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화과자]][[분류:일본식 중화 요리]][[분류:만두]][[분류:빵]] [include(틀:일본 요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chazanmanju.com/12051442_566279363e5f9.jpg|width=100%]]}}} || || {{{+1 饅頭(まんじゅう)}}}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화과자]]. [[중국]]의 [[만두]]가 변화한 것으로, [[밀가루]], [[쌀]] 등의 반죽에 [[소(동음이의어)#s-1.2|소]]를 넣고 찌거나 구워서 만든다. 한자 표기도 饅頭(만두)로 [[만터우]]와 같지만 '万十', '万頭', '曼頭' 등으로도 표기하기도 한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만주'. 참고로 한국에서 만두라고 부르는 종류의 요리를 일본에서 찾는다면 세부 종류에 따라 [[교자]], 니쿠망(고기만두)[* 중국의 바오쯔를 말한다. 즉 고기만두소가 들어간 찐빵. 칸사이에서는 부타망(돼지만두)라고 하는데 칸사이에서는 보통 아무 말 없는 니쿠는 [[쇠고기]]이기 때문.] 등이라 해야 알아듣는다. 퍽퍽한 음식이기 때문에 따뜻한 [[녹차]] 등과 같이 간식으로 주로 먹는다. 선물용으로 이용한다. [[일본]]의 각 지방마다 특산물로 지역 특성을 강조하는 화과자가 존재한다. [[해외여행]]보다 [[국내여행]]이 더 보편적인 일본 특성상 주로 여행 선물용으로도 많이 팔린다. 공산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유통기간이 20일 내외로 일반적인 빵보다는 보관기간이 긴 편이지만 과자, 제과류보다는 짧다. == 기원 == 기원은 2가지가 전해진다. 하나는 [[화과자]]의 시조가 되었다는 나라 만쥬(奈良饅頭)로, 임제종 류산 토쿠겐(龍山徳見) 선사가 1349년에 귀조했을 무렵, [[중국]]의 [[원나라]]에서 속제자로 들어온 임정인(林淨因)이 만들어냈다는 것. 본래는 [[선종(불교)|선종]]이 차와 곁들여 먹을 과자로 [[만두]]를 떠올렸으나, 당시 [[일본]]은 [[육식금지령]]으로 인해 [[고기]]를 먹을 수 없었기 때문에 대신 [[찐빵|팥이 들어가는 만두]]를 고안해냈다고 한다. 그 후 [[나라현]]의 간고 신사에 거주하며 시오세(塩瀬)라는 가게를 세우게 된다. 이리하여 간고 신사 내에는 '린신사(林神社)'라 불리는 만쥬 신사에서 과조신(菓祖神)으로서 모셔지고 있다. 또 하나는 하카타 만쥬로, 위보다 100년 더 거슬러올라가는 1241년에 [[남송]]으로 건너간 엔니(円爾)가 [[후쿠오카]] [[하카타]]에서 전파한 제법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엔니는 츠치노도(辻堂)에서 임제종 승천사를 청설한 하카타 서쪽의 아라츠야마 일대를 탁발 다니고는 했는데, 늘 친절을 베풀어 주곤 했던 찻집 주인에게 만두 만드는 법을 전수했다고 전해진다. 나라 만쥬가 베이킹 파우더를 사용하는 '약만쥬(薬饅頭)'라면 하카타 쪽은 감주를 써서 '술만쥬(酒饅頭)'라고도 한다. 전래 당시에는 [[불교]]의 영향으로 현 만쥬로 계승되는 달달한 만두와, 야채가 속으로 들어가는 채만두 2가지 종류가 존재했다. 이 중 채만두는 [[절(불교)|절]]에서 경식으로 먹는 [[점심]]으로 각광받아 왔으나, [[쌀밥]]이나 면류가 진즉에 주식으로 떡하니 존재하던 속세 사회에서는 만들기 번잡한 것도 있어 달달한 만쥬와는 달리 정착이 제대로 되지 못했다. 그래도 일부 절에서 전해지는 식사 기록에 기재된 경우가 많은데다, [[에도 시대]]에 들어서도 '두부백진(豆腐百珍)'에 제법이 쓰인 것을 보면, 여전히 불교계에서는 오랜 세월 동안 경식로서 취급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직접적인 유래는 아니지만 에도 시대 이후에는 남만과자나 중국과자 제법으로 구운 과자의 제조 기술이 전파되었는데, 이 기술에 만쥬에도 응용되어 '야키만쥬(焼き饅頭)라' 불리는 [[일본]]의 독자적인 장르가 탄생했다. 이것이 정착한 후 소나 피의 제법에 여러 연구가 적용된 끝에 기존의 피가 두껍고 푹신한 만두와도 다른 다양한 만쥬가 생겨나게 되었다. 근세 이후 [[간토]] 지방의 가정요리로 [[밀가루]] 피에 콩이나 미소, 야채 등의 소를 반죽해 삶은 만두가 존재한다. 이 삶은 만두(ゆで饅頭)의 식감은 만쥬라기 보다는 [[당고]]에 가까운데, 이는 현대 만쥬의 정의에서 벗어나긴 하지만 조리법을 변화시켜 원래 만두의 대용으로 만들어졌다는 이야기도 있으며, 삶은 만두가 베이킹 소다의 보급과 더불어 탄산 만쥬나 시골 만쥬 같은 푹신한 만쥬로 발전했다는 가설도 있다. == 종류 == 모양과 재료에 따라 여러가지 만쥬가 있다. 앙금으로 [[고구마]], [[밤(열매)|밤]] 등을 써서 고구마만쥬, 밤만쥬 등을 만들 수 있다. 도쿄바나나, 히요코 등이 유명하다. [[밤과자]]도 화과자의 일종이자 [[제과기능사]] 실기 시험 품목이다. == [[한국]]에서 == 한국에서는 [[반일감정]]이 강하던 군사정권 당시에는 대중적인 [[일본]]식 과자는 [[밤과자]]나 [[센베]]나 [[풀빵]] 정도였으며, 원조에 가까운 만쥬는 90년대에야 들어왔다. [[국민의 정부]] 당시 [[일본 문화 개방]]과 맞물려 [[1997년 외환 위기]]로 일본에 일자리를 구하러 갔던 사람들에 의해 [[일본 요리|일본 대중 식문화]]가 들어온 것이다. 일본식 [[카레]]나 일본식 [[돈가스]], [[타코야키]] 등과 함께 유입되었다. 이름부터 만쥬가 들어가는 [[델리만쥬|델리만주]]는 [[지하철]]이나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가판대 형식으로 판매하는 길거리 음식의 일종이자 [[풀빵]], 생과자다. 단맛이 강해서 처음에는 맛있지만 [[커스터드 크림]]의 특성상 몇 개 먹다보면 질린다. 본토의 만쥬와는 약간 다르다. 한국의 지역 사회에서 관광상품으로 개발하는 무수한 종류의 빵들이, 사실은 만쥬나 [[타이야키]]의 변형인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 기본적으로 모양만 해당 지역의 명물[* 대게, 연꽃, 오징어, 한우, 고구마, 심지어 돌도끼나 토끼간(…) 등등]을 본땄을 뿐, 만쥬 반죽에 단팥이 들어가는 구성에는 거의 예외 없이 대동소이하다. ~~거기서 밀가루나 단팥 원산지가 국산임을 강조하는 게 특기사항인 정도~~ 어쩌다 가끔 특산식품 성분을 아주 약간 섞어서 홍보에 적극 활용하는 경우도 있긴 하다. == 매체에서 == [[포켓몬스터 금·은]]([[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에 등장하는 [[황토마을]]에는 해당 마을의 관광지인 [[분노의 호수]]에서 이름을 따온 분노의 만쥬라는 특산품이 있다.[* 한국판에서는 분노의 [[호두과자]]로 번역.] 또한 애니 한정으로 병아리만쥬를 패러디한 [[아차모]]모양 만쥬도 있다. [[요괴워치 2 원조·본가·끝판왕]]에서 원조와 본가의 전쟁 이유가 '''[[부먹 vs 찍먹|"염라대왕께 바칠 만쥬의 팥소가 코시앙(으깬 앙금)인가 츠부앙(통팥앙금)인가"]]''' 였다고 한다. [[약산성 밀리언아서]]에선 카멜롯에서 시찰나온 엘이 [[스카아하(밀리언아서 시리즈)|스카아하]]의 훈련성 헤브리디즈를 만주 공장으로 바꾸라고 지시한다. 이 때문에 스카아하는 패닉에 빠지고 이후 몇몇 에피소드에서 만쥬 때문에 엘에게 계속 갈굼당해 앓아눕기도 한다(…). 이후 보복의 의미로 시식용으로 내놓은 만쥬에 설사약을 넣었지만, 먹고 쓰러진 엘은 배를 움켜쥔 채 다랑어 공장으로 바꾸라는 지시를 내려 또다시 스카아하를 패닉에 빠뜨린다. [[일하는 세포]]에서 캐릭터들이 만쥬를 먹는 모습이 자주 나온다. [include(틀:navervid, vid=3DADAC3739C50D7DE510DE910BBFDE0B914F, outkey=V1242cb050d7d6a2e9a6d08ba45fef13192555a97c1c316b3c06f08ba45fef1319255, width=640, height=360)] 그밖에 [[영화]] '연합함대 사령장관 야마모토 이소로쿠' 에서 [[야마모토 이소로쿠|장관님]]의 물만쥬 먹방 장면 또한 유명하다. [[https://blog.naver.com/chwewonsuk/220832221636|#]] [[케모노기가]]의 주역인 [[미츠미네 유우]], [[아즈마 리코]], [[카스가 미스즈]]가 작중 등장하는 '''백호가'''라는 이름의 만쥬 가게를 자주 방문했다. == 캐릭터 [[굿즈]]의 일종 == 캐릭터의 머리 부분만 만쥬 모양으로 나온 [[봉제인형]]. 머리카락이나 이목구비가 파츠를 이어붙인 것이 아니라 천 자체에 인쇄되어 있어, 튀어나온 부분 없이 매끈하다. 최초 시작한 장르는 애니메이션 [[Free!]]이다. == 여담 == 한국에서 [[만두]]라고 부르는 요리는 일본에서는 형태에 따라 中華まん(츄-카망)이나 餃子(교자)라고 부른다. 상관없는 이야기지만 만주라는 단어는 [[산스크리트어]]로 달다는 뜻이다. [[불교]]에서 말하는 [[문수보살]]의 유래가 만주슈리의 음역 문수사리로부터 온 것이다. [[엉덩이]]를 가리키는 속어로도 쓰인다. == 동음이의어 == === [[만쥬한봉지]] 소속 가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만쥬한봉지)] === 중국의 게임 제작사 蛮啾 === 上海蛮啾網絡科技. Manjuu. [[중국]]의 [[게임]] 회사. 2015년 01월 19일에 설립되었다. 대표는 임서인. 대표작으로 [[벽람항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