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만두게과]] ||<-2> '''{{{#fff {{{+1 만두게}}}[br]Box Crab[br]Shame-faced Crab}}}''' || ||<-2> [[파일:만두게.png|width=100%]][br]''Calappa flammea'' || || [[학명|'''{{{#000,#fff 학명}}}''']] || ''' ''Calappa'' ''' Weber, 1795 || ||<-2> '''{{{#fff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fff 계}}}''']] ||[[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fff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아문''' ||[[갑각아문]](Crustace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fff 강}}}''']] ||[[연갑강]](Malacostrac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fff 목}}}''']] ||[[십각목]](Decapoda) || || '''하목''' ||[[게하목]](Brachyur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fff 과}}}''']] ||만두게과(Calapp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fff 속}}}''']] ||'''만두게속'''(''Calappa'') || [목차] [clearfix] == 개요 == 십각목 만두게속에 속하는 [[게]]의 총칭. 이름의 유래는 둥글넓적하고 통통한 외형이 마치 [[만두]]처럼 생겨서 붙었다. 영어로는 box crab 또는 shame-faced crab으로 불리는데, [[집게]]로 얼굴을 가리고 다니는 모습이 부끄러워하는 것 같다 하여 붙었다. == 특징 == 등껍질 폭은 일반적으로 12cm 정도. [[집게]]가 머리가슴과 정확히 맞물려 집게로 갑각 아래를 가릴 수 있다. 이 자세가 마치 [[권투]]에서 팔로 앞을 가린 자세 내지는 [[사극]]에 나오는 [[신하]]들이 [[아부]]하는 자세와도 비슷하다. 공격을 받았을 때도 집게로 위협하는 다른 게들과 달리 먼저 몸을 가린다. 몸의 반을 모래 안에 숨기고 입 부분을 집게로 가려 호흡하는 [[물]]을 여과한다. [[남태평양]]과 [[인도양]]의 수심 30~60m [[모래]]바닥에 산다. [[한국]]이나 [[일본]]에서도 서식한다. 유난히 크게 발달한 [[가위]] 같은 [[집게발]]로 [[조개]]나 [[고둥]] 껍데기를 깨서 살을 꺼내 먹는다. [[먹이]]를 잡으면 우선 집게발을 집어넣어 내용물을 확인한 다음 크기를 재보고, [[껍질]]을 돌려가며 잘 살펴본 다음, 마음에 들지 않으면 내다버리고 마음에 들면 잡아먹는다. 큰 집게발과 달리 집게 자체는 가늘고 작기 때문에 찔러넣을 만한 틈이 있다면 집게를 쑤셔넣고 억지로 열어버리고, 집게를 쑤셔넣을 만한 틈이 없다면 오른쪽 집게에만 돌기같은게 발달해 있는데 이 돌기를 [[니퍼]]처럼 사용해 껍질을 부순다.[[https://youtu.be/zsqLmOpWJUQ?t=108|#]] 그리고 [[독침]] 따위는 씨알도 안 먹히는 갑각류 특유의 딱딱한 갑옷과 시너지가 겹쳐져 [[청자고둥]]의 천적이나 다름없는데, 독침으로 개겼다간 갑각 때문에 뚫리지 않고 도망을 가도 그 느릿느릿한 속도 때문에 얼마 가지 못하고 잡혀서 뚜껑이 따인다. [[수컷]]이 [[암컷]]에 비해 상당히 큰데, 짝짓기는 수컷이 암컷을 잡아 들어올려서 한다. 이동할 일이 있으면 그 상태로 수컷이 들고다닌다. [youtube(D0uhtT45Nhc)] * [[조개]]를 깨먹는 만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