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식축구 선수]][[분류:1993년 출생]][[분류:로스앤젤레스 출신 인물]][[분류: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출신]][[분류:뉴올리언스 세인츠/현역]] * [[미식축구 관련 인물]] ---- [include(틀:뉴올리언스 세인츠/선수단)] ---- ||
<#000000> '''{{{#d3bc8d 마이클 토머스의 수상 이력 / 보유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e1126, #003b66)" [[내셔널 풋볼 리그|[[파일:NFL 로고.svg|width=15]]]] '''{{{#ffffff 2019년 NFL 올해의 공격수 상}}}'''}}} || || [[패트릭 마홈스]] [br] ([[쿼터백|QB]] / [[캔자스시티 치프스]]) || → || '''마이클 토머스 [br] ([[와이드 리시버|WR]] / [[뉴올리언스 세인츠]])''' || → || [[데릭 헨리]] [br] ([[러닝백|RB]] / [[테네시 타이탄스]]) || ---- ||<-2><#000000>
'''{{{#ffffff 보유 기록}}}''' || || '''단일 시즌 최다 리셉션''' || '''149회'''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chael-ThomasMichael-Thomas.jpg|width=100%]]}}} || ||<-2> '''뉴올리언스 세인츠 No.13 ''' || ||<-2> '''{{{+2 마이클 토머스}}}[br]Michael Thomas''' || || '''본명''' ||마이클 윌리엄 토머스 주니어[br]Michael William Thomas Jr. || ||<|2> '''출생''' ||[[1993년]] [[3월 3일]]||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출신 대학'''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 || '''신체''' ||191cm | 96kg|| || '''포지션''' ||[[와이드 리시버]]|| || '''프로 입단''' ||2016년 [[NFL 드래프트|드래프트]] 2라운드 47순위 [br] [[뉴올리언스 세인츠]] 지명 || || '''소속 구단''' ||'''[[뉴올리언스 세인츠]] (2016~)''' || || '''계약''' ||'''2020 ~ 2024 / $96,250,000 [*Guaranteed 60.6M]''' || || '''연봉''' ||'''2022 / $15,800,000''' || || '''수상''' ||'''NFL Offensive Player of the Year (2019)''' [br] 2× First-team All-Pro (2018, 2019) [br] 3× Pro Bowl (2017–2019) [br] 2× NFL receptions leader (2018, 2019) [br] NFL receiving yards leader (2019) || || '''기록''' ||'''Highest single-season receptions''' || [목차] [clearfix] == 개요 == [[뉴올리언스 세인츠]]의 소속 와이드 리시버. 현재 매우 촉망받는 선수 중 하나이다. == 내용 == [[드류 브리스]]와 호흡을 맞추고 있는 리시버이다. 2019시즌 16주차에 테네시 타이탄스와의 경기에서 12개의 리시빙을 추가하며 기존에 [[마빈 해리슨]]이 2003시즌에 달성한 143개를 넘은 한 시즌 최다 리시빙 기록을 경신하였다. 이번 시즌의 퍼포먼스 상으로는 현재 리그 최고의 리시버로 볼수 있다. 이 활약으로 결국 2019년 Offensive Player of the Year의 수상자가 되었다. 2020시즌 한동안 부상으로 결장 후 5주차 차저스와의 경기에 출전할 예정이었으나 경기 전날 팀동료에게 주먹을 날리면서(...) 징계를 받아 나오지 못했고 브리스는 차저스의 숨막히는 수비에 1, 2쿼터 내내 지옥을 보았다. 그리고 그 이후로도 이전 시즌과 같은 활약상을 보이지는 못하며 존재감이 없는 시즌을 보냈다. 그리고 팀이 디비저널 라운드에서 탈락하고[* 해당 경기에서도 토마스의 존재감은 미미했는데, 러싱에서 맹활약하던 [[알빈 카마라|카마라]]와 대조적인 활약을 보였다.] 브리스가 은퇴를 선언할 것이 유력해지면서 그 또한 팀을 떠날지 모른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그리고 실제로 시즌 시작 전 트레이드를 요청한다. 그러나 본인이 부상을 당했다. 또 개막전 출장 불가고 유리몸이 된 게 아닌지 걱정이나 해야할 상태다. 그리고 2021시즌에는 재활이 늦어지는 느낌을 보이다가 결국 스스로 시즌 아웃을 선언하였다. 브리스의 은퇴에도 불구하고 나름 선방하던 팀에 찬물을 끼얹는 상황이다. 2022시즌에는 시즌 초반에 출전해 좋은 활약을 보이며 드디어 부상의 마수를 떨쳐낸듯 싶었으나, 3주차까지 뛴 후 다시 부상이 재발하면서 이탈했고 결국 수술이 다시 필요해지면서 시즌아웃이 확정되었다. 5년 100밀로 연장계약한 뒤 3년간 10경기에 출장하면서 희대의 FA먹튀 확정. --한해에 3경기만 뛰고 20밀 꺼억~-- == 여담 == * 키보드워리어 기질에, 오프필드 이슈가 많은 선수. * 별명은 Can't Guard Mike, 줄여서 CGM. 트위터 핸들도 이를 따왔다. 하지만 선술된 이슈와 더불어 평판이 좋지 않고, 커리어 말년 팔힘이 완전히 나락으로 가버린 [[드류 브리스]]의 한계점 때문에 주구장창 단거리 슬랜트(slant) 루트를 타게 되어 엄청난 캐치수를 쌓으면서 팬들 사이에서는 '''slant boy'''라는 별명으로 더 유명하다. 본인은 당연하지만 이 별명을 매우 싫어한다고. == 연도별 기록 == ||<|2> '''{{{#ffffff 시즌}}}'''||<|2>'''{{{#ffffff 소속팀}}}'''||<|2>'''{{{#ffffff 출장[br]경기}}}'''||<-6>'''{{{#ffffff 리시빙}}}'''||<-4>'''{{{#ffffff 러싱}}}'''||<-2>'''{{{#ffffff 펌블}}}'''|| || '''{{{#000000 타겟}}}'''||'''{{{#000000 리셉션}}}'''||'''{{{#000000 성공률}}}'''|| '''{{{#000000 리시빙[br]야드}}}'''|| '''{{{#000000 평균[br]야드}}}'''|| '''{{{#000000 터치[br]다운}}}'''|| '''{{{#000000 시도}}}'''||'''{{{#000000 야드}}}'''|| '''{{{#000000 평균[br]야드}}}'''|| '''{{{#000000 터치[br]다운}}}'''|| '''{{{#000000 펌블}}}'''|| '''{{{#000000 리커[br]버리}}}'''|| || 2016 ||<|5> [[뉴올리언스 세인츠|NO]] || 15 || 121 || 92 || 76 || 1137 || 12.4 || 9 || - || - || - || - || 2 || 2 || || 2017 || '''16''' || 149 || 104 || 69.8 || 1245 || 12 || 5 || - || - || - || - || - || - || || 2018 || '''16''' || 147 || '''125''' || 85 || 1405 || 11.2 || 9 || - || - || - || - || 2 || 1 || || 2019 || '''16''' || 185 || '''{{{#FF0000 149}}}''' || 80.5 || '''1725''' || 11.6 || 9 || 1 || -9 || -9 || 0 || 1 || 0 || || 2020 || 7 || 55 || 40 || 72.7 || 438 || 11 || 0 || 1 || 1 || 1 || 0 || - || - || |||| [[NFL]] 통산 [br] (5시즌) || 70 || 657 || 510 || 77.6 || 5960 || 11.7 || 32 || 2 || -8 || -4 || 0 || 5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