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FC 바이에른 뮌헨/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8533 5%, #FF6600 15%, #FF6600 85%, #FF8533 95%)" {{{#000,#e5e5e5 '''마테이스 더리흐트의 역임 직책'''}}}}}} || || {{{#!folding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f0f0, #fff 20%, #d50032 20%, #b8042b 45%, #b8042b 55%, #d50032 80%, #fff 80%, #f0f0f0)" '''{{{#!html AFC 아약스 주장}}}''' }}} || || [[요엘 펠트만]][br]{{{-1 (2017~2018) }}} || {{{+1 {{{#b8042b ▶ }}} }}} || '''{{{#ffffff 마테이스 더리흐트[br]{{{-1 (2018~2019)}}}}}}''' || {{{+1 {{{#b8042b ▶ }}} }}} || [[두샨 타디치]][br]{{{-1 (2019~2023)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8533 5%, #FF6600 15%, #FF6600 85%, #FF8533 95%)" {{{#000,#e5e5e5 '''마테이스 더리흐트의 수상 이력'''}}}}}}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틀:골든보이(2010년대)|[[파일:GoldenBoy.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C314; font-size: 0.9em" [[틀:골든보이(2010년대)|{{{#ffffff,#191919 '''2018 골든보이'''}}}]]}}}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틀:UEFA 유로파 리그 2016-17 베스트팀|[[파일:europa league logo.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틀:UEFA 유로파 리그 2016-17 베스트팀|{{{#ff8c00 '''2016-17 UEL'''}}}]]}}} || [[틀:UEFA 챔피언스 리그 2018-19 베스트팀|[[파일:UCL_로고.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틀:UEFA 챔피언스 리그 2018-19 베스트팀|{{{#ffffff '''2018-19 UCL'''}}}]]}}} || [[틀:2019 FIFA FIFPro World11|[[파일:attachment/FIFPro_logo.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D1C35; font-size: 0.9em" [[틀:2019 FIFA FIFPro World11|{{{#ffffff '''2019 FIFA FIFPro 11'''}}}]]}}} || [[틀:2019 UEFA 올해의 팀|[[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868D6; font-size: 0.9em" [[틀:2019 UEFA 올해의 팀|{{{#ffffff '''2019 UEFA 올해의 팀'''}}}]]}}} || || [[틀:2022-23 VDV 올해의 팀|[[파일:VDV로고.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5aaa; font-size: 0.9em;" [[틀:2022-23 VDV 올해의 팀|{{{#ffffff '''2022-23 VDV 11'''}}}]]}}} || [[틀:Kicker 2022-23 올해의 팀|[[파일:Kicker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0.9em;" [[틀:2022-23 Kicker 올해의 팀|{{{#ffffff '''2022-23 Kicker 올해의 팀'''}}}]]}}} || || || ---- ||<-3> '''{{{#white 2019 Kopa Trophy }}}''' || || 수상 [br] '''마테이스 더리흐트''' || 2위 [br] [[제이든 산초]] || 3위 [br] [[주앙 펠릭스]]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tthijs de Ligt(23-24).png|width=100%]]}}} || ||<-3> '''{{{#ffffff FC 바이에른 뮌헨 No. 4}}}''' || ||<-3><#fff> '''{{{#dc052d {{{+1 마테이스 더리흐트}}}[* [[네덜란드어]] 발음은 /mɑˈtɛis də ˈlɪxt/. 로망어와 게르만어권 인명의 전치사나 관사는 발음의 변화를 반영하지 않은 채 뒤 요소와 붙여 적기 때문에 'de Ligt'는 '더리흐트'가 된다.][br]Matthijs de Ligt}}}''' || ||<-2><|2> {{{#fff '''출생'''}}} ||[[1999년]] [[8월 12일]] ([age(1999-08-12)]세) || ||{{{-1 [[자위트홀란트|자위트홀란트주]] 레이데르도르프}}} || ||<-2> {{{#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 ||<-2> {{{#fff '''신체'''[* [[https://fcbayern.com/en/teams/first-team/matthijs-de-ligt|바이에른 뮌헨 공식 프로필]]]}}} ||[[키(신체)|키]] 189cm / [[체중]] 89kg || ||<-2> {{{#fff '''포지션'''}}} ||[[센터백]] || ||<-2> {{{#fff '''주발'''}}} ||오른발 (양발) || ||<|2> {{{#fff '''소속'''}}} || {{{#fff '''유스'''}}} ||압카우더 (2005~2009)[br][[AFC 아약스]] (2009~2016) || || {{{#fff '''선수'''}}} ||[[용 아약스]] (2016~2017)[br]'''[[AFC 아약스]] (2016~2019)'''[br]'''[[유벤투스 FC]] (2019~2022)'''[br]'''[[FC 바이에른 뮌헨]] (2022~ )''' || ||<-2> {{{#fff '''국가대표'''}}} ||43경기 2골[* 2023년 9월 11일 기준]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 / 2017~ )^^ || ||<-2> {{{#fff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deligt_04, 크기=28)]|[[https://www.instagram.com/mdeligt_/|[[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8]]]] || ||<-3>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 {{{#fff '''등번호'''}}}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 3번[br][[AFC 아약스]] - '''4번''', 36번[br][[유벤투스 FC]] - '''4번'''[br][[FC 바이에른 뮌헨]] - '''4번''' || ||<-2> {{{#fff '''종교'''}}} ||[[가톨릭]] || ||<-2> {{{#fff '''후원사'''}}} ||[[나이키]] (팬텀 GT 2) || ||<-2> {{{#fff '''에이전트'''}}} ||[[하파엘라 피멘타]][* [[미노 라이올라]]의 오른팔로 라이올라의 에이전시에서 변호사를 맡았으며 라이올라의 사망 후 피멘타가 후계자가 되면서 라이올라의 고객들을 넘겨받았다.]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네덜란드]] 국적의 [[FC 바이에른 뮌헨]] 소속 [[축구선수]]. 포지션은 [[센터백]]. == [[/클럽 경력|클럽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테이스 더리흐트/클럽 경력)] ==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경력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더리흐트 국가대표.jpg|width=100%]]}}} || 유소년 국가대표팀을 연령별로 계속 거친 뒤, 2017년 3월에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불가리아]]와의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8 러시아 월드컵]] 지역예선 경기에서 A매치에 데뷔했다. 전반전에 절망적인 수비력을 보여주며 2골을 오롯이 혼자 잘못으로 주다시피 했다. 하프 타임에 교체되어 나왔고, 결국 2대 0으로 졌다. 경기 후 [[대니 블린트]] 감독이 해고되었다. [[로날트 쿠만]] 체제 첫 경기에서 [[버질 반 다이크]], [[스테판 더프레이]]와 3백을 구성해 경기에 나섰고 두 번째 경기에도 선발로 출장했다. [[UEFA 네이션스 리그]]에서 판데이크와 주전 센터백으로 호흡을 맞췄으나 결승에서 혼자 경기를 말아먹으며 패배의 원흉이 되었다. === [[UEFA 유로 2020]] === 독일과의 유로 예선 경기에서 1차전 홈에서도 냐브리와 사네, 로이스가 달려들때 정신을 못 차리더니, 2차전인 독일원정에서도 경기는 4:2로 이겼으나, 냐브리와 클로스터만 [[니코 슐츠]]나 [[마르코 로이스]] 같은 빠른 선수들에게 털렸으며, 2번째 독일의 득점장면을 보면 어처구니 없는 핸드볼 파울을 한다던지. 유벤투스에서의 안 좋은 모습을 대표팀까지 이어가고 있다. 그나마 독일의 타처럼 자책골을 넣은 것도 아니고, 냐브리, 사네, 로이스, 니코 슐츠가 차원이 다른 선수라는 걸 고려하면 단순히 탓하기만도 힘들다. 그래도 페널티 지역에서 그나브리의 슈팅을 쳐내는 모습도 보여주기도 했다. 본선에서는 [[버질 반 다이크]]의 부재로 [[스테판 더프레이]], [[데일리 블린트]]와 수비라인을 구축하였다. [[UEFA 유로 2020|유로 2020]] 16강 체코전에서 [[도니얼 말런]]이 골키퍼와의 1:1 찬스를 놓치는 빅찬스 미스로 인하여, 역습을 허용, 더리흐트가 이를 저지하려는 과정에서 고의적인 핸드볼 반칙으로 레드카드로 퇴장을 당했고 결국 팀이 0:2로 패배하여 8강 진출에 실패하고 말았다.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유럽)/G조|2022 FIFA 월드컵 지역예선]] === 2021년 3월부터 시작된 지역예선에서 초반 3경기는 모두 [[데일리 블린트]]와 함께 호흡을 맞추며 풀타임 선발로 출전했다. 그러나 [[프랑크 더부어|더부어]] 감독이 유로 본선에서 부진으로 사임하고 [[루이 판할|판할]]이 부임한 뒤에는 9월~10월 기간동안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몬테네그로]]와의 4라운드 경기를 제외하고는 모두 벤치를 지켰다. 최근 판할의 백4 시스템에서 판데이크와 더프레이가 매 경기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면서 한동안 주전 자리를 쟁취하기에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 첫경기에서 바로 선발로 나섰으나 '''치명적인 실수'''를 범하여 이어진 2, 3경기 그리고 16강에전에서 내리 벤치를 지키면서 당시 소속팀에선 폼이 좋다곤 하지만 국대만 오면 정줄을 놔버리는 대형미스를 하는 바람에 국대감독이었던 반할의 신임을 받지 못하였다.[* 이는 바이언에서의 전술과 네덜란드 반할의 쓰리백에서의 전술과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반할의 쓰리백의 경우 반 다이크를 중심으로 양 옆 스토퍼들이 공격적으로 올라가는데 더리흐트를 스토퍼로 기용할 경우 발이 빠른 팀버에 비해 발이 느린 더리흐트 특성상 역습때 뒷공간을 내주는 문제가 생긴다. 스위퍼 자리의 경우 반다이크가 버티고 있기에 그의 스타일상 반다이크의 백업이라고 보는게 맞다.] 데이비드 온스테인과의 인터뷰에서 교체자원으로 출전하는 것에 대해 질문받았는데 더리흐트는 자신은 한 번도 못 뛸 줄 알았으며 월드컵에서 기대한 것보다 더 많이 뛰었고, 솔직히 그렇게 좌절하지 않는다며 긍정적인 인터뷰를 남겼고, 반할 감독의 기용에 대해서도 크게 불만을 가지지 않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https://twitter.com/iMiaSanMia/status/1599156955515260928?s=20&t=UShuV2POVEmiC09rt6nlAA|출처]] == 플레이 스타일 == [youtube(t9zx5Ajhub8)] 더리흐트의 가장 두드러지는 장점은 바로 '''아약스 유스 출신다운 후방 빌드업 전개력'''. 상당한 정확도의 장단패스를 통한 공 전개뿐만 아니라 본인이 간헐적으로 드리블로 공을 운반하면서 팀의 라인 전체를 전진시키기도 한다. 이렇게 전진성을 보이는 센터백들 중 간혹 위치를 선점하는 데 불안하고 미숙한 모습을 보이는데 반해, 더리흐트는 매우 침착한 모습을 보인다. 이는 더리흐트가 '''뛰어난 수비 지능과 좋은 위치 선점''' 능력을 통해 깔끔한 전진 수비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수비 시에는 전진을 통한 볼 컷팅뿐만 아니라 넓은 배후 공간 커버에도 뛰어난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깔끔한 위치 선점 능력은 세트피스 공격에서도 빛을 발하는데, 세트피스 상황에서 후방에 대기해 있다가 빈공간을 찾아들어가면서 타점 정확한 헤더를 통해 득점을 만들어낸다. 아약스 시절에도 더리흐트의 머리만 노리는 세트피스 전술을 구사했을 정도. 더리흐트의 '''워낙 좋은 피지컬'''은 동 나이대를 비교해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자신의 피지컬적인 장점을 살려 저돌적인 경합과 1대1 대인마크에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앞서 언급한 대로 헤더에 능한 선수인데, 큰 키에 좋은 점프력, 임펙트 있는 헤더뿐만 아니라 공이 올 위치를 선정하는 능력도 뛰어나다 보니 수비수임에도 좋은 움직임을 통해 득점을 만들어낸다.[*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18-19 시즌 챔피언스리그에서의 유벤투스와 토트넘 경기.] 여기에 어린 시절부터 아약스의 주장까지 담당했을 정도로 '''리더쉽'''도 좋게 평가받고 있으며, 경기 중에도 거의 흥분하지 않고 언제나 냉정하게 플레이를 하는 것 또한 장점으로 들 수 있다. 단점은 여타 거구의 센터백들처럼 '''민첩성이 떨어진다.'''[* 물론 [[버질 반 다이크]], [[안토니오 뤼디거]], [[로날드 아라우호]]같은 예외도 있으나 어지간한 장신 센터백들은 최고 속도가 빠르더라도 순간적인 민첩성은 떨어지는 편이다.] 최고 속도는 굉장히 빠른 편이지만[* 최고 속도 33.23km/h으로 느린 편에 속하다고 보기에 힘들다. 사실 겉으로 보이는 거대한 키와 건장한 체격때문에 느릴 것이라고 오해를 받는 선수들은 의외로 있다. [[제라르 피케]], [[니클라스 쥘레]], [[스벤 보트만]] 등이 그 예시.] 순간 스피드는 빠른 편이 아니고, 피지컬이 크다 보니 민첩하고 재빠른 공격수들 상대로는 고전한다. 챔피언스리그, 대표팀 경기에서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제이든 산초]], [[마커스 래시포드]], [[손흥민]] 같은 탄력 있는 선수들의 순간적인 방향 전환에 약점을 보인 게 그 예. 다만 일단 가속이 붙으면 빠르기로 손꼽히는 [[페데리코 키에사]]와 주력이 맞먹을 만큼 빠르고[* [[https://m.youtube.com/watch?v=O7i68cbiYs8|유벤투스가 공개한 훈련영상]]에서 키에사와 달리기 시합을 하는데 둘이 비등비등하다. 심지어 왕복을 했는데도.][* 그리고 더리흐트가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던 [[에릭 텐하흐]] 체제의 아약스는 라인을 올리는 공격적인 축구를 했는데 이때 더리흐트는 후방에서 최종 수비를 맡았다. 라인을 올린 상태에서 주력이 느린 선수에게 실점으로 이어질 수 있는 후방을 맡길리가 없다.] 대표팀 경기에서도 앞서가던 [[킬리안 음바페|음바페]]를 따라잡기도 했다. 자동차로 비교하자면 [[제로백]]은 단점이나 최고 시속은 문제없는 셈. 속도 관련 문제보다 더 큰 단점은 적극적인 성향과 잦은 오버래핑으로 인해 생기는 '''뒷공간 노출'''이다. 더리흐트는 기본적으로 수비 시 상대에게 적극적으로 붙어서 압박하거나 마크를 하는 수비를 선호하고, 공격 시에는 과감하게 중앙선을 넘어서 오버래핑하는 경우도 잦다. 이 탓에 공격 과정에서 볼을 뺏기거나 한다면 자연히 뒷공간이 뚫려 역습을 허용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문제는 유벤투스에 온 이후 특히 두드러져서 더리흐트가 큰 돈을 써서 데려왔음에도 불안하다는 소리를 듣는 원인이 되었다. 그 외의 단점으로 간혹 '''접전 상황에서 치명적인 실책을 범한다'''는 약점이 있다. 이 약점은 클럽뿐만 아니라 국대에서도 예외가 아니라서, 처음 진출한 국제 대회인 유로 2020 체코전에서 어이없이 퇴장당해 팀이 그대로 탈락하는 원흉이 되기도 했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AFC 아약스]] (2016~2019) * [[에레디비시]]: 2018-19 * [[KNVB 베이커]]: 2018-19 * [[유벤투스 FC]] (2019~2022) * [[세리에 A]]: 2019-20 * [[코파 이탈리아]]: 2020-21 *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2021 * [[FC 바이에른 뮌헨]] (2022~ ) * [[분데스리가]]: 2022-23 * [[DFL-슈퍼컵]]: 2022 === 개인 수상 === * [[FIFA FIFPro 월드 XI]]: 2019 * [[골든보이]]: 2018 * [[트로페 코파]]: 2019 * [[UEFA 올해의 팀]]: 2019 * [[UEFA 챔피언스 리그 시즌의 스쿼드]]: 2018-19 * [[UEFA 챔피언스 리그]] Breakthrough XI: 2018 * [[UEFA 유로파 리그 시즌의 스쿼드]]: 2016-17 * 네덜란드 올해의 축구 선수: 2018-19 * 네덜란드 올해의 재능: 2017-18 * [[에레디비시]] 올해의 팀: 2017-18, 2018-19 * [[IFFHS]] 남자 월드팀: 2019 * [[VDV 11]]: 2022-23 * [[Kicker 올해의 팀]]: 2022-23 == 더리흐트에 대한 언사 == >'''유벤투스는 페노메논을 얻게 된 것. [[알레산드로 네스타]]부터 [[프랑코 바레시]], [[파올로 말디니]]부터 [[치로 페라라]], [[파비오 칸나바로]]부터 [[마르코 마테라치]]까지, 나는 많은 역대급 수비수들을 봐왔지만 어떤 선수도 19세에 이렇게 잘하진 않았다.''' >---- >'''[[마르첼로 리피]]''' >'''유벤투스가 더리흐트와 계약한다면, 이미 시즌은 다시한번 끝난거야. 모두가 이번 시즌 안봐도 된다. 더리흐트는 최고의 수비수고 유베는 그로 인해 잭팟을 터뜨릴 것이다.더리흐트가 팀에 있다면, 그팀은 아약스처럼 윙백들에게 공격의 자유를 주고 단 두명의 수비수로 플레이 할 수 있다. 더리흐트가 없어야 다른 이탈리아 팀들이 그나마 조금이라도 유벤투스에 가까워질 수 있다.''' >---- >'''[[파비오 카펠로]]''' >'''굉장한 미래를 맞이할수있는 수비수다.아직 경험이 더 필요하지만 미래에는 분명히 굉장한 선수가 되어있을 것이다.''' >---- >'''[[세르히오 라모스]]''' >'''더리흐트는 금방 리더가 될 것같아. 아름다운 분위기를 풍기는 선수다. 이적하기 전에 유벤투스에 대해 공부하는 그런 모습은 정말 인상깊어.난 그가 마음에 들어. 좋은 친구 같아. 어떤 모습에서는 유벤투스에 이제 막 입단한 남편을 생각나게 해. 엄청 어리고 예의바른데, 경기장에서는 결단력 있고 단호하다. 수비만 하려는게 아니라 경기 자체를 컨트롤 하고. 물론 이런 비교는 그냥 가볍게 들어줘. 더리흐트는 이제 19살이고, 갈길이 많이 남았어.''' >---- >마리엘라 시레아[* 유벤투스와 이탈리아의 레전드 [[가에타노 시레아]]의 부인] == 여담 == * 의외로 목소리가 굵고 허스키하여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와 목소리가 비슷하다. 외모는 순한데 목소리는 굵직한게 [[은골로 캉테]]랑 유사하다. * 위 문서에서 나와있는 사진에서 보이듯이 [[어깨깡패|어깨가 굉장히 넓다]]. 그 어깡이라는 [[레오나르도 보누치|보누치]]와 [[조르조 키엘리니|키엘리니]] 한테도 안꿇리는 수준으로 넓다. * 같은 [[네덜란드]] 국적의 [[AFC 아약스]] 출신 동료인 [[프렝키 데용]]과 마찬가지로 굉장히 피부톤이 하얀 편이다. * 인터뷰 등 인스타그램에 올라오는 웃는 모습이 [[박형식]]을 닮았다. * 여자친구와 [[이탈리아어]]를 공부하는 모습을 계속 보이더니 2020년 겨울부터 순조로운 이탈리아어 인터뷰를 진행 중이다. 네덜란드 출신이라 [[영어]]는 덤. 2022년 8월 말인 얼마 전에는 뮌헨에 입단한 이래 한 달 만에 유창한 [[독일어]]로 인터뷰했다.[* 리포터는 영어로 질문했는데 대답을 독일어로 했다(...)][* 사실 더리흐트의 모국어인 네덜란드어는 독일어와 굉장히 비슷하기 때문에 좀 더 수월하게 독일어를 배웠을 가능성이 높다.] * 2021년 1월 8일, 이탈리아에서 유행하던 코로나 바이러스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고, 이후 1월 24일까지 자가격리를 하여 완치 판정을 받았다. *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반대 운동|안티백서]]이다. 유로를 앞두고 선수단이 코로나 백신을 접종할때 '''"백신 접종은 의무가 아니다. 제 몸은 본인이 간수하는 것."'''이라는 인터뷰를 하며 접종을 하지 않았다. 코로나 백신만 거부하는 것인지, 백신 전체를 거부하는 것인지는 불투명하다. * 본인에게 경기장에서 가장 까다로운 상대로 국가대표 경기로 만났던 [[리로이 자네]]로 뽑았다. 더리흐트에 의하면 자네를 1대1로 방어해야했고, 그는 경기장 어디에서나 있어서 까다로웠다고 밝혔다. 바이에른 뮌헨에 입단 후 자네에게 막기 가장 힘들었다고 직접 말했다고 한다.[[https://twitter.com/iMiaSanMia/status/1554865119900876800?s=20&t=9BNBVTYMHtU1_Suoi2hixw|출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qM8jdI.jpg|width=100%]]}}}|| * 5살부터 테니스를 시작했으며 실력도 매우 좋았다고 한다. 축구는 학교 친구가 축구경기를 하는 것을 보고 자신도 따라서 시작했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hhK4RnX0AI-mTR.jpeg.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hhK4RnXEAMtHuc.jpeg.jpg|width=100%]]}}}|| * 2022년 11월 14일 자신의 옛 동네에 본인의 이름을 딴 크루이프 재단 코트를 갖게 되었다. * Cds보도에 따르면 유벤투스는 사기 및 허위 회계 혐의로 이탈리아 검찰에 의해 조사를 받고 있는데 더리흐트와 [[마티아 데 실리오]]가 토리노 검찰에게 채팅방 스크린 샷을 제공하면서 검찰이 증거를 확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한다. 유벤투스에서 뛰던 시절 코로나 펜데믹 기간때 유벤투스가 선수들이 클럽을 돕기 위해 4개월 간의 급여삭감할 것이라고 발표했는데, 실상은 당시 주장이었던 [[조르조 키엘리니]]가 메시지를 통해 한 달치만 공제했고 나머지는 은밀하게 챙겨주기로 제안하는 내용이 채팅방에 있었다고 한다.[* 전 회장 아넬리는 이런 방식으로 2억 유로 손실을 숨겼으며, 언론에서는 그가 왜 그토록 [[슈퍼 리그]]에 필사적이였는지 설명해준다고 보도했다.][[https://www.bavarianfootballworks.com/2022/12/5/23494524/bayern-munich-report-matthijs-de-ligt-help-italian-prosecutors-bust-juventus-arrests-andrea-agnelli|출처]] * 옥토버페스트 축제때 바이에른 뮌헨 선수단이 구단 차원으로 방문하면서 전통의상인 '레더호젠'을 입는데 더리흐트는 자신의 허벅지가 많이 굵어서 바지를 입을때 너무 타이트하다고 밝혔다. 본인에 의하면 맞춤 제작도 했지만 여전히 꽉 낀다고.. * 케리 하우에 의하면 바이언 이적 후 팀원들에게 승리에 대한 의지와 팀 정신에 깊은 인상을 주었으며 경기장에서 명령을 내릴때도 거의 독일어로 하는 점으로 인해 모두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고 한다. 또한 향후 팀 위원회에 합류할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현재 바이에른 팀 위원회는 [[마누엘 노이어]], [[토마스 뮐러]], [[요주아 키미히]], [[킹슬리 코망]], [[레온 고레츠카]]로 구성되어있다.] == [[WAGs]] == ||[[파일:아네키 몰레나(1).jpg|width=320]]||[[파일:아네키 몰레나(2).jpg|width=320]]|| ||[[파일:아네키 몰레나(3).jpg|width=320]]||[[파일:아네키 몰레나(4).jpg|width=320]]|| [[파일:아네키 몰레나(5).jpg|width=320]] 이름은 아네케이 몰레나르 (Annekee Molenaar), 생일은 1999년 9월 14일이며 키는 178cm로, 현직 모델이다. 현재 더리흐트와 함께 뮌헨에 거주 중이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FC 바이에른 뮌헨)] [include(틀: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include(틀: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2022 카타르 월드컵))] [각주] [[분류:1999년 출생]][[분류:레이데르도르프 출신 인물]][[분류:네덜란드의 축구선수]][[분류:수비수]][[분류:네덜란드의 가톨릭 신자]][[분류:용 아약스/은퇴, 이적]][[분류:AFC 아약스/은퇴, 이적]][[분류:유벤투스 FC/은퇴, 이적]][[분류:FC 바이에른 뮌헨/현역]][[분류:네덜란드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분류:네덜란드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20 참가 선수]][[분류:골든보이 수상자]][[분류:2016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