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마조앤새디의 주연이자 작가, rd1=정철연, other2=마조히즘, rd2=마조히즘, other3=플레잉 카드, rd3=마조(플레잉 카드), other4=이탈리아의 축구선수, rd4=크리스티안 마조)]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545, #00386a 20%, #00386a 80%, #002545)" {{{#ffd700 '''청 비황족 추존 천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0%, #000 20%, #000 80%, #000); color: #fff" '''호국천후[br]{{{+1 媽祖 | 마조}}}'''}}}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friendlyshandong.co.kr/fs_201310233735.jpg|width=100%]]}}} || ||<-2> {{{-2 {{{#fff 중화권의 도교 사당에 세워진 전통적 형상.}}}}}} || ||<|2> '''출생''' ||960년 || ||[[북송]] 푸젠성 보전 미주도[br](現 [[중화인민공화국]] 푸젠성) || ||<|2> '''사망''' ||976년 또는 987년 || ||북송 미봉 또는 물가 [br] (現 [[중화인민공화국]])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씨''' ||임(林) || || '''휘''' ||묵(默) || || '''부친''' ||임씨(林氏) || || '''모친''' ||불명 || ||<|4> '''시호''' ||영혜현제가응선경비[br](靈惠顯濟嘉應善慶妃)[* [[남송]] [[송이종]] 추시.] || ||호국비민묘령소응인자천후[br](護國庇民妙靈昭應仁慈天后)[* [[강희제]] 추존.] || ||호국비민묘령소응굉인보제복우군생성감함부현신찬순수자독호안란리운택담해우천후[br](護國庇民妙靈昭應宏仁普濟福佑群生誠感咸孚顯神贊順垂慈篤祜安瀾利運澤覃海宇天后)[* [[도광제]] 추존.] || ||호국비민묘령소응굉인보제복우군생성감함부현신찬순수자독호안란리운택담해우념파선혜도유연경정양석지은주덕부위조보태진무수강천후신[br](護國庇民妙靈昭應宏仁普濟福佑群生誠感咸孚顯神贊順垂慈篤祜安瀾利運澤覃海宇恬波宣惠道流衍慶靖洋錫祉恩周德溥衛漕保泰振武綏疆天后之神)[* [[함풍제]] 추존.] || }}}}}}}}} || [목차] [clearfix] == 개요 == {{{+3 [[媽]][[祖]]}}}[* [[대만어|복건 방언]]으로 má-tsóo(마쪼)라 읽는다.] [[중국 신화]]에서 항해를 수호하는 낭랑신([[여신]]). [[관세음보살]] 신앙이 중국 복건의 민간신앙과 합쳐져 만들어진 신으로 추측된다. [[도교]] 신앙이 퍼진 [[한자문화권]] 각지에서 숭배됐다. [[중화권]]에서 세워지는 도교 사당들 가운데 [[관우]]와 더불어 가장 많은 수를 다투며, 화교들이 있는 곳이라면 관우 혹은 마조 사당이 세워져 있다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파일:external/pic.pimg.tw/b9af3960a359e0a5355aedb258f5fc60_n.jpg]] 서양식 미인 형상. [[대만]] [[타이난]] 안핑(安平) 해안의 린모냥 공원(林默娘公園)에 세워졌음. [[파일:external/www.taiwantoday.tw/551413591171.jpg]] 그녀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신화가 전해온다. [[당나라]] [[당현종|현종]] 시절 [[푸젠성]]의 해안가 [[푸톈|푸톈현]]에서 살던 임씨의 딸로, 그의 아내가 [[관세음보살|관음]]으로부터 우담바라 꽃을 받아먹은 후 태기가 있어 마조를 낳았는데, 어릴때부터 총명하고 신기가 있었으며, 병을 치유하거나 예언을 하는 능력도 보였다. 그녀의 오빠 4명이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간 어느 날, 마조가 집에서 베를 짜다 기절해서 부모가 놀라 흔들어 깨우자, 마조는 '오빠들이 풍랑으로 위험해서 도우려 했는데, 너무 일찍 깨우셔서 큰오빠는 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부모는 무슨 말인지 몰라 어리둥절했지만, 얼마 후 아들들이 돌아오더니 차남이 '풍랑이 거세게 일었는데 신녀가 나타나서 나와 동생들은 구해줬지만 형의 배는 그만 침몰해서 형이 실종됐다'고 하였다. 이후에도 날씨를 예측하고, 약을 만들고, 환자들을 치료하고, 조난당한 어선의 생존자를 구조하는 등의 일을 하며 일생 동안 마을 사람들을 도우며 살다가, 28세 때 난파선의 선원을 구하던 중 익사했다. 마을 사람들은 마주를 위해서 사당을 세우고, 바다의 여신으로 경배하기 시작했다고 전해진다. == 중화권 민간 신앙에서의 위상 == [[파일:external/heritage.unesco.or.kr/hd10_195_i8-1024x707.jpg]] [[송나라#s-3|송(宋)나라]] 시절인 1123년 조정에서 하사한 천후, 天上聖母[* thian-siōng-sìng-bú(텐숑싱부)], 성모낭랑 등의 칭호로 불렸으며, 이 이름들에서 알 수 있듯 [[벽하원군]]과 함께 가장 높은 낭랑신으로 여겨진다. 마조의 사당은 중국 동남부, 혹은 대만처럼 지리적으로 바다와 깊이 연관된 지역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이들 지역에서는 해마다 마조를 기리는 축제도 개최한다. 한국에서는 인천 차이나타운에 위치한 중국식 사당 [[의선당]]에서 관우 등과 함께 5대 주신으로 자리잡은 모습을 볼 수 있다. 2009년에는 마조 신앙 관련 행사들이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http://heritage.unesco.or.kr/ichs/mazu-belief-and-customs|등재되었다.]] [[http://webbuild.knu.ac.kr/~china/CHR/chr2010/chr68/chr68-07LeeGG.pdf|(참고자료)중화권의 마조 신앙에 관한 논문]] [[파일:external/pic.pimg.tw/1379254884-2268781708.jpg]] 명나라 시대 중국의 대항해를 지휘했던 [[정화(명나라)|정화]](鄭和) 제독과 휘하 선원들도 항해 기간 동안 마조 신앙에 의지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파일:external/e.share.photo.xuite.net/922359448_m.jpg]] 이러한 전통적, 대중적인 인기를 반영한 듯, 마조 신화는 대만을 중심으로 여러 차례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으로 영상화된 바 있다. [[중화민국]]([[대만]])의 영토인 [[마쭈]] 열도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왔다. 한자 표기는 馬祖이지만 발음은 같다. [[마카오]] 역시 현지 광동인들이 마조의 사당인 마조각(媽祖閣)을 말하는 것을 [[포르투갈인]]들이 지명으로 착각한 데서 유래했는 설이 있다. == 기타 == [[대만일치시기|일본 통치 시기의 대만]]에서는 신흥 종교(라기 보단 [[사이비 종교]]에 가까운) 천모교(天母教)가 [[일본 신화]]의 [[아마테라스]]를 마조와 같은 신의 위치에 놓고 일본과 [[천황]] 충성을 강조하며 포교를 한 바 있다. 일본 패전과 함께 천모교는 광속으로 사라졌고 남겨진 자산은 [[중국 국민당]]에 귀속됐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분류:중국 신화]][[분류:화폐의 도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