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b1fa2 , #7b1fa2)" {{{#fff ''' 마이클 볼튼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앨범))] ---- [include(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남성 아티스트)] ---- [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한글명=마이클 볼튼, 영어명=MICHAEL BOLTON, 분야=음악, 입성날짜=2002년 8월 27일, 위치=7018)] ---- }}} || ---- ||<-2> '''{{{+1 Michael Bolton}}}[br]마이클 볼튼'''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afc0981-ee.jpg|width=100%]]}}} || || '''본명''' ||Michael Bolotin[br]마이클 볼로틴[* Bolotin, 볼로틴은 러시아계 성씨이며 여성형으로는 Bolotina이다.] || ||<|2> '''출생''' ||[[1953년]] [[2월 26일]] ([age(1953-02-26)]세)|| ||[[코네티컷주]] [[뉴헤이븐]]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직업''' ||[[가수]] || || '''장르''' ||[[팝 음악|팝]] || || '''데뷔''' ||1975년 1집 'Michael Bolotin' || || '''활동 시기''' ||[[1975년]] ~ [[현재]] || || '''악기''' ||[[보컬]], [[기타]], [[피아노]] || || '''소속 그룹''' ||블랙잭^^(1979년~1980년)^^ || || '''레이블''' ||RCA, 컬럼비아, 자이브, 콩코드 || || '''링크''' ||[[https://michaelbolto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com/c/MichaelBoltonT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vt.tiktok.com/ZSdtta3Hd/|[[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bsings, 크기=20)] [[https://www.facebook.com/michaelbolto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instagram.com/michaelbolton?igshid=YmMyMTA2M2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api.ning.com/88708008.JSqf7XhR.MichaelBoltonTheOneThing.jpg|width=100%]]}}} || || {{{#ffffff ''' 전성기 시절 장발의 볼튼''' }}} || [[미국]]의 [[팝 음악|팝]] 가수로, 1979~1980년까지 메탈그룹 '블랙잭'의 멤버였으며, 1990년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팝 보컬상을 받기도 했다. 총합 그래미 어워드 2회 수상,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6회 수상한 보컬리스트이다. == 커리어 == 15세 때에 처음으로 레코드 계약을 한 마이클 볼튼은 1970년대 헤비메탈 그룹 활동을 통해 작곡 실력과 감수성을 연마하면서 그 이후의 솔로 아티스트로서의 주춧돌을 쌓았다. [[레이 찰스]]나 [[마빈 게이]]와 같은 R&B 거장에게 많은 영향을 받은 그는 백인 아티스트로서는 드문 목소리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예리한 작곡 실력을 바탕으로 소니와 계약을 맺고 1983년 3집 Michael Bolton을 발표하였다. 이어 1987년 5번째 앨범 The Hunger를 발매, [[오티스 레딩|오티스 레딩(Otis Redding)]]의 [[(Sittin' On) The Dock of the Bay]]를 리메이크하면서 팬들과 비평가들은 '[[블루 아이드 소울]]'로서 볼튼에게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1989년에는 여섯 번째 솔로 앨범 Soul Provider를 발매한다. 곧 이 앨범은 멀티 플래티넘을 기록하였으며, 수록곡인 'How Am I Supposed To Live Without You'[* 1983년에 마이클 볼튼이 작곡한 곡으로 [[로라 브래니건]]에게 제공해 [[빌보드 핫 100]]에서 12위, Adult Contemporary에서는 1위를 차지한 적이 있던 곡을 자신이 다시 부른 것인데 또 대박 히트를 친 것이다.]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어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팝 보컬 퍼포먼스'를 수상하게 된다. 이 곡은 라디오에서 3백만 번 이상 소개되는 진기록을 세웠으며 이로써 마이클 볼튼은 대중적인 인기와 음악적 실력 모두를 인정 받게 된다. [youtube(YFood_bTOX4)] 1991년 7번째 솔로 앨범인 Time, Love, Tenderness를 발표하며 볼튼은 전세계적인 슈퍼스타가 된다. 이 앨범은 전세계 1천 3백만 장 이상을 판매하였으며 싱글 '[[When a Man Loves a Woman#s-5]]'으로 그래미상, 미국 음악상, 뉴욕 음악상 등 수많은 상을 받게 된다. [youtube(MUuNDb-nm5M)] 아마 국내에서도 한번쯤 들어봤을 마이클 볼튼의 대표곡 [[When a Man Loves a Woman#s-5]]. 이 곡은 1966년 흑인 가수 [[퍼시 슬레지]](Percy Sledge, 1940~2015)가 불러 그의 출세곡이 되었다. 한국에서도 추억의 팝송으로 인기를 얻었고 1980년 여가수 배트 미들러가 리메이크한 바 있다. 1992년에는 커버집 Timeless (The Classics)을 발매한다. 이 앨범은 볼튼에게 영감을 주었던 R&B, 팝 스탠다드 곡들을 모은것이며 8백만장 이상이 팔렸다. 1993년에는 The One Thing을 발매한 후 더 원 씽 투어를 감행, 팬들을 매료함과 동시에 [[빌 클린턴]] 대통령의 초대를 받아 백악관에서 공연을 갖는다. 자신의 앨범을 꾸준하게 발매하면서도, 다른 아티스트에게 곡을 제공해 작곡가로서의 활약도 이어 나갔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키스]], [[케니 로저스]], [[케니 지]], [[셰어]]에게 곡을 주었으며, 특히 [[밥 딜런]]과의 함께 만든 “Steel Bars”는 커다란 인기를 모았다. 1995년 “Million Performance Song Award”에서 상을 받는다. “Million Performance Song"은 적어도 5만 시간 이상 방송된 경우를 말하며, 이것은 5.7년 이상 방송된 것과 같다. 작곡, 공연, 레코딩 등과 같은 음악에 관련된 모든 일들 중에서 단연 청중 앞에서 공연하는 것이 최고라고 말하는 마이클 볼튼은 1991-92년의 'Time, Love, Tenderness Tour', 1993-94년의 'The One Thing Tour', 1995 - 1996년의 ‘Greatest Hits Tour’까지 콘서트 투어를 계속적으로 이어나간다. 1995년 그는 Michael Bolton`s Greatest Hits을 발매한다. 이것은 10년간 음악적 성과를 축하하기 위해 만들어 졌으며, RIAA(미국음반협회)로부터 더블 플래티넘으로 공인받았다. 1996년에는 크리스마스 시즌을 위한 This Is The Time - The Christmas Album을 발매한다. 1996년 볼튼은 이탈리아 모데나에서 열린 “[[파바로티와 친구들|Luciano & Friends Together For The Children of Bosnia]]” 콘서트에서 [[루치아노 파바로티]]와 함께 공연 한다. 특히 [[자코모 푸치니]]의 오페라 [[투란도트]]의 아리아이자 파바로티를 상징하는 아리아 "아무도 잠들지 못하리라(Nessun Dorma!)'에서 엄청난 폭발력을 보여주어 파바로티를 놀라게 했다. 이 경험으로 1998년 1월 20일 소니 클래식을 통해 11곡의 오페라 아리아를 엄선하여 수록한 앨범 '''My Secret Passion: The Arias'''을 발표한다. 여기에는 [[자코모 푸치니]]의 [[토스카]]와 [[가에타노 도니체티]], [[주세페 베르디]] 등의 레퍼토리들이 담겨 있는데, 볼튼이 팝, 소울에만 국한된 싱어가 아니라는 걸 여실하게 느껴볼 수 있는 앨범이다. 이 앨범은 빌보드 클래식 차트에서 6주간 1위를 기록한다. 1997년 [[베이비페이스]]와 함께 한 앨범 All That Matters, 1999년 Timeless: The Classics, Vol.2, 2002년 Only A Woman like You, 2004년 Vintage까지, 볼튼은 비평이나 언론의 찬사, 상업적인 성공에 구애받지 않고 꾸준히 다양한 음악적 활동을 하고 있다. [youtube(oNPFbz4c3v4)] 2011년 "When A Man Loves A Woman" 라이브. 60줄의 나이에도 전성기 때 실력은 물론 외모도 변함없다. [[현대백화점]] 콘서트 주최로 내한공연이 2012년 10월 15일에 부산에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이틀 후인 17일에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공연을 하였다. 2012년 10월 15일(부산), 17일(서울) 이루어진 내한공연은 6년 만의 내한공연이니 의미가 남달랐을듯. 2013년 11월 20일 내한공연 기획 관계자를 통해 [[JTBC]]의 [[히든싱어]]에 대해 호평을 내놓음과 동시에 출연할 의사가 있다고 전해왔다. 내한공연 홍보를 겸한 루트의 일환이었겠지만 너무 갑작스럽기도 하고 모창능력자 섭외 문제 등으로 성사되진 못했다. 떡밥이 먼저 뜬 건 히든싱어였지만 뜬금없이 2014년 [[불후의 명곡|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에 '''전설'''로 출연했다. 2014년 10월 18일에 방영되었다. 립서비스도 있겠지만 여튼 출연한 가수들의 노래에 연신 미소를 머금고 감탄하며 칭찬하는 모습이 인상적. [[솔직한 예고편]]의 [[찰리와 초콜릿 공장]](원본) 편에 직접 출연해서 등장하는 노래들을 마개조한 노래들을 불러주셨다. [[데드풀]]이 솔직한 예고편에 출연했던 걸 따라해보고 싶었다나... 끝나면서는 [[캐리비안의 해적]] [[캐리비안의 해적: 죽은 자는 말이 없다|5편]] 리뷰에 자신을 불러달라고 한 건 덤이다. 2022년 3월부터 5월 9일까지 방영된 미국 [[NBC]]의 오디션 프로그램 '아메리칸 송 콘테스트'[* [[켈리 클락슨]]과 [[스눕 독]]이 진행자로 출연했다.]에 [[코네티컷 주]] 지역 대표로 참가해 결승까지 진출했다. 2023년 1월 14일~15일 [[고척 스카이돔]]에서 [[내한]] 콘서트가 개최되었다. 본래 2022년 11월 8일~9일에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이태원 참사]]로 인해 연기되었다. 그래서 마이클 볼튼은 공연하기 전 이태원 참사를 언급하며 잠시 묵념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런데 14일 공연에 [[게스트]] 무대만 2시간 가량 하거나 [[통역]]을 묵념하자는 말만 하고 그 이후로는 통역을 하지 않는 등 관객들이 불만을 토로했다. [[https://v.daum.net/v/20230114190515194|기사]] 다행히 15일 공연은 대부분 별 문제 없이 진행되었지만, 통역을 묵념하자는 말만 하고 나머지는 하지 않는 문제는 반복되었다. == 디스코그래피 및 음원 성적 == === 정규 음반 === ||<-5> '''{{{#fff Michael Bolton 앨범 차트인 기록}}}''' || || '''발매''' || '''앨범명''' || [[빌보드 200|[[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50]]]] || [[Official Charts|[[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width=50]]]] || '''비고''' || || 1975 || Michael Bolotin ||<|2> - ||<|4> - || 1집 || || 1976 || Everyday of My Life || 2집 || || 1983 || Michael Bolton || #89 || 3집 || || 1985 || Everybody's Crazy || - || 4집 || || 1987 || The Hunger || #46 || #44 || 5집 || || 1989 || Soul Provider || #3 || #4 || 6집 || || 1991 || Time, Love & Tenderness || '''#1''' || #2 || 7집 || || 1992 || Timeless: The Classics || '''#1''' || #3 || 8집 || || 1993 || The One Thing || #3 || #4 || 9집 || || 1996 || This is the Time: The Christmas Album || #11 || #93 || [[캐럴]], 10집 || || 1997 || All That Matters || #39 || #20 || 11집 || || 1998 || My Secret Passion || #112 || #25 || 12집[* 엄선된 오페라와 [[아리아]] 11곡을 부르는 볼튼의 가창력을 만끽할 수 있는 음반이다. 레퍼토리는 [[자코모 푸치니]], [[가에타노 도니체티]], [[주세페 베르디]] 등이다.] || || 1999 || Timeless: The Classics Vol.2 || - || #50 || 13집 || || 2002 || Only A Woman Like You || #36 || #19 || 14집 || || 2003 || Vintage || #76 || #23 || 15집 || || 2005 || 'Til the End of Forever || #128 || - || 16집 || || 2006 || Bolton Swings Sinatra || #51 || #54 || 17집[* [[프랭크 시나트라]] 다시 부르기] || || 2007 || A Swingin' Christmas || - || #196 || [[캐럴]], 18집 || || 2009 || One World One Love || #166 || #19 || 19집 || || 2010 || Live at the Royal Albert Hall || - || - || 20집 || || 2011 || Gems: The Duets Collection || #128 || #11 || 21집 || || 2013 ||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 A Tribute To Hitsville U.S.A. || #38 || #19 || 22집 || || 2017 || Songs Of Cinema || #177 || #46 || 23집 || === 싱글 === ||<-5> '''{{{#fff Michael Bolton 싱글 차트인 기록}}}''' || || '''발매''' || '''곡명''' || [[빌보드 핫 100|[[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50]]]] || [[Official Charts|[[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width=50]]]] || '''비고''' || || 1983 || Fool's Game || #82 ||<|2> - || || ||<|2> 1987 || That's What Love Is All About || #19 || || || [[(Sittin' On) The Dock of the Bay]] || #11 || #77[* 1996년 재발매판이 35위를 기록한다.] || || 1988 || Wait on Love || #79 || - || || ||<|2> 1989 || Soul Provider || #17 || #77 || || || How Am I Supposed to Live Without You || '''#1^^3주^^''' || #3 || || ||<|3> 1990 || How Can We Be Lovers? || #3 || #10 || || || When I'm Back on My Feet Again || #7 || #44 || || || Georgia on My Mind || #36 || #94 || || ||<|3> 1991 || Love Is a Wonderful Thing || #4 || #23 || [* [[The Isley Brothers]]의 동명 곡을 표절했다는 판정을 받아 5백만 달러 가량을 배상해야 했다.] || || Time, Love, and Tenderness || #7 || #28 || || || [[When a Man Loves a Woman#s-5]] || '''#1^^1주^^''' || #8 || || ||<|5> 1992 || Missing You Now || #12 || #28 || [* with [[Kenny G]]] || || Steel Bars || - || #17 || || || To Love Somebody || #11 || #16 || [* [[Bee Gees]]의 곡을 커버] || || Drift Away ||<|2> - || #18 || || || Reach Out I'll Be There || #37 || || ||<|2> 1993 || Said I Loved You...But I Lied || #6 || #15 || || || Soul of My Soul || - || #32 || || ||<|2> 1994 || Completely I Lied || #32 || - || || || Lean on Me || - || #14 || || || 1995 || Can I Touch You...There? I Lied || #27 || #6 || || || 1996 || A Love So Beautiful || - || #27 || || ||<|2> 1997 || Go the Distance || #24 || #14 || || || The Best of Love || - || #14 || || || 2002 || Dance with Me ||<|2> - || #102 || || || 2009 || Just One Love || #153 || || || 2011 || Jack Sparrow || #69 || #133 || [* with [[The Lonely Island]]] || == 여담 == * 부모님이 유대계 러시아인 이민자다. * 젊었을 적에는 잘생긴 외모에다 금발을 치렁치렁 휘날리고 다녀 여성팬들이 넘쳐났었다. 나이가 들어서도 미노년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g.poptower.com/michael-bolton.jpg|width=100%]]}}} || * 대중의 평가와 평론가들의 평가가 극을 달리는 대표적인 뮤지션 중 한 명이다. 대중들은 그의 음악에 열광하지만, 평단에서는 그를 가루가 되도록 깐다. 평론가들의 비판은 [[싱어송라이터]]임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상업성에 집착하여 성공 패턴을 답습한다는 점 등이 주요 내용이다. 실제로 다른 가수의 히트곡을 많이 커버했고 커버 곡으로 가득찬 앨범도 서너 장 발표했다. 대표곡인 How Am I Supposed to Live Without You는 1983년 자신의 작곡해서 주었던 [[로라 브래니건]]의 곡을 커버했고, [[When a Man Loves a Woman#s-5]]은 1966년 [[퍼시 슬레지]]가 부른 곡을, [[(Sittin' On) The Dock of the Bay]]은 [[오티스 레딩]]의 곡을 커버했다. 다만 '''How Am I Supposed to Live Without You'''는 상술했듯이 자기 자신이 작곡해서 남에게 준 곡이었다는 걸 감안할 수 있다. * 보컬리스트로서 볼튼은 굉장히 [[허스키]]한 음색인데도 고음까지 끌어올릴 수 있는데다 특유의 감성까지 곁들여져 호소력이 아주 진한 보컬리스트이다. 특히 한국인들의 노래 취향에도 부합해 상당히 좋아하지만, 미국 평론가들은 감정과잉이라거나 볼튼의 보컬이 답답하다고 비판하는 경우도 꽤 있다고 한다. * [[론리 아일랜드]]의 곡인 [[잭 스패로우]]에 피처링한 볼튼이 뮤직비디오에 출연하면서 한 분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nerdreactor.com/the-lonely-island-michael-bolton-jack-sparrow.jpg|width=100%]]}}}|| || {{{#ffffff ''' [[http://www.youtube.com/watch?v=GI6CfKcMhjY|뮤직비디오 링크]]'''}}} || * [[론리 아일랜드]]와 작업을 같이한 곡도 좋다. [[http://blog.naver.com/middleincome/120146003252|예를 들어 이렇게...]] 뮤직비디오의 내용은 론리 아일랜드의 음악에 볼튼이 피처링을 하러 왔는데, 하필이면 그 직전까지 캐리비언의 해적 시리즈를 감상하다 와서[* pirates of the carribean marathon이라고 하는데 영어에서 영화시리즈 뒤에 marathon을 하면 그 시리즈를 연속으로 계속해서 보는 걸 의미한다. 한국어로 정주행과 비슷] 잭 스패로우에 심취한 나머지 클럽에 가서 여자들한테 작업거는 노래인데 "캡틴 잭! 조니 뎁!"같은 엄한 추임새와 잭 스패로우를 찬양하는 후렴구를 부른다. 더 가관인 것은 멤버들이 "집중 좀 해주세요!"라고 태클걸자 "접수됐어! 다른 영화로 가지!"라고 하더니 [[포레스트 검프]], [[에린 브로코비치]], [[스카페이스(1983년)|스카페이스]]까지 나온다. 실제 뮤직비디오 제작 과정에서 론리 아일랜드가 볼튼에게 피쳐링 요청을 했다고 한다. 볼튼은 "그 녀석들은 정말 재밌지만, 그래도 명색이 내가 바티칸 같은 곳(소위 말해 점잖은 곳)에서 공연해달라고 요청이 오는 사람인데!"라고 생각해 난색을 표했다고 한다. 그간 이들의 곡에서 나온 욕설이나 비속어를 걱정한 것. 그러나 론리 아일랜드 멤버들이 볼튼을 집요하게 설득했고, 결국 용어를 약간 손보는 선에서 동의했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볼튼은 녹음 과정이나 론리 아일랜드의 직업 의식에 대해 대단히 감명받았다고. 참고로 이 "볼튼스러운" 후렴구를 실제로 만든 건 론리 아일랜드라고 한다. [[http://www.ew.com/article/2011/05/09/michael-bolton-snl-jack-sparrow-lonely-island|참고]] * [[루치아노 파바로티]]가 기획한 자선 콘서트에 출연한 적도 있다. 보스니아 때 출연해서 오페라 [[투란도트]]의 아리아인 '아무도 잠 들지 못하리'(한국에서는 '공주는 잠 못 들고'로 오역되어 알려짐)를 열창했다. 클래식에 조예가 있는지 상당한 실력을 보여주었으며 이후 파바로티와 수차례 공연은 함은 물론 [[플라시도 도밍고]]와도 공연을 가진 적이 있다. * [[못말리는 람보]]에 따르자면 마이클 볼튼이 자신의 [[탈모]]에 관해서 [[대머리]]에 비하면 머리숱이 많고 [[가발]]을 쓰면 감쪽 같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 [[분류:미국 남가수]][[분류:1953년 출생]][[분류:1975년 데뷔]][[분류:뉴헤이븐(코네티컷) 출신 인물]][[분류:러시아계 미국인]][[분류:유대계 미국인]][[분류: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