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레자비 호라산 주의 행정구역)] ||<-2>
'''{{{#fff {{{+1 마슈하드}}}[br]Mashhad | مشهد}}}''' || ||<-2> {{{#!wiki style="margin: -16px -10px" || [[파일:마슈하드 인장.png|width=90%]] || [[파일:마슈하드 문장.png|width=60%]] || || '''깃발''' || '''문장'''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이란 마슈하드, 너비=100%, 높이=100%)]}}} || ||<-2> '''행정'''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이란)] || || '''주''' ||라자비 호라산 주 || || '''면적''' ||351㎢ || ||<|2> '''인구''' ||3,372,090명 [[2016년|^^(2016년)^^]] || ||3,600,650명[[광역권|^^(광역권)^^]] || || '''인구밀도''' ||9,601명/㎢ || || '''시장''' ||압둘라 에르자이 쉬라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슈하드 이란.jpg|width=100%]]}}} || || '''[[이맘 레자 성지|{{{#fff 이맘 레자 성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디르 샤 무덤.jpg|width=100%]]}}} || || '''[[나디르 샤 무덤|{{{#fff 나디르 샤 무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슈하드 이란 4.jpg|width=100%]]}}} || || '''[[칸 멜레크|{{{#fff 칸 멜레크}}}]]''' || [clearfix] [목차] == 개요 == [[이란]] 동부 [[호라산]] 주의 중심 도시이자 이란에서 두번째로 큰 도시로, 현재 인구는 337만 명으로 추산된다. 마슈하드는 9세기 이전까지만 해도 별 두각을 드러내지 못하던 작은 도시였는데, 인근의 도시이자 호라산의 중심지로 기능하던 [[니샤푸르]]가 쇠퇴한 이후 그를 대체하며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란의 주요 종교인 [[시아파|쉬아 이슬람]]의 8번째 [[이맘]] [[알리 알 릿다|레자 샤]][* 페르시아어 명칭이고, 아랍어로는 '[[알리 알 릿다|알리 이븐 무사 알 리다]]'라고 부른다. 카르발라에서 죽은 후세인의 맏 증손자 자파르의 차남 무사의 아들이다. 즉, [[후세인 이븐 알리|알리 이븐 탈리브]]의 7대손이자 무함마드의 8대 외손자.]가 독이 든 포도로 암살된 곳으로, 시아파, 정확히는 열두 이맘파의 성지이다. 1년에 무려 2 500만에 달하는 순례객들이 찾아온다고 한다.[* 이곳을 순례한 사람은 [[메카]]순례자를 '하지'라고 부르는것처럼 مشهدی(마슈하디)라는 호를 붙인다.] 8천만에 달하는 이란 무슬림의 성지가 된 점도 도시의 성장에 큰 도움을 주었다고 평가된다. 또한 이란의 2대 [[라흐바르]] [[알리 하메네이]]와 현재 이란 대통령인 [[에브라힘 라이시]]의 고향이기도 한다. 그 외에도 [[아라비안 나이트]]의 모델이 된 [[아바스 왕조]]의 5대 [[칼리파]] [[하룬 알 라시드]]가 원정 중 사망한 곳으로, 그의 묘소가 위치해 있다. 그의 장남이자 아바스 조의 7대 칼리파 [[알 마문]]은 레자 샤를 하룬 영묘 바로 옆에 매장하여 쉬아 무슬림의 지지를 얻으려 하였다. == 역사 == 페르시아 제국, 즉 [[아케메네스 왕조]]의 [[샤한샤]] [[다리우스 1세]] 시절에 각인된 베히스툰 암각문에 의하면, 파르티아 인들의 첫번째 정착지 중 하나인 파티그라바냐가 현재의 마슈하드 인근에 위치하였다고 한다. 마슈하드는 9세기에 [[12이맘파]]의 이맘들 중 8번째 이맘이였던 [[이맘 레자]]와 [[아바스 왕조]]의 제 5대 칼리파였던 [[하룬 알 라시드]]의 무덤을 비롯한 여러 묘소들을 중심으로 건물과 시장이 생겨나며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13세기 [[몽골 제국]]의 침입을 겪었지만 처참히 파괴된 다른 도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파괴되어서 인근의 사람들이 마슈하드로 이주하기도 했다. 14세기 [[티무르 제국]]이 마슈하드 인근의 도시였던 투스(Tus)를 파괴하면서 마슈하드의 중요성이 상승하였으며 [[티무르 제국]] 시기 마슈하드는 티무르 제국의 주요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현재 마슈하드에 있는 고하르샤드 모스크또한 티무르 제국의 통치 시기에 지어진 것이다.]이는 16세기 티무르 제국이 멸망하고 이 지역이 [[사파비 왕조]]의 지배를 받게 되었을 때에도 마찬가지였다. 18세기에 [[아프샤르 왕조]]가 들어선 뒤 마슈하드는 [[나디르 샤]]의 통치아래 왕국의 수도역할을 하며 번영을 누렸다. [[나디르 샤]]가 죽고 나서는 아프샤르 왕조가 약화되면서 이전과 같은 번영을 누리진 못하게 되었다. 이후 건국된 [[카자르 왕조]] 시기에는 수도지위를 상실하였으며 1912년 러시아에 의해 도시가 폭격당하기도 하였다. [[팔라비 왕조]]의 [[레자 샤 팔라비|팔라비 1세]]치하에서 마슈하드는 1930년대부터 병원, 공장, 대학, 발전소가 세워지고 교통이 발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급속한 현대화, 세속화 정책에는 문제점이 많았고 이에 반발한 성직자들을 비롯한 사람들이 1935년 이맘 레자 성지에서 시위를 벌였지만 이 시위는 군대에 의해 유혈진압되었다. 마슈하드는 시위, [[제2차 세계 대전]], 가뭄 등을 겪었지만 팔라비 1세의 뒤를 이은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팔라비 2세]]치하에서도 가파르게 인구가 증가하였고 여러 인프라가 세워졌다. [[이란 혁명]]이후에도 도시는 꾸준히 성장하여 현재에 이른다. == 기후 == [[스텝(지리)|스텝 기후(BSk)]]에 속하며 비가 잘 내리지 않는다. 마슈하드에서 관측이래 기록된 최고온도는 43.8°C였으며 최저온도는 -28°C였다. == 경제 == [[이란]]의 자동차 생산 중심지이자 이란의 관광업 중심지이기도 하다.[* 이란의 호텔 중 55%이상이 마슈하드에 위치해있다.] == 기타 == 2000년대 초반 시아파의 성지인 이 도시에서 매춘부가 성지를 더럽힌다는 이유로 [[사이드 하네이]]가 수많은 매춘부를 살해한 사건이 벌어졌다. 이 실화를 바탕으로 하는 영화 [[성스러운 거미]]가 나왔는데, 이란 정부가 촬영을 허가하지 않아서, 실제 촬영은 [[요르단]]에서 진행되었다. [[분류:이란의 도시]][[분류:이란의 옛 수도]][[분류:시아파 성지]][[분류:레자비 호라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