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몰년 미상]][[분류:신라의 왕비]][[분류:신라의 공주]] [include(틀:역대 신라 왕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신라 진평왕의 제1비[br]{{{+1 마야부인 | 摩耶夫人}}}'''}}} || || '''출생''' ||미상 || || '''사망''' ||미상 || ||<|2> '''재위기간''' ||'''{{{#fbe673 신라 왕비}}}''' || ||? ~ ?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경주 김씨]] || || '''휘''' ||마야(摩耶)^^?^^ / 복힐구(福肸口)) || || '''부모''' ||부 - 복승 갈문왕(福勝 葛文王) || || '''부군''' ||[[진평왕]] || || '''자녀''' ||{{{#!folding 슬하 3녀 [ 펼치기 · 접기 ] 장녀 - [[선덕여왕]] 차녀 - [[천명공주]]^^?^^ 3녀 - [[선화공주]]^^?^^}}} || || '''시호''' ||'''마야부인(摩耶夫人)''' ||}}}}}}}}} || [목차] == 소개 == 제 26대 [[진평왕]]의 첫 번째 [[왕비]]이자 제 27대 [[선덕여왕]]의 모후이다. 선덕여왕뿐 아니라 [[천명공주]]도 마야부인의 딸일 가능성이 있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성골로 여왕이 되는 덕만과 승만은 만자 돌림인데 천명과 선화는 돌림자를 쓰지 않았다. 또 [[선화공주]]의 어머니로 추정되기도 하는데 [[선화공주]] 쪽은 실존 여부가 확실치 않다. 성은 김씨, 이름은 복힐구(福肸口)라고 하는데 이걸 복승녀(福勝女)의 오기인 것으로 보기도 한다. 아버지는 복승갈문왕(福勝葛文王), 어머니는 기록에 없다. 이름의 유래는 당연히 [[석가모니]]의 어머니의 이름에서 따온 것. 진평왕이 석가모니의 아버지 이름에서 따 온 것으로 볼 때, 태어날 때부터 미래의 남편과 이름을 깔맞춤했다고 보기는 어렵고 결혼 이전 시점에 개명한 이름으로 추정된다. == 필사본 화랑세기의 기록 == 필사본 [[화랑세기]]에 따르면 [[천명공주]]와 선덕여왕의 어머니이나 정사에선 천명공주의 어머니가 누구인지 나오지 않는다. 박영실과 [[지소태후]]의 딸인 송화공주의 딸이고 14대 풍월주 호림공의 누나다. 천명공주가 동생(용춘)을 좋아한다고 말했는데 형으로 착각해 천명공주를 형 용수에게 시집보냈다고 한다. 그러나 화랑세기 자체가 진위가 의심되는 상황이고, 정사인 [[삼국사기]]와 [[일연]]의 [[삼국유사]]에는 용춘과 용수가 동일 인물인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 대중매체 == === [[선덕여왕(드라마)|드라마 선덕여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야부인(선덕여왕))] === [[대왕의 꿈|드라마 대왕의 꿈]] === 담당 배우는 임난형. 배역이 존재감이 없다. 단 한번 나오고 바로 병사했다는 언급만 나올뿐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마야부인, version=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