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독일의 [[마우저]]사가 개발하거나 생산한 [[소총]]들을 일람하는 문서. == 목록 == === [[볼트액션]] 소총 === ==== [[게베어 1871]] ==== [[파일:external/www.militaryrifles.com/71M01.jpg|width=6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게베어 1871)] 위원회 소총으로도 불리는 [[게베어 1888]]의 경우 '''의도적으로''' 마우저를 배제하고 계획/제조되었다. ==== M1889 (벨지안 마우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u_M36.jpg|width=100%]]}}} || || 개량형인 M1889/36 || 벨기에군에 제식채용되었기에 벨기에산 마우저라고도 부른다. 최초로 스트리퍼 [[탄 클립]]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M1893 (스패니쉬 마우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ttoman-Rifle-Mauser-Model-1893-Full-left.png|width=100%]]}}} || || '''M189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00px-1916-Spanish_Mauser-.jpg|width=100%]]}}} || || '''M1916''' || [youtube(MaLjJkteJ3I)] 스패니쉬 마우저로도 불린다. [[탄창#s-4.1.4.2|복열식]]을 적용한 5발 [[탄창#s-4.1.2|내부탄창]]이 적용되었고, 이에 맞춰 같이 개발된 [[탄피#s-4.2|림리스]] 탄약인 마우저의 7x57mm탄을 같이 구입하기로 계약해, 초기에는 마우저 공장에서 제조하다가 1896년부터 스페인 내에서 생산하기 시작했다. [[제1차 세계 대전|1차 대전]] 당시 [[독일 제국]]과 동맹이었던 [[오스만 제국]]이 제식채용하여 1차 대전 내내 오스만 제국군이 사용했다. 그 외에도 [[벨기에군]]도 사용했다. [[미국-스페인 전쟁]] 당시 스페인군이 사용했는데, [[후장식]] [[스프링필드 M1873]]이나 [[크라그-에르겐센]]을 사용하고 있었던 미 육군은 이에 호되게 당하고[* 같은 전투에 참여했던 미 해병대는 [[리-네이비|리 네이비 M1895]] 소총을 사용했고, 이쪽은 오히려 화력에서 상당한 우세를 보였다.] 1903년 마우저사에 25만 달러[* 어떤 자료에서는 300만 달러인 경우도 있다.]의 로열티를 지불하여 마우저계열 소총을 참고하여 [[스프링필드 M1903]]을 개발하게 되었다. 현재도 [[스페인군]]에서 [[의장대]] 총기로 사용된다. [[Hearts of Iron IV]]에서 스페인의 1918년형 보병 장비로 등장한다. ==== M1895 (칠리언 마우저) ==== [[파일:Model_1899_Serbian_Mauser.jpg|width=600]] 1895년 칠레에 수출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세르비아 왕국]]이나 [[청나라]]를 제외하면 대부분 남미의 국가에 수출되었다. ==== M1896 (스웨디시 마우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freeexistence.org/m1896_right.jpg|width=100%]]}}} || || '''m189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dutchman.rebooty.com/navy11.jpg|width=100%]]}}} || || '''m/9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s30.fotki.com/rifle2-vi.jpg|width=100%]]}}} || || '''m/9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icturearchive.gunauction.com/7668b45350d63cab509a34e636e1bd81.jpg|width=100%]]}}} || || '''m/3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icturearchive.gunauction.com/swede41.jpg|width=100%]]}}} || || '''m/4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eaDzUieuS4)]}}}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GFPbXqBPOA)]}}} || || [[Forgotten Weapons]]의 m/94 & m/94-14 리뷰 영상 || [[hickok45]]의 m/96 리뷰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b4RnW3stWk)]}}}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2Uoxg-Nsa8)]}}} || || hickok45의 m/38 리뷰 영상 || Forgotten Weapons의 m/41B 리뷰 영상 || 스웨디시 마우저로도 불린다. m1893을 토대로 [[6.5mm#s-1.6|6.5x55mm]]를 사용하도록 변경되었으며, 이외에 요청에 따라 독특한 디자인 요소가 포함되었다. 기병용 m/94와 긴 소총 m/96, 짧은 소총 m/38, 저격소총 모델 m/41가 있다. 독일 및 스웨덴에서 제조되었는데, 스웨덴산 고급 공구강을 이용하여 강한 내구력과 내식성을 보인다는 점이 있다. 스웨덴군 외에도 겨울전쟁 및 계속전쟁 당시 핀란드군이 사용하였으며, 종전 뒤 대부분은 스웨덴에 반환되었지만 일부 몇 정은 핀란드에 남아있다. 스웨덴에서는 1950년대부터 [[Ag m/42]]가 보급되면서 퇴역하기 시작하였으나, 저격소총 모델인 m/41은 1991년까지 사용되다가 [[Arctic Warfare]]로 교체되었다. 일본의 [[아리사카]] 소총 계열([[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등)은 m1896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 [[게베어 1898]] ([[Kar98k]], [[탕크게베어 M1918|탕크게베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Gewehr_98-1.jpg|width=100%]]}}} || || '''게베어 189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rifle_Kar98k1.JPG_2.jpg|width=100%]]}}} || || '''Kar98k'''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orld.guns.ru/mauser_t-gew_1.jpg|width=100%]]}}} || || '''탕크게베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게베어 1898)] 파생형으로 카빈형인 카라비너 계열과 [[대전차소총]] 탕크게베어 M1918 등이 있다. === [[반자동소총]] === ==== [[젤프스트라더 M1916|M1916]] (젤프스트라더) ====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69f9c424189ad82e980ce3229a851d8f.jpg|width=6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젤프스트라더 M1916)]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군이 일부 사용하였던 [[반자동소총]]. ==== [[게베어 43#게베어 41|게베어 41(M)]] ==== [[파일:Gew_41M.jpg|width=6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게베어 43, 문단=3.1)] [[발터(총기회사)|발터]]사에서 납품된 소총은 게베어 41(W)으로 불린다. 국방군이 제시한 조건(Bang 시스템, 소총 표면에는 작동 시 움직이는 부분이 있으면 안 됨, 볼트액션으로도 사용이 가능해야 함.)을 반영했으나 그리 성공적이진 못했다. == 마우저 소총에 영향을 받은 소총 == * [[아리사카]]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2식 소총]])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863a847f00143cbcccfb97c6db25efb9d45d57b51f3588e1b3a963ae865efb92.jpg|width=100%]]}}}|| || 이 중 맨 밑에서 [[카르카노|3번째 소총]]은 제외. || 단, 아리사카의 화약은 프랑스의 영향을 받았고 그 이외에도 각국의 볼트액션식 소총에 전부 영향을 받은 물건이다. * [[스프링필드 M1903]] [[파일:external/www.imfdb.org/M1903Mark1.jpg|width=600]] 스페인군으로부터 노획한 M1893(스패니쉬 마우저)을 토대로 개발하였으며 [[크라그-에르겐센]]의 기능도 추가하였다. 작동 방식면에서 여러모로 마우저 계열 소총과 유사한데, 이 때문에 마우저 사가 소송을 제기하여 미 정부로부터 로열티를 받아냈다. 덕분에 1차대전 당시 독일과 싸우는 상황에서도 미국 정부는 적국의 주력소총을 생산하는 마우저 사에 성실하게 로열티를 지불했다는 재밌는 이야기가 있다. ~~자본은 국경을 초월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1차 세계대전/동맹군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보병장비)] [include(틀:2차 보어전쟁/보어 보병장비)] [include(틀:1차 세계대전/연합군 보병장비)] [include(틀:스페인 내전/국민군 보병장비)] [include(틀:스페인 내전/공화군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핀란드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벨기에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스웨덴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덴마크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노르웨이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룩셈부르크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멕시코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스페인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튀르키예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필리핀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스페인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스웨덴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파나마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볼트 액션 소총]][[분류:반자동 소총]][[분류:독일군/장비]][[분류:보병 무기/근대]][[분류:보병 무기/세계 대전]][[분류:마우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