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2><:>[[파일:마카오 입법회 선거 로고.png|width=80px]] '''{{{+2 {{{#00785D 마카오특별행정구 입법회}}}}}}'''|| ||<:>'''중문 명칭'''||<(>澳門特別行政區立法會|| ||<:>'''포문 명칭'''||<(>Assembleia Legislativa de Macau|| ||<:>'''특성'''||<(>[[단원제]], [[다당제]]|| ||<:>'''개회'''||<(>[[1999년]] [[10월 12일]] || ||<:>'''전신 조직'''||<(>포르투갈령 마카오 입법회(1976~1999)|| ||<:>'''주석'''||<(>쿠호이인(高開賢, 고개현)|| ||<:>'''부주석'''||<(>추이사이청(崔世昌, 최세창)|| ||<:>'''의원'''||<(>정원 33석 중 재적 33인|| ||<|3><:>'''의석 구성''' ||<:>{{{#fff '''친중파 30석(86.5%)'''}}}|| ||<:>{{{#000 '''민주파 2석(12.1%)'''}}}|| ||<:>{{{#FFFFFF '''중간파 1석(1.4%)'''}}}|| ||<:>'''최근 선거'''||<(>2021년 마카오 입법회 선거 || ||<:>'''차기 선거'''||<(>2025년 마카오 입법회 선거 || [[파일:마카오입법회.png|width=488]] 마카오 입법회 청사. [[마카오]] 시 법원 옆에 위치하고 있다 [목차] == 개요 == [[마카오]]의 입법을 담당하고 있는 [[헌법기관]]. 총원은 33석이며 그 중 14석은 마카오 전지역에서 구속명부식 비례대표제로 선출된다. 12석은 직능선거구에서 선출되며 나머지 7석은 [[마카오 행정장관]]에 의해 임명된다. 임기는 4년이다. == 구성 == [include(틀:마카오 입법회의 원내 구성)] * [[비례대표]] 의원: 구속명부식으로 총 14명이 선출된다. * 직능 선거구 의원: 유권자는 직종별 종사자들이나 법인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의 추인을 받은 후에 의정 활동이 가능하다. 총 12명이 선출된다. * 상업 및 금융계(工商及金融界) 4명 * 노동계(勞工界) 2명 * 전문직 업계(專業界) 3명 * 사회복지 및 교육계(社會服務及教育界) 1명 * 문화 및 체육계(文化及體育界) 2명 * 행정장관 임명 의원: 선거와 동시에 7명의 의원을 행정장관이 임명한다. 모든 의원이 [[무소속]]이다. [[홍콩 입법회]]와 마찬가지로 직능대표 의원을 선출의석 중 절반 가까이 선출하는데, 홍콩 입법회와 유사한 이유로 해당 의석은 대부분이 친중파이다. 그리고 친중파인 행정장관이 7명을 '''임명'''하고, 민주파의 득표율이 20%대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민주파는 힘도 쓰지 못한다. [[포르투갈령 마카오]] 시절인 1976년 입법기구로 마카오 입법회가 설치되었는데, [[포르투갈]] 정부에서 직선 의원 6명, 간선 의원 6명을 선거로 뽑고 총독이 임명직 의원 5명을 임명하기로 한 게 시초가 되었으며[* 나중에 각각 2명씩 늘여서 직선 8명, 간선 8명, 임명직 7명으로 조정하긴 했다.] 마카오가 반환된 지금은 간선 의원을 직능대표 의원으로 바꾸어서 뽑고 있다. 거기서 거기이기는 하지만 나름대로 유구한 전통인 셈이다. [[분류:마카오의 정치]][[분류:나라별 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