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표준중국어]] : 马吊 (Mǎdiào) [[마작패]]와 [[투전]]의 조상 격되는 놀이용 카드. 이름의 유래는 말좆(...) 중국 [[원나라]] 때 만들어진 40장 [[플레잉 카드]]. [[명나라]] 시대에 엽자희(葉子戱) 혹은 엽자패(葉子牌)라는 40장의 덱[* 십자(十字),만자(萬字),삭자(索子),동전(文錢) 네 가지 모양의 숫자 1~9 각 9장 + 꽃패 4개]에 영향을 많이 주었다. 문전, 삭자, 만자, 십만자 4개의 모양이 있다. 문전(文錢)은 0,½,1~9까지 있고, 삭자(索子)(문전(文錢)을 10개씩 꿰는 밧줄), 만자(萬字)가 1~9까지 있고, 십만자(十萬子)는 2~9, 100, 1000, 10000이 있다. 문전만 수가 적을수록 강한 패가 된다. 이 덱을 가지고 우등뽑기([[트릭 테이킹]])를 하는데, 노는 방법은 4명이 8매씩 나눠가지고, 장가(선)와 산가(후)를 가린 뒤에 패를 낸다. 패를 먹지 못하면 내려놓은 나머지 8장에서 한 장을 뽑는다. 끝나면 손안에 있는 패면에 때라 점수를 매겨 순위를 결정한다. [[https://en.wikipedia.org/wiki/Madiao|같이 읽기(영 위키백과)]] [[청나라]] 시대 때에 간호(看虎) 외의 더 많은 놀이가 만들어졌다. [[수호전]] 108영웅이 모두 그려진 동관패(東莞牌)와, 마조에서 주로 1000을 제외한 십만자를 제외한 모양이 3개인 카드게임[* [[러미]]계열의 게임인 것으로 추측된다.]들이 유행했고, 이것들이 나중에 [[마작]]으로 발전되었다. 이런 관계로 마조는 [[마작패]]의 원조 취급을 받고 있다. [[강희제]]가 1691년에 금지령을 내린 적이 있었으나, 오히려 이게 마조 놀이가 황족들과 관리들 사이에 널리 유행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분류:놀이용 카드]][[분류:중국의 문화]]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마조,version=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