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브라질의 축구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zinho.jpg|width=100%]]}}} || ||<-2> {{{#000000,#e5e5e5 ''' 이름 ''' }}} || {{{+1 '''마지뉴'''}}}[br]'''Mazinho''' || ||<-2> {{{#000000,#e5e5e5 ''' 본명 ''' }}} ||이우마르 두나시멘투[*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용례상 [[로망스어]]권 인명의 전치사 및 관사는 뒤 요소와 붙여 적도록 하고 있다.][br]Iomar do Nascimento || ||<-2> {{{#000000,#e5e5e5 ''' 출생 ''' }}} ||[[1966년]] [[4월 8일]] ([age(1966-04-08)]세) /[br]브라질 [[파라이바]]주 산타 히타 || ||<-2> {{{#000000,#e5e5e5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 ||<-2> {{{#000000,#e5e5e5 ''' 신체 ''' }}} ||[[키(신체)|키]] 176cm / [[체중]] 74kg || ||<-2> {{{#000000,#e5e5e5 ''' 직업 ''' }}} ||[[축구선수]]([[수비형 미드필더]], [[풀백]] / ^^은퇴^^)[br] 축구감독 || ||<|2>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CR 바스쿠 다 가마]] (1985~1990)[br][[US 레체]] (1990~1991)[br][[ACF 피오렌티나]] (1991~1992)[br][[SE 파우메이라스]] (1992~1994)[br][[발렌시아 CF]] (1994~1996)[br][[RC 셀타 데 비고]] (1996~2000)[br][[엘체 CF]] (2000~2001) [br] [[EC 비토리아]] (2001) || || {{{#000000,#e5e5e5 ''' 감독 ''' }}} ||[[아리스 테살로니키 FC]] (2009) || ||<-2> {{{#000000,#e5e5e5 '''국가대표''' }}} ||35경기^^([[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 1989~1994)^^ || ||<-2> {{{#000000,#e5e5e5 ''' 가족 ''' }}} ||장남 [[티아고 알칸타라]] [br] 차남 [[하파에우 아우칸타라]]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Mazinho_Brazil_National_Soccer_Team.jpg|width=100%]] || || '''{{{#007000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시절 마지뉴}}}''' || [[브라질]]의 축구인으로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의 [[1994 FIFA 월드컵 미국]] 우승 주역들 중 한 명이었고 [[티아고 알칸타라]]와 [[하파에우 아우칸타라]]의 아버지이다. 현역 시절에 포지션은 [[미드필더]]였다. 수비적인 성향이 강해서 보통은 수비형 미드필더나, 중앙 미드필더로 나왔고 때에 따라서는 오른쪽 측면 수비수도 소화할 수 있었다. [[http://naver.me/GfZAIhJ1|마지뉴에 관한 자세한 기사]] == 국가대표 경력 == 1989년 5월에 있었던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페루]]와의 친선경기를 통해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카나리아 군단]]에 데뷔한 마지뉴는 다음해에 열린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에 등번호로 18번을 달고 참가했다. 하지만 카나리아 군단은 16강에서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의 [[클라우디오 카니자]]에게 결승골을 헌납하며 0대 1로 패했고, 첫 월드컵은 그렇게 쓸쓸하게 끝났다. [youtube(yOjjaaLUzEM)] || [[파일:external/media.balls.ie/bebeto-brazil-celebration-world-cup-1994.jpg|width=100%]] || || {{{#008558 '''1994 미국 월드컵 8강 네덜란드전 [[베베투]]의 득점 후 동료들과 함께 펼친 요람 세리머니'''[*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마지뉴, [[베베투]], [[호마리우]]다.]}}} || 다음 월드컵이었던 [[1994 FIFA 월드컵 미국|1994년 미국 월드컵]]에서도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해 등번호로 17번을 받고 미드필더 혹은 윙어 포지션에서 뛰면서 이번에는 브라질의 월드컵 우승에 기여했다. 특히 그는 [[베베투]]가 8강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전에서 득점을 올리고 아들의 탄생을 자축하는 ''''요람 세리머니''''를 할 때 그의 오른편에 서서 [[호마리우]]와 함께 [[골 세리머니]]를 펼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마지뉴는 이 대회에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으나 경기 중에 어이없는 실수들을 한 것이 흠이었다.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과의 4강전에서 호마리우가 골키퍼까지 제치고 밀어넣은 슛을 수비수가 겨우 걷어냈는데 볼이 마지뉴 앞으로 갔고 마지뉴 앞에는 빈 골대밖에 없었으나, 이를 옆그물로 차 하마터면 브라질을 월드컵 4강에서 탈락시킬 역적이 될 뻔 했다. 그러나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와의 [[1994 FIFA 월드컵 미국/결승|결승전]]에서는 전반전에 브랑쿠의 프리킥을 [[잔루카 팔리우카]]가 넘어지며 가까스로 쳐냈고 이것이 다시 마지뉴 앞에 굴러갔으나 크로스를 올리려는 도중 발이 꼬이는 바람에 공은 골라인 밖으로 나가고 자기 혼자 그라운드에 뒹구는 [[https://youtu.be/u4II9i77Ijs?t=181|역사적인 몸개그]]를 선보였다. 그 때문인지 이 해는 마지뉴가 국가대표로 뛴 마지막 시즌이 되었다. [[분류:1966년 출생]][[분류:1985년 데뷔]][[분류:2001년 은퇴]][[분류:파라이바주 출신 인물]][[분류:브라질의 축구선수]][[분류:브라질의 축구감독]][[분류:CR 바스쿠 다 가마/은퇴, 이적]][[분류:US 레체/은퇴, 이적]][[분류:ACF 피오렌티나/은퇴, 이적]][[분류:SE 파우메이라스/은퇴, 이적]][[분류:발렌시아 CF/은퇴, 이적]][[분류:RC 셀타 데 비고/은퇴, 이적]][[분류:엘체 CF/은퇴, 이적]][[분류:EC 비토리아/은퇴, 이적]][[분류:아리스 테살로니키 FC/역대 감독]][[분류:브라질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참가 선수]][[분류:1994 FIFA 월드컵 미국 참가 선수]][[분류:1989 코파 아메리카 브라질 참가 선수]][[분류:1991 코파 아메리카 칠레 참가 선수]][[분류:브라질의 올림픽 축구 메달리스트]][[분류:1988 서울 올림픽 축구 메달리스트]][[분류:축구 선수 자녀]][[분류:FIFA 월드컵 우승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