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경제]][[분류:마천루]][[분류:징크스]] [목차] == 개요 == >'''어떤 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을 짓겠다며 첫 삽을 뜨면 최대한 빨리 그 나라 주식 시장에서 빠져 나와라.''' >---- >존 캐스티, <대중의 직관> 중 '''마천루의 저주'''(Skyscraper Curse)란 역사적으로 '[[초고층 빌딩]]의 건설 열풍은 경제 위기를 예고한다'는 일종의 경험적 [[가설]]이다. [[1999년]] [[도이체방크]]의 분석가 앤드루 로런스가 100년간의 건설업계 사례를 분석하여 주장했다. == 분석 == 마천루의 저주가 발생하는 이유로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크게 2가지 원인을 꼽을 수 있다. 물론 이 원인들은 상충하는 것은 아니고,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 비용 및 시간의 문제 === 마천루의 저주는 실제로는 '''공사 기간의 장기화'''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경기 순환 이론에 따르면 경기는 대략적인 주기를 따라 호황과 불황이 반복해서 나타나며, 주글라 파동(약 10년 주기), 쿠즈네츠 파동(약 20년 주기), 콘드라티예프 파동(50-60년 주기) 등이 있다. 반면 마천루는 검토에서부터 첫 삽을 뜨고, 완공하기까지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는 프로젝트이고, 이러한 기간이 길어질수록 각종 불확실성에 노출될 가능성은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시간적 관점으로 보면 [[큰 수의 법칙]]에 걸리는,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저층 건물이야 비용도 시간도 적게 소요되기에 그런 리스크가 적지만, 마천루 건설에는 비용도 비용이거니와 '''시간 역시 상당히 소요'''된다. 그렇기에 보통 [[통화 정책]] 완화 시기에 마천루의 공사가 시작되지만, 경기 과열이 정점에 이르고 [[버블]]이 꺼지면서, 완공 시점에서는 [[불황]]의 직격탄을 맞는 것이다. 그렇다고 불황 시기에 마천루를 짓기에는, 공사 비용을 충당할 수단이 여의치 않는다. 결국 [[돈지랄]]을 할만한 시점이 돌아올 때 까지 기다릴 수 밖에 없고, 그 때에 와서야 마천루의 공사가 시작된다. 물론 완공까지는 하염없는 시간이 소요되고, 완공 시점이 되면 돈잔치가 끝나게 되어버리니, [[머피의 법칙]] 마냥 어쩔 수 없이 성립되는 것이다. [[모듈러 건축|모듈러 공법]] 등 신공법을 이용해 어떻게든 공사 기간을 줄이려는 것도, 거품이 꺼지기 전에 빨리 완공해서 분양해 줘야 건설사 입장에서도 이득이 되기 때문이다. 다만 1930년대에 지어진 두 빌딩만은 예외인데, 서로 마천루 경쟁을 벌이던 [[크라이슬러 빌딩]]과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이 그렇다. 두 빌딩은 짓는데 단 '''1년''' 밖에 걸리지 않았으며, 심지어 당시는 [[세계대공황|대공황]]이 막 시작되던 시기였다. 이 경우는 후술할 허영의 높이 문단에서 다룬다. === [[허영#s-1]]의 높이 === 땅값이 비쌀수록 건물을 높게 짓는 게 효율적이기 때문에, 마천루를 짓는다는 것은 그 지역의 땅값이 정점을 찍은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하지만 일부 도시에서는 땅 문제보다는 그냥 돋보이기 위해서 마구잡이로 짓기도 한다. 사실 '허영의 높이'라고, 신흥국들이 자신의 부를 과시하려 하거나 독재정권이 정권의 치적으로 삼겠다는 욕망 때문에 마천루를 줄줄이 짓는 경우도 많다. 물론 이 역시 후대에 경제적 부담을 전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큰 틀에서 보면 이것 역시 마천루의 저주에 해당한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류경호텔]][* 심지어 세계에서 가장 악명높고 비싼 건축물이란 표현을 받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whTuujpb0Q|#]]]이 꼽힌다. ([[https://www.hani.co.kr/arti/economy/property/797320.html|한겨레 기사]]) '허영의 높이'는 초고층 빌딩은 물론이고, 소형 빌딩 등 일반적인 건물에도 적용된다. 특히 발주자의 허영이 크게 작용하는데, 이런 허영이 과도한 대출 등 리스크 관리 부실로 이어지는 일도 많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모종의 사유로 발주자가 흔들리기도 하는데, 이로 인해 공사 대금을 제 때 지급하지 않아 [[유치권]]에 들어가거나 아예 [[폐건물]]이 되는 일도 수두룩하다. 이렇게 공사가 중단되기라도 하면 당연히 시간적인 면에서도 손해이기 때문에, 결국 소형 건물이라고 마천루의 저주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단지 마천루에 비해 경제적 악영향이 적을 뿐이지, 주변 환경이 흉흉해지는 등의 사회적 악영향은 마천루와 다를 게 없다. 비슷한 사례로, [[이스터 섬]]의 경우 자원이 고갈될수록 더 큰 [[모아이]]를 지으려 했다고 한다. 크게 할수록 이득이 커질 거라는 막연한 기대 때문이었다고 하는데, 그런 이치로 보면 이 역시 넓은 의미에서 마천루의 저주에 부합한다. 종교적인 설도 있고 부족간 경쟁이라는 설도 있는 등 다양한 설이 있지만, 큰 틀에서 보면 비슷하다. == 사례 == *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완공된 [[1931년]]은 [[세계 대공황]] 중이었다. * [[세계무역센터(붕괴 이전)|세계무역센터]]와 [[시어스 타워]] 세계무역센터는 [[9.11 테러|말이 필요없고]], 시어스 타워는 [[1970년대]] [[오일 쇼크]]로 사상 최악의 [[스태그플레이션]] 발발. 그리고 이 건물을 지었던 시어스는 1970년대로 들어서면서 끝도 없는 추락을 거듭하다가 결국 미국 최대의 유통업체 자리를 [[월마트]]와 [[아마존닷컴]]에게 넘겨준 뒤 2018년 파산한다. * [[도쿄도청]], [[요코하마 랜드마크 타워]] 각각 1991년, 1993년 완공.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일본|잃어버린 10년]]이 시작되었다. *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1997년]] 말 [[아시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로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대한민국]], [[홍콩]], [[러시아]], [[아르헨티나]] 순으로 위기를 맞았다. * [[부르즈 할리파]] [[2010년]], [[두바이]] 정부는 [[디폴트]]를 선언했다. == 참고 == * [[http://youtu.be/cCz3bZbsWtk|최진기의 뉴스위크]] == 관련 문서 == * [[경제 관련 정보]] * [[올림픽의 저주]] * [[마천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