥을 삼발, 삶은 계란, 마른 멸치, 오이, 땅콩 그리고 치킨 또는 생선과 함께 곁들여 먹는다. 한눈에 보기엔 별 것 없어보이지만 잘 하는 식당에 가서 먹으면 상당히 맛있다. * '''[[나시고렝|나시고렝(Nasi Goreng)]]''' 말레이시아식 [[볶음밥]]. * '''나시울람/나시 케라부(nasi ulam/nasi kerabu)''' 말레이시아의 쌀요리, 쌀이 파랗다. * '''[[미고렝|미고렝(Mi Goreng)]]''' 말레이시아식 볶음국수. * '''메기고렝(Maggi Goreng)''' 말레이시아 라면을 볶은 음식 * 아이스크림 고렝 아이스크림 튀김(!) 따끈한 튀김옷 안에 차가운 아이스크림이 들어있는 요리이다. * '''[[사테]](Satay)''' 향신료가 첨가된 숯불 [[꼬치]]구이. 땅콩 소스에 찍어먹는다. [[길거리 음식]]으로 인기가 높으나, 고기 사이즈가 작게 잘려나오는 편으로 떨이로 파는 짜투리 고기로 요리하는 양심없는 노점상들도 있으므로 주의해서 사 먹어야 한다. * '''사테 아얌(Satay Ayam)''' 그야말로 닭꼬치. 사테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 * '''사테 리릿(Satay Lilit)''' 다진 고기로 만든 [[닭꼬치]]. * 사테 깜빙 염소고기로 만든 꼬치 [anchor(락사)] [[파일:Curry_Laksa_-_Laksa_King_(2597729514).jpg|width=510]] * '''락사(Laksa)''' 코코넛을 베이스로 향신료를 듬뿍 사용한 동남아식 [[커리]] 요리.[* 한국에서는 보통 해물이 주재료인 싱가포르식 카통 락사가 알려져 있지만, 말레이시아에서는 닭고기를 주로 사용한다.] 화교들에 의해 [[국수]]를 말아먹는 방식이 도입되어 중화요리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국적인 음식에 내성이 없다면 한국인 입맛에 안 맞을 확률이 높다. [[파일:d761c133-58ad-44a5-8628-8ccd27e6af30.jpg|width=510]] * 아삼 페다스(Asam pedas) 바닷물고기에 향신료와 타마린드 즙, 고추 양념 등을 첨가하여 조리하는 말레이시아의 생선 요리. * 아이스카창 말레이시아식 [[빙수]]. 얼음을 갈아 위에 시럽을 뿌리고 레드빈, 스위트콘, 젤리 등을 올린다. * 첸돌 이것도 말레이시아식 빙수. 얼음을 갈고 그 위에 초록색 국수 모양의 젤리를 올린다. 한국 팥빙수와의 차이는 팜슈가, 코코넛밀크가 들어간다. === 중국계 요리 === [include(틀:중화 요리의 계통별 분류)] * '''[[해남닭밥|하이난 치킨 라이스]]''' [[하이난]]에서 유래한 닭고기 덮밥으로 대중적인 메뉴. * '''[[바쿠테]](bak kut teh[* [[민남어]](Bah-kut-tê)로, [[조주어]]로는 넥국데(nêg8-gug4-dê5)])''' 일종의 [[갈비탕]]이다. 한자는 肉骨茶(육골차)로 한국식 어감은 좀 이상하지만 가성비 좋고 한국인 입맛에도 맞는 메뉴다. 돼지갈비와 한약재를 푹우려서 만들며 가게에 따라 새하얀 국물 부터 약재를 많이 넣어서 새까만 국물까지 다양하다. 주재료는 돼지갈비를 비롯한 돼지 살코기와 간, 콩팥같은 부속물이다. 밥이랑 먹거나 [[유탸오]]를 찍어먹으면 된다. 가게에 따라서 면을 말아주기도 한다. 돼지고기를 닭고기로 대체한 치쿠테도 있는데 삼계탕과 비슷한 요리로, 돼지고기를 멀리하는 무슬림들이 바쿠테 대용으로 먹는다.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사이에서 원조 논쟁이 있다. * [[딤섬]] 거리의 흔한 화교식당에 많이 판다. 편의점의 그것과 비슷한 보온함에 보관해두고 손님이 주문하면 꺼내서 칠리소스와 같이 준다.종류는 중국의 흔한 딤섬처럼 슈마이나 차슈바오, 치킨라이스 등 여러 종류가 있다. 너무 다양해서 여기에 일일이 소개하기 힘들다. 말레이시아의 중국 요리는 [[한국식 중화 요리]]나 [[일본식 중화 요리]]와 같이 현지화된 게 아니라 현지 화교 인구의 일상 식단이므로 중국이나 대만과 마찬가지로 다양하다. 현지 [[중식당|중국계 식당]]에 가면 메뉴판에 사진과 영어 표기를 보여주는 곳도 많지만 사오십가지 이상의 메뉴가 한자로만 빼곡하게 써져있는 경우가 흔하다. === 인도계 요리 === 말레이시아의 인도 요리는 마막 스톨(Mamak stall)이라고 부르는 저렴한 길거리 음식 혹은 인도 레스토랑에서 파는 음식 이렇게 두 가지로 세분화된다고 보면 된다. 마막 스톨에서 요리를 사 먹을 때는 짜고 매운 음식은 피하고 가급적 달달한 요리로 골라서 사 먹는 것을 추천한다. 스톨에서 파는 음식 중 달달한 음식은 한국인 입맛에도 잘 맞지만 맵고 짠 음식은 일반적인 한국인 입맛보다 더 맵고 짜다.[* 인도 문화권은 음식이 한국 음식에 비해 매우 자극적이고 맵다. 한국에서 매운 거 잘 먹는 사람도 인도 같다 너무 매워서 못 먹은 음식들도 더러 있다고 말할 정도.] * '''로띠(Roti)''' 로띠는 인도 말로 “빵”이란 뜻이다. 말레이어로도 “빵”을 의미한다. * '''로띠차나이(Roti Canai)''' 인도식 버터 Ghee와 기름으로 만든 쫄깃한 빵이다. 난(빵)처럼 커리에 찍어먹거나 카야 잼에 찍어먹는다.~~카야 잼의 경우 비만의 주 원인 중 하나~~ * '''로띠티슈(Roti Tissue)''' 최대한 얇게 편 밀가루 반죽을 기름에 바삭하게 굽고 설탕을 뿌린 빵이다. [[타밀나두]] 주의 로켓 도사라는 짭짤한 쌀빵 요리를 벤치마킹한 요리이다. * 탄두리 로띠 난을 종종 탄두리 로띠라고 부른다.[* 인도/파키스탄에서 탄두리 로띠라 하면 흰 밀가루로 만든 난이 아니라 잡곡 가루로 만들어서 화덕에 구운 빵을 의미한다.] * 치즈 난 치즈를 넣어 구운 난(빵)이다. 모짜렐라 치즈나 파니르(인도식 커티지 치즈)를 소로 넣는다. * 카리 아얌 말레이시아식 닭고기 커리. 커리 국물을 식용유로 만드므로 국물을 숟가락으로 퍼먹는 건 자제하자. * 아얌 버터 마살라 인도 요리 중 버터 치킨(치킨 마크니)에 상응하는 요리이다. * 카리 깜빙 말레이시아식 양고기 커리. 말레이시아는 다른 동남아 국가들과 다르게 양고기를 많이 먹는다. 주로 호주산 수입 양고기 * '''[[비르야니|나시 빌야니]](Nasi Biryani)''' 인도계 이민자들이 전수한 음식. 인도의 볶음밥 빌야니는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전국민이 명절때마다 먹는 최고급 요리이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정말 잘 사는 집에서 인도식 빌야니를 먹는다. 인도/파키스탄에서는 빌야니를 매콤짭짤한 요거트와 같이 먹지만,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에서는 “꼬아”라는 이름의 매콤하고 기름진 커리 국물과 함께 먹는다. * 나시 깐다르 - [[남인도 요리]]의 밀즈(백반 비슷한 모듬 밥상)에서 기원한 요리로 쌀밥과 여러가지 커리 및 튀김 요리가 같이 세트로 나오는 일종의 백반이라 보면 된다. 이 역시 [[인도 요리]] 특성상 여기에 다 적기 힘들 만큼 종류가 무궁무진하다. [[남인도 요리]] 문서도 참조. == 주의사항 == 음식이 전반적으로 달달한데다가 식용유를 많이 쓰는 편으로 살 찌기 쉽다. 나시 고렝을 만들 때도 가급적 한국 쌀밥을 쓰지 말고 따로 인디카 쌀로 조리하는 편이 건강에 좋다. 한국 쌀은 칼로리가 더 높고 인디카 쌀에 비해서 소화가 잘 안 되는 편이기 때문에 볶아먹기에 좋지 않다. [[분류:말레이시아 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