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막응옥리엔'''[* Mạc Ngọc Liễn|hn, 莫玉⿰王輦/莫玉輦, 막옥련.], ? ~ [[1594년]])은 [[대월]] [[막 왕조]]의 군인, 정치인이다. == 생애 == 탁텃현(石室县) 사람이다. 막 왕조의 중신 응우옌낀(阮敬)의 아들로, 본명은 '''응우옌응옥리엔'''(阮玉)이다. [[막당조아인]]의 딸 막티응옥럼(莫氏玉琳)과 혼인하여 부마가 되었고, '''안군공'''(岸郡公)에 봉해졌으며 국성인 막씨를 사성받았다. [[1573년]]에서 [[1583년]]까지 막낀디엔, 응우옌꾸옌(阮倦) 등과 함께 여러 차례 [[후 레 왕조]]의 타인호아, 응에안 등지를 공격하였다. [[1591년]], [[찐뚱]]이 직접 군사를 이끌고 응우옌흐우리에우(阮有僚), 호앙딘아이(黃廷愛), 하테록(何世祿), 응오까인흐우(吳景祐) 등과 함께 막 왕조를 공격하였다. 막 왕조의 황제 [[막머우헙]]도 직접 군사 10만을 이끌었고, 막응옥리엔, 응우옌꾸옌으로 하여금 각각 좌익과 우익을 방어하게 하였으나, 찐뚱에게 대패하였다. 막머우헙은 토괴촌(土塊村)으로 달아났고, 막응옥리엔, 부이반쿠에(裴文奎), 응우옌꾸옌, 쩐바니엔(陳百年)에게 [[하노이|탕롱]]을 수비하라고 하였으나 다시 찐뚱에게 패배하였다. 막응옥리엔과 부이반쿠에는 성을 버리고 달아났고, 응우옌꾸옌은 사로잡혔다. 같은 해에 다시 찐뚱에게 [[홍강]] 가운데서 격파당했다. 막머우헙, [[막또안]], [[막낀찌]]는 차례로 사로잡혀 살해되었다. 이에 막응옥리엔은 [[1593년]]에 돈후왕(敦厚王) [[막낀꿍]]을 황제로 즉위시키고 르엉선(諒山)의 안박주(安博州)를 근거지로 삼으니, 주위에서 막 왕조를 지지하는 각 로(路)의 세력들이 분분히 귀부해 왔다. 그러나 오래지 않아 찐뚱이 호앙딘아이를 보내 공격하자 막응옥리엔과 막낀꿍은 [[명나라]]의 용주(龍州)로 달아났다. 오래지 않아 막응옥리엔이 사망하였다. 임종 전에 막응옥리엔은 후레 왕조가 회복하게 된 것은 천수(天數)라고 여겨 막낀꿍에게 무고한 백성들이 재앙을 맞게 하지 말고, 또한 명나라의 손을 빌려 전국을 회복하려 하지 말고 국외로 피신해 거처할 것을 건의하였으나 막낀꿍은 듣지 않았다. [[분류:1594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