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간 관련 질환 및 증상]] [목차] == 개요 == 만성수동성간울혈(chronic passive hepatic congestion; chronic passive congestion of liver)은 [[간]]의 [[울혈]]로 인해 발생한 기능이상이다. [[ICD-10]] 기준 질병코드는 K76-1. == 원인 == 간에 발생하는 울혈은 [[간정맥]](hepatic vein)으로 혈액이 원활하게 빠져나가지 못하기 때문으로, 대개는 우심실의 부전(right ventricular failure)으로 인해 발생하고, 간혹 간정맥 자체가 [[혈전]] 등으로 폐쇄되어 발생하기도 한다. == 증상 및 징후 == 간울혈로 인한 [[괴사]](necrosis)는 대부분 소엽 중심부의 세포에서 주로 발생하므로, 소엽 중심부(central venule)가 적갈색으로 관찰된다. 이는 간의 혈액 흐름 방향이 [[간문맥]](portal vein)에서 소엽중심 쪽이기 때문에 울혈이 발생했을 때 문맥이 상대적으로 늦게 손상되며, 소엽중심 쪽 세포들이 혈액이 더 빨리 고갈되어 빠르게 손상되기 때문이다. 이런 만성적인 간울혈의 특징적인 소견이 [[육두구]]의 열매를 닮았다고 하여 육두구간(nutmeg liver, [[肉]][[荳]][[蔲]][[肝]])이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