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馬鞍山站 | Ma On Shan Station}}} ||<-6><)>[[MTR|[[파일:홍콩철도유한공사 심볼.svg|height=24&align=left]]]][[MTR(기업)|{{{#FFFFFF '''홍콩철도유한공사'''}}}]]|| ||<-6><(>{{{#ffffff,#000000 {{{+2 마온산}}}[br]{{{+1 馬鞍山 | Ma On Shan}}}}}}|| ||<-6>|| ||<:><-2>[[튄문역|{{{-1 {{{#585858,#dddddd 튄문 방면}}}}}}]][br][[항온역|항 온]][br]← 1.1 ㎞||<-2><:>[[튄마선|{{{#ffffff 튄마선}}}]]||<:><-2> [[우카이샤역|{{{-1 {{{#585858,#dddddd 우카이샤 방면}}}}}}]][br][[우카이샤역|우카이샤]][br] 1.3 ㎞ →|| ||<-6>[include(틀:지도,장소=MTR Ma On Shan Station,너비=100%,높이=225px)]|| ||<:><-6>{{{#ffffff,#000000 '''주소'''}}}|| ||<:><-6> [[홍콩]] [[구룡반도]] [[샤틴구]] 마온산[br]Between Sunshine City and Bayshore Towers,[br]Sai Sha Road[*한문 香港新界沙田區馬鞍山 西沙路新港城及海栢花園之間][*영문 Between Sunshine City and Bayshore Towers, Sai Sha Road, Ma On Shan, Sha Tin District, Hong Kong] || ||<:><-6>{{{#ffffff,#000000 '''개업일'''}}}|| ||<:><-2>[[튄마선|{{{#ffffff 튄마선}}}]]||<:><-4>[[2004년]] [[12월 21일]][* 마온산선으로 개통. 이후 [[2020년]] [[2월 14일]]에 튄마선 1단계 구간으로 편입되었고, [[2021년]] [[6월 27일]]에 튄마선 전선개통과 동시에 튄마선으로 편입되었다.]|| ||[[파일:3240px-Ma_On_Shan_Station_2020_02_part3.jpg|width=360]]|| ||<:>{{{#ffffff '''마온산역 고가역사 전경.'''}}}|| ||[[파일:3240px-Ma_On_Shan_Station_2020_02_part2.jpg|width=360]]|| ||<:>{{{#ffffff '''마온산역 승강장 모습.'''}}}|| [목차] [clearfix] == 개요 == [[홍콩]] [[신계(홍콩)|신계]] [[샤틴구]]에 위치한 [[MTR]] [[튄마선]]의 [[철도역]]으로, [[2004년]] [[12월 21일]]에 [[마온산선]]의 역으로 개업하였다. == 역 정보 ==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의 구조를 갖추고 있는 평범한 고가역이다. 역명인 마온산은 역이 위치한 샤틴구 마온산에서 따온 지명으로, 이 산의 이름은 직역하면 말 안장 산이라는 뜻이 되는데, 산 봉우리가 두개가 붙어서 난 형태가 말의 안장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어서 붙은 지명이다. 이 산은 1970년대 이전만 해도 순도가 높은 철광석이 채굴되던 곳으로, 1950~1960년 사이가 피크였는데, 매년 무려 10만톤에 달하는 양이 채굴되었다고. 하지만 철도 무한으로 나오는 게 아닌지라, 이미 꿀이 다 떨어진 이 광산은 폐광하게 되고, 이후 샤틴 일대의 간척과 동시에 얄짤없이 개발 구역으로 지정되어 현재와 같이 주거지구로 개발이 된다. 주거지역 외에도 마온산 자체가 광산 빼고는 특유의 거친 지형[* 그냥 동네 뒷산 정도가 아니라 정상의 높이만 무려 '''700미터'''가 넘는다.]으로 인해 개발이 힘든지라, 산 자체의 지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형태로, 이 산을 등산하거나 자전거를 타러 오는 사람들도 꽤 되는 편이다. 실제로 이 산을 등반하는 대회도 자주 열리는 편으로, 등반 기록을 세운 사람들도 꽤 된다. 마온산은 태풍 이름 [[망온]]의 유래가 되기도 했다.[* 홍콩의 젊은 세대는 /ʔ/와 /ŋ/을 구분하지 못하여 /ʔ/가 들어갈 자리에도 가끔 /ŋ/을 넣어 발음하는데, '망온'은 鞍을 표준인 on1 대신 ngon1으로 발음한 것을 받아적은 것으로 추정된다. 비슷한 이유로 일본어 명칭도 マーオン이 아니라 マー'''ゴ'''ン이다. 실제로 마온산을 '망온산'으로 발음하는 경우도 흔하다.] 재개발이 완료된 현재는 위 언급대로 쇼핑센터와 같은 상업지구를 중심으로 고층아파트들이 들어선 샤틴 뉴타운 못지 않은 주거지구로 탈바꿈했다. 그 중에서도 이 역은 이 일대의 중심지로, 실제로도 [[항온역]]과 [[우카이샤역]]과 함께 마온산 지역의 주거단지를 커버하는 역이다. 거기다 아직도 한창 건설중인 아파트들도 있는지라, 계속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거기다가 [[마온산선]]이 [[서철선]]과 한 노선으로 합쳐져 [[튄마선]]으로 개통된다면 이곳과 구룡반도 시내 간의 교통이 더 원활해지면 샤틴 뉴타운에 꿀릴것이 없게 된다. == 역 내부 시설 == || [[파일:MaOnShanLayout.jpg|width=540]]|| ||<:>{{{#ffffff '''마온산역 시설 안내도. [[http://www.mtr.com.hk/archive/ch/services/layouts/mos.pdf|원본(PDF)]]'''}}}|| 섬식 승강장을 가진 고가역으로, 승강장 바로 아래로 역사와 대합실이 있다. 그러나 [[타이수이항역]]처럼 에스컬레이터가 한쪽으로 쏠려있는 구조라(...). 이는 다름 아닌 마온산선의 승강장을 4량 대응에서 8량 대응으로 늘리며 이렇게 된 것으로, 차후 이용객이 늘어날 경우 확장이 될 가능성이 있다. == 역 주변 안내도 및 주변 정보 == || [[파일:MaOnShanStreet.jpg|width=540]]|| ||<:>{{{#ffffff '''마온산역 주변 안내도. 필요할 경우 [[http://www.mtr.com.hk/archive/ch/services/maps/mos.pdf|원본 PDF 파일]]을 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역세권]]으로는 정부에서 건설한 공동주거단지인 이우온 주거단지(耀安邨, Yiu On Estate), 충온 주거단지(頌安邨, Chung On Estate) 푹온가든(福安花園, Fok On Garden), 푸파이가든(富輝花園, Fu Fai Garden), 캄잉코트(錦英苑, Kam Ying Court)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정부가 아닌 기업 측에서 건설된 개인 아파트단지인 베이쇼어 타워(Bayshore Towers)등이 있다. 쇼핑몰로는 역사의 좌우로 붙어있는 꽤 큰 규모의 쇼핑몰인 마온산 플라자(Ma On Shan Plaza)와 MOSTown이 있으며, 각각 역의 A1/A2번 출구와 B번 출구와 바로 이어져 있다. 이 외에도 공립학교나 체육관 등 공공시설도 꽤 되는 편이다. [[분류:MTR 튄마선]][[분류:홍콩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2004년 개업한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