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한국어 방언]][[분류:동음이의어]] [include(틀:가나다)] ||<-8>
{{{+5 {{{+5 {{{+5 {{{+5 {{{+5 마}}}}}}}}}}}}}}} || || {{{-1 '''[[유니코드]]'''}}} || U+B9C8 || || {{{-1 '''[[완성형]][br]수록 여부'''}}} || O || || {{{-1 '''구성'''}}} || [[ㅁ]]+[[ㅏ]] || || {{{-1 '''[[두벌식]][br]{{{-1 ([[QWERTY]])}}}'''}}} || ak || || {{{-1 '''{{{-1 [[세벌식]] 최종}}}[br]{{{-1 (QWERTY)}}}'''}}} || if || || {{{-1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법|{{{-1 현행 로마자}}} 표기법]]'''}}} || ma || || {{{-1 '''[[매큔-라이샤워 표기법|{{{-2 매큔-라이샤워}}}[br]표기법]]'''}}} || ma || [목차] == 순우리말 == === [[마(식물)|마]], 채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식물))] === 마, [[동남 방언]] 감탄사 === ==== '인마'의 준말 ==== '''"마!"'''라고 말 첫마디에 쓰인다. '인마'[* ‘이놈아’가 줄어든 말. [[https://krdic.naver.com/detail.nhn?docid=30881400|네이버 사전 '인마']]]가 줄어서 생긴 표현이다. '인마'와 교체되어 쓰이기도 한다. 뉘앙스를 대충 보면 알겠지만 자신보다 나이가 많거나 직급이 위인 사람한테는 사용하지 않고 이는 얼마나 친밀하든 관계 없다. 듣는 사람에 아량에 달린 일이긴 한데 자신보다 나이가 적거나, 아랫사람한테 '마!'라는 말을 들으면 대부분은 기분 나빠하거나 "뭐라고?"하는 반응을 보인다. 관대하게 넘어가는 사람도 없는 건 아닌데 경상도에서는 친밀하게 부르고 싶은 사람은 대개 '행님' 정도로 부른다. 동년배 친구나 말 놓고 사는 친한 선후배 관계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사용처가 제한되는 표현이다. 물론 예의범절 모르는 왈패같은 [[문디]]들은 처음 보는 사람한테도 잘만 '마! 마!'거리고 다닌다.[* 주로 편의점 알바 하면서 보는 50~60대 손님들이 알바생한테 그러는 경우가 있다.] 예문)[* 'ː'는 장음 표지이다.] * 마! 프린터 용지가 걸리면 슬슬 빼 주면 되는 걸 뿌사 뿌노. * 마! 자신 있나? * 마! 니는 와ː 그라고 댕기노? * 마, 주댕이 닥치라. 주 째 뿌기 전에. * 마! 니는 사람이란 기 말기를 몬 알아 묵나? * 마, 마이 뭈ː다 아이가. 고마해라.(영화 친구의 명대사이자 작중 등장인물인 동수의 [[유언]]이다.) * ~~[[정상수|마! 반말하지 마라 니]]~~ 이제 가로등도 나왔다.[[https://blog.naver.com/forsol2/220548128981|#]] [[롯데 자이언츠]]의 견제 응원 [[마(롯데 자이언츠)|마]]도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 '고마'의 준말 ==== '고만(그만)'에서 ㄴ 받침이 탈락된 '고마'가 다시 축약되어 '마'로 사용되는 경우다. 이 경우 '고마'와 '마'가 번갈아가며 사용된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영남 사람이기 때문에, 이명박을 성대모사할 때는 '마'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 특히, 이명박 성대모사를 즐겨하는 개그맨 [[배칠수]], [[안윤상]]이 대표적. * 그람 마, 인제 가시까예? * 마, 잠만예. 여ː서 기다리 보이소. * 고마, 그라만, 마, 여ː 있겄심더. 위의 표현이 아니라도, '확', '그냥' 비슷한 뜻으로 흔히 쓰인다.[* ‘그냥’의 방언(경상). [[https://krdic.naver.com/detail.nhn?docid=12377500|네이버 사전 '마']]] * 마, 그냥 쌔리 삐라. * 마, 다ː 때리 뽀사 삐라. * 마, 내일 비 온다 안 캅니까. 우산 챙기이소. * 마, 대충 해라. * 마, 고마, 이래이래 갖고 이래하면 되제? 되게 쉽제이? == 한자 == [include(틀:주요 한국 한자음/107~308)] [[교육용 한자]]로 '마'라 읽는 글자는 아래 3자뿐이다. === [[馬]] (말 마) === 말을 의미한다. 마로 발음되는 한자 중 가장 유명한 편에 속한다. ==== [[마(장기)|장기의 기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장기))] === [[磨]] (갈 마) === 대표적으로 마찰(摩擦)이 있다. === [[麻]] (삼 마) === [[삼베]]를 뜻한다. [[대마초]]의 재료가 된다. 신라 [[경순왕]]의 아들이었던 [[마의태자]]는 이 글자를 쓴다. 저리다라는 뜻도 있다. 기본 麻에서 파생된 [[痲]](저릴 마)라는 글자도 있다. [[마약]]([[痲]][[藥]])의 마가 이 글자를 쓴다. === [[魔]] (마귀 마) === 본래 [[불교]]에 나오는 [[마라 파피야스]]=[[마구니]]에서 유래한 [[한자]]다. "마가 꼈다" 같은 관용어구에 부정적 의미로 쓰인다. "마의 ~~"도 여기서 유래. --[[마재윤|5.2번 항목]]하고는 딱히 큰 관련이 없지만 같은 의미로 쓰인다.-- == 일본 문자 [[ま]]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ま)] == 옷감·직물의 관습 단위 == 섬유·직물·방직·의류·패션 등의 산업에서 원단을 거래 또는 측정할 때 관습적으로 쓰는 단위며, 영어 단어 [[야드]]의 한자 차용어[* [[碼]]]다.[*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0.9144m] 비법정 단위 도량형으로서 해당 단위로 표시된 계량기나 상품을 제조하거나 수입해서는 안 된다.[* 계량에 관한 법률 제6조] == 은어 == === [[록맨 X5]]의 [[록맨 X 시리즈/아머|아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얼티밋 아머)] 오류 때문인지, 캐릭터 선택시 [[얼티밋 아머]]는 '얼티밋 아머'라고 나오지 않고 '''"마"'''라고 나온다. === 전 [[프로게이머]] [[마재윤]]의 별명 === [[파일:attachment/magaitser.jpg]] 사진에서는 1.2 항목에 있는 魔의 의미와 겹쳐 오묘한 느낌을 주었다. --사실상 같은 뜻이라 카더라-- 원래는 마재윤을 의미한 게 아니라 불법 베팅 사이트를 의미한 것이지만 마재윤의 성이 마씨인 것에 주목, 그대로 마재윤의 별명이 되었다. --그나저나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승부 조작 위기]]-- === [[AK-47]]를 이르는 은어 === AK를 [[QWERTY]] 자판에서 한·영키를 바꿔 입력하면 '마'가 된다. 그래서 [[AK-47]]의 별명들 중 하나가 [[AK-47|마47]]. [[뉴턴의 운동법칙#s-2.2|F=ma 공식]]과 엮여 [[떡밥]]이 되기도 한다. == 고유명사 == === [[마(성씨)|마씨]](馬), 성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성씨))] === [[영화]] 마 === [youtube(eIvbEC8N3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