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일본 내각총리대신)]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C20B2 0%, #4449D3)" '''{{{#C3C965 마쓰카타 마사요시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일본 내대신부 내대신)] ---- [include(틀:일본 제국의 내무경)] ---- [include(틀:역대 일본 재무대신)] ---- [include(틀:일본의 원로)]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C20B2 0%, #4449D3)" '''{{{#c3c965 [[일본 내각총리대신|{{{#C3C965 일본 제국 제4·6대 내각총리대신}}}]][br]{{{+1 마쓰카타 마사요시}}} 松方正義 | Matsukata Masayoshi}}}''' }}}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0011_l.jpg|width=100%]]}}} || ||<|2> '''출생''' ||[[1835년]] [[3월 23일]] || ||[[사쓰마]]국 [[가고시마군]] 아라타촌 (現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 || ||<|2> '''사망''' ||[[1924년]] [[7월 2일]] (향년 89세) || ||도쿄부 도쿄시 (現 [[도쿄도]]) || ||<|4> '''재임기간''' ||제4대 내각총리대신 || ||[[1891년]] [[5월 6일]] ~ [[1892년]] [[8월 8일]] || ||제6대 내각총리대신 || ||[[1896년]] [[9월 18일]] ~ [[1898년]] [[1월 12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휘''' ||마사요시(正義) || || '''통칭''' ||스케자에몬(助左衛門) || || '''아명''' ||가네지로(金次郎) || || '''배우자''' ||마츠카타 마사코 || || '''학력''' ||조시칸 || || '''작위''' ||[[공작(작위)|공작]] || ||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C3C965 약력}}}''' ||제7대 내무경 제6대 대장경 참의 제1·3·5·8대 대장대신 [[귀족원(일본)|귀족원]] 의원 제4·6대 내각총리대신 제16대 내무대신 원로 제2대 일본적십자사장 제6대 내대신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정치인. 제4·6대 [[일본 내각총리대신|내각총리대신]]을 지냈다. 마쓰카타는 [[메이지 유신]] 초기를 주름잡던 사쓰마 파벌의 대표적인 인물이자 근대 일본을 대표하는 재정가라는 평을 받지만, 재정면 이외의 정치적 수완은 완전 무감각이었기에, 내각총리대신에 두 번이나 임명되는 기회를 얻었으나, 내각은 단명에 그치고 말았다. 역대 일본 내각총리대신들 중 가장 먼저 태어났다. == 생애 == 1835년 3월 23일, [[사쓰마]] 번 가고시마군에서 출생했다. 13세에 양친을 잃고, 1847년 사쓰마 번교[* 번의 교육기관을 뜻한다]인 조시칸(造士館)에 입학하였다. 1850년부터 번의 관리로서 일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하급 직위였으나, 마쓰카타는 성실한 태도로 근무하여 계속 승진하여 29세에 번의 정무를 입안하는 위치까지 올랐다. 1866년에는 번의 군무국 해군방(海軍方)에서 일했다. 이후에도 번의 군사역을 맡아 서양으로부터 해군 함선을 구입하는 일을 하기도 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엔, [[나가사키]] 재판소의 참의를 거쳐 히다현지사에 임명되었다. 여기서 위조지폐 유통을 적발하여 중앙정부의 [[오쿠보 도시미치]]의 신임을 얻게 된다. 그리하여 오쿠보의 추천으로 중앙정부의 고위직으로 전직되었다. 대장성에 들어갔고, 내무경 오쿠보 하에서 토지세 개혁을 책임졌다. 하지만 상관인 대장경 [[오쿠마 시게노부]]와 통화관리 정책에 관해 대립하였다. 마쓰카타는 오쿠마가 추진하였던 외채를 통한 정부지폐의 정리를 반대했다. 그리하여 이토 히로부미의 배려에 의해 내무경으로 전출되었다. 이후 오쿠마가 실각하자, 참의 겸 대장경으로 임명되어 대장성에 복귀하였다. 재정가로서 [[메이지 덴노]] 정부의 통화관리와 세제 체계 수립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기도 하다. 또한 정부의 재정수지를 크게 개선하고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정책을 펼쳤는데, [[인플레이션]]은 막았으나 반대로 [[디플레이션]]을 초래하여 "마쓰카타 디플레"(松方デフレ)라고 불리며 국민들에게 반감을 사기도 하여 욕을 많이 먹었다..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04.jpg]]|| ||총리 재직 시절|| 1891년 [[야마가타 아리토모]] 내각이 붕괴한 후, 후임 총리에 취임하게 되는제, 내각에서 불협화음이 일어서 1년 만에 사임하였다. 이후 [[이토 히로부미]] 내각이 수립되었다가 1896년 다시 마쓰카타가 수상에 취임하였다. 특히 현안으로 있던 금본위제로의 복귀를 달성하였으나, [[오쿠마 시게노부]]가 이끌던 진보당과 연정이 여의치 않아서 1년 만에 또다시 사임하였다. 이후에는 1902년 일본 적십자사 사장(총재)에 취임하였다. 1903년 추밀원 고문관에 임명되었고, 1917년 덴노의 자문역인 내대신에 임명되었다. 또한 이토 히로부미와 [[이노우에 가오루]]가 [[러일전쟁]]의 개전에 반대했지만, 마쓰카타는 적극적 찬성론을 주장하였다고 한다. 정부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던 이토가 [[안중근]]에게 처단당하고, [[야마가타 아리토모]] 역시 사망하자, 마쓰카타는 겐로(원로) 그룹의 수장으로, [[가토 도모사부로]] 내각의 성립에 깊숙히 관여하였다. 1924년 7월 2일 [[도쿄도|도쿄]]에서 사망하였고, 장례는 국장으로 치러졌다. [[분류:일본 제국 내무경]][[분류:일본 제국 내무대신]] [[분류:일본 재무대신]] [[분류:일본 제국 내각총리대신]] [[분류:일본의 공작]] [[분류:1835년 출생]] [[분류:1924년 사망]] [[분류:가고시마시 출신 인물]][[분류:일본 제국의 귀족원 의원]][[분류:시마즈 가문 가신]][[분류:종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