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막 왕조 황제)] ||<-5> '''{{{#d4cd99 막조 추존 황제[br]{{{+1 裕祖 積德帝 | 유조 적덕제}}}}}}''' || || '''[[묘호|{{{#d4cd99 묘호}}}]]''' ||<(> '''{{{#000000,#fff [[유조]](裕祖)}}}''' || || '''[[시호|{{{#d4cd99 시호}}}]]''' ||<(> {{{#000000,#fff 조복홍도적덕황제(肇福弘道積德皇帝)}}} || || '''[[관직|{{{#d4cd99 관직}}}]]''' ||<(> {{{#000000,#fff 우참정(右參政)}}} || || '''{{{#d4cd99 부황}}}''' ||<(> {{{#000000,#fff [[막자오|선휴제]](宣休帝)}}} || || '''[[성씨|{{{#d4cd99 성}}}]]''' ||<(> {{{#000000,#fff 막(Mạc / 莫)}}} || || '''[[휘|{{{#d4cd99 휘}}}]]''' ||<(> {{{#000000,#fff 투이(Thúy., 邃/수)}}} || || '''{{{#d4cd99 생몰}}}''' ||<(> {{{#000000,#fff ? ~ 1412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Mạc Thúy. 한자로는 莫邃(막수)이며, 현지 발음으론 막투이라 읽는다. [[쩐 왕조]]~[[호 왕조]] 교체기 대월의 신하로 [[무종(원)|원 무종(武宗)]] 카이산 카안을 조현하며 뛰어난 재능을 발휘했다는 유명한 [[막딘찌|막정지(莫挺之)]]의 손자이자 [[막자오|막요]](莫瑤)[* [[막당중]]이 홍기독선선휴황제(弘基篤善宣休皇帝)로 추존했다.]의 아들이었다. == 생애 == 처음 사서에 등장하는 년도는 1407년, [[명나라]]가 결국 [[호 왕조]]를 멸망시켰을 때인데 이때 막투이가 등장한다. 당시 막투이는 약 1,200명과 함께 [[쩐 왕조]]의 쩐(진)씨 황족들이 [[호꾸이리|호의 국조(國祖)]]에게 제거되었음을 고하고 명군에게 베트남을 옛날처럼 복속시켜 달라는 매국노와 같은 부탁을 청했다. >丘濬《平定交南錄》:丙子,莫邃下土人武如卿五人獲偽國主黎蒼及其偽太子芮於高望山。凡黎氏親屬俘獲無遺,安南地悉平。 >막수(막투이)가 [[호한뜨엉|호한창]]과 그의 태자를 사로잡았다. >---- >구준(丘濬) - 《평정교남록》(平定交南錄) 이후 명나라는 호 왕조의 황제들을 붙잡은 후, 3대에 걸쳐 베트남을 복속하게 되었고 교지 포정사사(交趾布政使司)[* 명나라가 베트남을 지배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를 설치했다. 막투이는 위의 행위로 공을 인정받아 교지 포정사사의 우참정(右參政)의 지위를 받고 쩐씨 잔존 세력의 수장 [[간정제]]를 제압하는 등 명나라의 앞잡이 노릇을 해오다가 1412년 반란을 일으킨 농문력(農文歷)을 토벌하러 직접 군대를 이끌고 싸우던 중 고립되어 적의 독화살을 맞고 전사했다. 약 100년 후, 현손(玄孫)인 [[막당중]]이 1527년 [[레공황|공황]](恭皇)을 몰아내고 황제로 등극하여 고조부 막투이를 '유조'(裕祖) '조복홍도적덕황제'(肇福弘道積德皇帝)로 추존했다. == 참고 항목 == * [[https://ko.wikipedia.org/wiki/%EB%A7%89%ED%88%AC%EC%9D%B4|참조 항목]]. [각주] [[분류:대월 황제]][[분류:추존된 황제]][[분류:1412년 사망]][[분류:명나라의 인물]][[분류:하이즈엉 성 출신 인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막수, version=18, paragraph=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