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동구(인천)의 법정동)] ||<-2> '''[[동구(인천광역시)|{{{#000000,#dddddd 동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만석동}}}'''[br]萬石洞 | Manseok-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동구 만석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동구 || || '''행정표준코드''' || 3500021 || || '''관할 법정동''' || 만석동 || || '''하위 행정구역''' || 23통 108반 || || '''면적''' || 1.15㎢ || || '''인구''' || 6,701명[* 2022년 10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5,826.96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동구·미추홀구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허종식]] ,,(초선),, || ||<-2> '''인천광역시의원 | 동구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허식]] ,,(재선),, || ||<-2> '''동구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정의당/행정구역)] || 김종호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유옥분]] ,,(3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윤재실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최훈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석수로 96 (만석동 18-4) || || [[https://www.icdonggu.go.kr/open_content/dong/?dong=18|만석동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http://www.icdonggu.go.kr/open_content/dong/sub/present.jsp|동 일반현황 웹사이트]] [[인천광역시]] [[동구(인천광역시)|동구]]에 있는 [[동(행정구역)|동]]. 1990년대 말을 배경으로 한 김중미의 소설 [[괭이부리말 아이들]]의 배경이 되는 동네이다. 실제로도 괭이부리마을이 이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2013년 건립된 괭이부리마을 보금자리아파트도 이곳에 있다. 다만 2000년대 들어 소설속 주택단지보다는 아파트나 빌라 위주로 바뀌어가고 있다.[* 사실 만석동뿐만 아니라 동구 전체가 그러한 모습으로 변화중이긴 하다.] 동 전체 면적의 58.9%가 공장용지로 사용될 정도로 공장이 많이 들어와 있으며,[* 대부분 경기만과 인접한 해안지역에 있다.] 조선소나 목재공장, 보세창고 등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운전중이거나 주차되어 있는 화물트럭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이렇게 된 이유는 과거 아까사끼촌이라는 이름으로 [[삼식잠항수송정|일본군 잠수정]]을 만들던 공장과 거기 근무하던 노무자들이 모여 살던 곳이 기반이 되었기 때문이다. == 동명 유래 및 역사 == '''만석'''(萬石)이라는 동명은 본래 [[강화읍|강화군 강화읍]] 수로를 이용하여 서울로 운반하는 세곡(稅穀), 즉 나라에서 거두는 곡식을 모아 두는 곳으로, '''쌀이 모이는 곳'''이란 뜻에서 유래되었다. [[http://www.icdonggu.go.kr/open_content/dong/sub/present.jsp|#]] 조선시대에는 '''인천부 만석리''' (仁川府 萬石里)로 불리다가 1942년에 인천부 만석정으로 개칭되었고 4년 후인 1946년에 다시 인천부 만석동으로 개칭되었다. 1968년, 인천시 구제 실시에 따라 인천시 동구 만석동이 되었고 1995년, 인천광역시 동구 만석동으로 행정구역이 개편되었다. == 주요 시설 == * 만석동체력단련실 * 만석화수해안산책로 * 보라매보육원 === 기관 === * 만석동주민센터 * 만석 MG새마을금고 * 인천동구선거관리위원회 * 동구여성회관 === 교육 === * 화도진도서관 ==== 초등학교 ==== * 만석초등학교 === 주거 === * [[한국토지주택공사]] 만석비치타운 주공아파트[* 대성목재(조선목재공업) 인천공장 터를 재개발한 아파트로 2002년 [[SK건설]]이 시공하였다.] - 2002년 10월 입주 1,273세대 * [[인천도시공사]] 만석웰카운티[* 낙후한 빌라와 단독주택이 있던 곳을 재개발한 아파트로 2011년 삼미건설이 시공하였다.] - 2014년 6월 입주 178세대 == 교통 == 인천역이 가까운 주민들도 많고 동인천역과 인천역 중간지점 사는 주민들도 많다 === 버스 === ==== 좌석 ==== * [[인천 버스 307]] ==== 간선 ==== * [[인천 버스 2]] * [[인천 버스 15]] * [[인천 버스 21]] * [[인천 버스 26]] ==== 지선 ==== * [[인천 버스 506]] * [[인천 버스 인천e음21, 인천e음22]] [[분류:동구(인천)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