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원시의 일반구)] [include(틀:마산합포구의 면동)] ||<-3> ''' [[창원시|{{{#000000,#dddddd 창원시}}}]]의 [[일반구|{{{#000000,#dddddd 일반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1 마산합포구}}}'''[br]馬山合浦區[br]{{{-1 Masanhappo-gu}}}}}}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너비=100%, 높이=100%)]}}} || || '''구청 소재지''' ||<-2> [[3.15대로]] 210 ([[중앙동3가(창원)|중앙동3가]]) || || '''광역자치단체''' ||<-2> [[경상남도]] || || '''기초자치단체''' ||<-2> [[창원시]] || || '''하위 행정구역''' ||<-2> 4[[면(행정구역)|면]] 11[[행정동|동]] || || '''면적''' ||<-2> 241.16㎢ || || '''인구''' ||<-2> 179,040명[* 2023년 10월 [[행정안전부]] [[http://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 || '''인구밀도''' ||<-2> 725.16명/㎢ || || '''구청장''' ||<-2> 김선민 || || [[창원시 마산합포구(선거구)|{{{#fff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최형두]] {{{-2 (초선)}}} || || '''도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3석[* 창원시 제8선거구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현동, 가포동): [[강용범]] / 창원시 제9선거구 (자산동, 오동동, 교방동, 합포동, 산호동): [[정규헌(1967)|정규헌]] / 창원시 제10선거구 (월영동, 문화동, 반월중앙동, 완월동): [[정쌍학]] ] || ||<|2> '''시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6석[* 창원시 아선거구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현동, 가포동): [[이천수(1962)|이천수]], 김이근 / 창원시 자선거구 (자산동, 오동동, 교방동, 합포동, 산호동): 홍용채, 서영권 / 창원시 차선거구 (월영동, 문화동, 반월중앙동, 완월동): 박선애, 정길상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2석[* 창원시 자선거구 (자산동, 오동동, 교방동, 합포동, 산호동): 이원주 / 창원시 차선거구 (월영동, 문화동, 반월중앙동, 완월동): 전홍표 ] || || '''[[지역번호|{{{#ffffff 지역번호}}}]]''' ||<-2> '''055''' || ||<-3> [[https://www.changwon.go.kr/gu|[[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목차] == 개요 == [[파일:external/masanhp.changwon.go.kr/map.gif]]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gnynews.co.kr/225606_34076_5250.jpg|width=100%]]}}} || || '''[[경남대학교|{{{#fff 경남대학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masanhappogu.png|width=100%]]}}} || || '''마산합포구청'''[* 창원시 통합전에는 마산시청으로 사용되었다.] || [[창원시]]의 서남부에 위치한 [[일반구]]. [[조선시대]] 중기 [[대동법]] 시행에 따라 조창이 설치되면서 발달하기 시작했고,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1899년]] 개항 이래 쭉 마산시의 중심부였던 곳이다.[* [[일제강점기]] 시절 마산합포구 신마산 일대는 일본인들이 많이 거주하던 곳으로 유명하다.] 지리적으로 일본과의 직선거리가 매우 가까운 편이라서 일본인 중심 상업, 무역이 자연스레 발달했기 때문에 '''창원시 5개구 중에서 가장 먼저 도시화가 이루어진 지역'''이다.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일본과의 교류가 활발했다. 하지만 경전선 [[마산역]] 구간 이설 및 [[마산시외버스터미널]]의 [[마산회원구|회원구]] 이전, [[IMF]] 외환위기 및 2000년대 초중반 [[창원시/통합 이전|창원시]], [[김해시]] [[장유면]]의 아파트 택지개발로 인한 인구유출로 과거 대비 존재감이 많이 희석된 지역이다. 그나마 도시재생 및 노후주택단지 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잠시 증가 추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다시 감소세가 시작되어 2022년 10월부로 18만이 다시 붕괴되었다.[* 그렇지만 이또한 별 의미 없는 것이 [[교방동]] 일대 북마산 교방 1구역이 오는 2023년에 입주 예정에 있고, 상남산호지구나 자산지구, 반월지구, 가포공공택지지구, 현동공공택지지구가 개발되면 인구 18만 회복은 다시 이루어질 것으로 쉽게 예측된다.] 창원시 5개구는 물론 전국의 [[일반구]] 중에서도 인구수가 가장 적다.[* 통합 창원시 출범 당시에는 [[진해구]]보다 조금 더 많았으나, 이후 진해구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등의 영향으로 지속적으로 인구가 증가하면서 결국 2015년에 진해구에게 추월당했다.] 반면 5개구 중에서 면적은 가장 넓고 읍면지역을 가장 많이 보유[* 창원에는 2읍 6면이 있는데 이 중 동읍, 북면, 대산면이 [[의창구]], [[내서읍]]이 [[마산회원구]]에 소재하며 나머지 4면([[구산면]], [[진동면(창원)|진동면]], [[진북면]], [[진전면]])은 모두 마산합포구에 있다.]하고 있어 인구밀도도 낮다.[* 도심 시가지 면적만 놓고 비교한다면 [[마산회원구]]와 별 차이는 없는 편이다.] 다만 [[내서읍]]까지 도시화가 완료되어 미개발 부지가 내서읍 감천리 일대나 회성동 지역의 마산교도소 일대 정도밖에 남아있지 않은 [[마산회원구]]에 비하면 개발의 여지는 많이 남아있다. 현동 일대에는 택지개발지구가 조성되었고, 읍면 지역 가운데에서도 사실상 포화상태에 다다른 [[내서읍]] 다음으로 진동면의 개발 가능성이 꽤 높다. == 역사 == [[1980년대]] [[한일합섬]]으로 대표되는 섬유산업으로 인해 [[마산시]]의 최전성기를 구가하던 무렵 마산시의 인구증가에 따라 [[1990년]] 마산시에 설치된 2개 구 중 합포구가 마산합포구의 전신이다. 합포는 마산의 옛 이름. 사실 합포라는 이름은 현재의 [[마산합포구]] 권역 중에는 산호동 끝자락밖에 해당되지 않는다. 현재의 어린교 인근에서 다섯 개의 물줄기가 바다로 흘러드는 형국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재미있게도 합포구라는 이름의 유래가 된 합포성터는 오늘날의 [[마산회원구]]에 있고, 거꾸로 회원구라는 이름의 유래가 된 회원현 성터는 오늘날의 마산합포구에 있다. [[1995년]]에는 창원군이 마산, 창원시로 각각 분리 흡수됨에 따라 진동, 진북, 진전, 구산의 4개면이 합포구에 편입된다. 그러나 이후 섬유산업의 몰락으로 인해 마산시의 인구는 계속 감소하고 있었고, 이로 인해 결국 [[2000년]] 구제가 폐지되고 합포구는 국회의원 선거舊 마산 갑으로 그 흔적만 남게 되었다.[* 다만 분구 당시에도 동 지역에 한해서 당시의 마산시 갑 선거구와 일치했다.] 그러다가 [[2010년]] 통합이 확정되면서 5개 구로 분리하는 계획이 확정되었고, 이에 따라 마산시도 원래의 합포구와 회원구로 다시 분구되기에 이른다. 이 과정에서 마산이란 지명이 사라지는 것을 우려한 마산시민들의 요구에 따라, 합포구와 회원구에는 각각 마산이란 명칭이 붙어 현재에 이르게 된다. * 1958년 8월 15일: 행정동인 가포동·월영동·창포동·월남동·반월동·완월동·중앙동·자산동·서성동·동성동·중성동·부림동·추산동·성호동·교원동·교방동·오동동·산호동·상남동 설치. * 1963년 4월 15일: 월영동이 월영1동과 월영2동으로, 상남동을 상남1동과 상남2동으로, 산호동을 산호1동과 산호2동으로 분리. * 1973년 7월 1일: 창원군 구산면 예곡리·우산리·현동리·덕동리가 마산시에 편입, 해당지역에 현동 설치. * 1989년 1월 1일: 함안군 여항면 산서출장소 관할지역 진전면에 편입. (여양리·고사리·평암리·금암리) * 1989년 5월 10일: 합포출장소 설치 * 1990년 7월 1일: 합포출장소가 합포구로 승격. * 1995년 1월 1일: 창원군 구산면·진동면·진북면·진전면을 편입. * 1997년 5월 12일: 행정동 통폐합 및 개칭. * 문화동 = 월영1동 + 월남동 + 창포동 * 월영동 = 월영2동 * 동서동 = 부림동 + 동성동 + 서성동 * 오동동 = 오동동 + 중성동 * 성호동 = 성호동 + 추산동 * 노산동 = 상남1동 + 교원동 * 합포동 = 상남2동 + 산호2동 * 산호동 = 산호1동 * 2000년 12월 31일: 합포구 폐지. * 2010년 7월 1일: 폐지된 합포구 지역에 마산합포구 설치. * 2017년 1월 1일: 동서동·성호동이 오동동에, 반월동·중앙동이 반월중앙동으로 통합. * 2020년 1월 1일: 노산동이 교방동에 통합. == 지역 특징 == [include(틀:마산합포구의 로)] 앞서 소개한 대로 개항 이래 거의 한 세기 가까이 마산시의 중심부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전형적인 구시가지의 모습을 보여준다. 좁은 길이 이리저리 얽혀있고 건물은 후줄근하다. '''[[일제강점기]] 건물'''도 찾아보면 가끔 눈에 띌 정도다. 터가 좁아 산기슭에도 주거지역이 형성되어 있어 부산과 함께 [[산복도로]]라는 용어가 쓰이는 곳으로[* 부산의 도시 개발 [[난개발]] 역사의 [[프로토타입]]이 마산합포구 지역이다.], 고운로와 무학로가 있다. 흔히 [[고운로(창원)|고운로]]를 산복도로, [[무학로(창원)|무학로]]는 신산복도로라 한다. 보통 시내버스에서 산복도로라 함은 전자를 가리킨다.[* [[고운로(창원)|고운로]]의 확장 계획이 있었으나 당시 마산여고를 방문했던 [[김영삼]] 대통령 영부인 손명순(마산여고 졸업)여사의 입김으로 운동장이 '''도로방향으로 확장'''되어 무산되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무학로(창원)|무학로]]가 건설되었다고 한다.] 동서동 일대는 예로부터 [[마산시]]의 중심 상권 역할을 해왔다. 25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어시장을 비롯하여 부림시장, 창동거리, 오동동 통술거리 등이 모여 최대 상권을 자랑했지만, [[1970년대]] 후반 [[마산역]]과 [[마산시외버스터미널]]이 회원구의 석전동, [[합성동]]으로 이전하면서 점점 상권이 합성동으로 옮겨지면서 비틀거리기 시작하더니, 마산시의 쇠퇴, 대형마트들의 진입[* [[롯데마트]], GS슈퍼마켓, [[이마트 마산점]](구 월마트,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월마트가 철수한 건물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하나로마트]]. 4개가 동시에 공략하는데 버틸 수 있겠는가? 참고로 [[홈플러스]]는 [[마산회원구]]에 있다.] 등과 맞물리며 쇠락했다. 지금은 어시장만이 예전의 위용을 유지하고 있다. 통합 이후 [[창원시]]에서 지역 균형 발전 차원에서 여러 가지 활성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 외에 산호동에는 [[신세계백화점 마산점]][* 원래는 향토백화점이자 이 일대 최대의 백화점이었던 성안백화점. [[1997년 외환 위기]]로 망하며 [[신세계그룹]]에서 인수하여 신세계백화점 마산점이 되었다.]을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되어 있고, [[월영동]] 일대에도 [[경남대학교]] 주위로 [[댓거리]]라고 불리는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이곳에는 메가박스 마산점[* [[롯데시네마]] 마산점이 2018년 초 바뀌었다.]과 [[롯데시네마]] 프리미엄 경남대점[* 원래 있던 남부시네마에 롯데시네마가 들어선 것을 [[메가박스#s-2.2|씨너스]]가 인수하고 이후 [[메가박스]] 경남대점이 되었으나 2018년 9월 10일 임대료 급증으로 재계약을 포기하고 폐점했다.[[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575330#06wC|기사]] 그 자리에 2019년 4월 10일 오픈하여 결국 두 개의 대형 영화관이 서로 자리를 바꾼 형태가 되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0832688|기사]]]이 위치해 있다. 어시장 옆에는 대우백화점(현 [[롯데백화점 마산점]])이 있었는데, 원래 여기를 기반으로 전국으로 진출하려 했으나 IMF 때문에 흐지부지되고 그냥 향토백화점화 되었다는 후문이... 개점일이 하필이면 IMF 터지기 직전인 [[1997년|97년]] [[11월 28일]]이다. 포스코에서 [[포스코대우|대우인터내셔널]][* 국내 최고의 무역종합상사로 [[대우그룹]]의 주축계열사였다. 무역업, 자원개발업을 주로 하며 유통업의 일환으로 대우백화점 마산점을 운영했다. 대우그룹 해체 후 [[캠코]]의 관리를 받다가 2010년 가을에 포스코그룹으로 인수됐다.]을 인수하고, [[포스코]]에서 대우백화점을 [[롯데쇼핑]]에게 팔아넘겼다. 이로서 창원의 향토백화점은 [[대동백화점]] 하나만 남게 되었다. 월영동 일대에는 옛 [[국군마산병원]] 터를 개발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밀집해 있으며, 그 앞으로 옛날엔 한일합섬과 함께 마산시의 밥줄이었으나 지금은 성산구로 옮겨버린 한국철강 터가 있었다. 꽤 넓은 부지로 부영건설이 매입하여 아파트 단지를 지었는데, 토지 정화 문제로 어영부영 지체되다가 [[2015년]] 말부터 짓기 시작하여 [[2019년]] 12월에 준공되었다. 그 이름은 [[마린애시앙부영]]이다. 시가지 남쪽과 서쪽으로 [[가포동]]과 [[현동(마산합포구)|현동]]이 있다. 가포동에는 마산가포신항과 국립마산병원이 있고 현동에는 아파트 단지들을 중심으로 신도시가 형성되어있다. 그 서쪽으로 진동, 진북, 진전, 구산면이 있다. 진동, 진북, 진전면은 흔히 이들을 묶어 삼진면으로 많이 불리는데, 진동면이 그 중심지 역할을 하며 많은 아파트 단지들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삼진면 지역이 '''[[진해군]]'''이었다. 구산면에는 전형적인 어촌 마을들이 산재해 있는데 이곳의 저도 연륙교가 유명하며 [[마산로봇랜드]]가 개장되기도 했다. [[마산회원구]]처럼 구의 명칭 앞에 이전 시명(市名)인 '''"마산"'''이 붙어있으며, 통합 이후에도 지역 주민들은 주로 "창원 사람"보다는 "마산 사람"이라고 자신을 소개하는 편이다. [[분당경찰서]]나 [[일산동부경찰서]]처럼, [[마산중부경찰서]]도 앞에 도시명(창원)을 붙이지 않는다. 마산합포구 청사는 옛 마산시 청사를 그대로 쓰는 덕분에 [[마산회원구]]와 달리 공간이 매우 넉넉하다. 옆에 있던 마산시의회 건물은 통합 이후에 창원지방검찰청 마산지청으로 쓰이고 있다. 참고로 창원지방법원 마산지원은 기존의 시법원/등기소 건물을 그대로 리모델링하여 사용 중이다. [[창원시]]에서 [[진해구]]와 함께 [[여권]] 발급 업무가 가능한 구청 중 한 곳이다. 이는 여권 발급을 위해 경남도청[* 버스로 월영동에서 '''{{{#red 1시간}}}'''이고, 삼진면 지역에서는 시외버스를 타거나 시내버스로 '''{{{#red 2시간}}}'''이 넘게 걸린다.]까지 가는 수고를 덜어주기 위해 옛 시청에 자리잡은 마산합포구청/진해구청에 업무를 이관했기 때문이다. === 주요 시설 === * 공공기관 * 창원지방법원 마산지원 * 창원지방검찰청 마산지청 * [[마산중부경찰서]] * [[마산소방서]] * 마산합포우체국 * 창원보훈지청 * 창원기상대 * 마산세관 * 마산지방해양항만청 * 창원출입국관리사무소 * 교통시설 *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 * 마산항여객선터미널--돝섬왕복정류장-- * 문화시설 * 문신미술관 * 창원시립마산박물관 * 도립 마산도서관 * 마산합포도서관 * 진동도서관 * 의료시설 * 국립마산병원[* 구.국립마산결핵병원. 결핵 전문 병원으로 (재)국제결핵연구소를 부속 연구소로 두고 있다. 현재 병원 현대화 사업 추진중.] * 경상남도마산의료원 == 경제 == 1980년대만 해도 [[한일합섬]] 마산공장으로 대표되는 섬유산업이 잘 나가는 경남의 중심지였으나, 섬유산업이 몰락하고 구창원 지역들([[의창구]], [[성산구]])이 개발되면서 [[마산회원구|옆 동네]]와 같이 창원에서 낙후된 지역의 대명사가 되었다. 하지만 [[썩어도 준치]]라고, 과거 마산시 시절의 영광을 보여주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는 경제가 유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항구 인근이여서 수산업이 유지가 되고 있다는 점, 거기에 학군 면에서도[* 야구부가 있는 마산용마고와 마산고/마산여고가 있다.] 절대적으로 밀리지가 않기 때문이다.[* 참고로 이게 대구 서구와 달리 그나마 경제적으로 돌아가는 이유인데, 대구 서구의 경우는 학군도 낙후되었기 때문이다.] 거기에다가 군수산업과 기계부품산업이 어느정도 남아있기도 하고, [[마산로봇랜드]]의 존재로 로봇 관련 연구도 어느정도 진행되는 상황이다. 그렇기 때문에 구민 소득 역시 창원시 평균과 비교해도 제법 괜찮은 편이다. == 교육 == [include(틀: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의 초등학교)] [include(틀: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의 중학교)] [include(틀: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의 고등학교)] == [[마산합포구/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산합포구/정치)] == 하위 행정구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sanha-map.png|width=600]] 행정동이 옛 창원지역에 비해 많을 뿐더러 심지어 '''법정동 하나를 행정동 둘이서 나누거나, 법정동이 이름이 같은 행정동을 놔두고 다른 행정동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일제강점기부터 발달된 도시들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법정동이 잘게 쪼개져 있으며, 옛 마산시 시절 지번 체계 역시 제대로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 반면에 1970년대에 개발이 시작된 [[마산회원구]]는 비교적 깔끔하다. 마산시가 도농복합도시였고, 위치가 위치인 만큼 마산시의 면 지역이(따지고 보면 창원군) 모조리 여기에 속하게 되었다. === 동 지역 === [[파일:마산합포구의 행정구역.png|width=400]] ||舊 마산부 ||오동동, 문화동, 반월·중앙동, 완월동, 월영동, 자산동, 합포동 || ||舊 창원군 내서면 ||교방동, 산호동 || ||舊 창원군 구산면 ||가포동, 현동 || 지도에는 노산동이 나와 있지만 지금은 교방동이랑 통합되었다. ==== [[가포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가포동)]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2,263명.'''[*P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 인구가 매우 적긴 하지만, [[마창대교]] 남단으로 아파트단지가 조성되고 있기 때문에 행정동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마산가포신항, 국립마산병원이 있다. 학교는 가포초, [[마산가포고]]가 있다. ==== [[교방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교방동)] 관할 법정동은 교방동·교원동·상남동(일부)이다. 인구는 '''15,924명.'''[*P] 육호광장으로 잘 알려져 있는 동네이지만 평범한 구도심이다. 다만 현재 [[무학자이]](705세대), [[창원 롯데캐슬 프리미어]](999세대) 등 재개발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구도심의 모습을 탈바꿈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학교는 교방초, [[마산의신여자중학교|마산의신여중]], 경남전자고, [[합포고]]가 있다. ==== [[문화동(창원)|문화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문화동(창원))] 관할 법정동은 대외동·대창동·두월동1~2가·문화동·신창동·월남동1~5가·월영동(일부)·유록동·창포동1~3가·청계동·평화동·홍문동·화영동이다. 인구는 '''11,104명.'''[*P] 많은 법정동에서 볼 수 있듯이 전형적인 구도심으로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이 혼재되어 있다. [[롯데마트]] 마산점, [[롯데시네마]] 프리미엄경남대, SMG연세병원이 있다. 학교는 마산제일여중, 마산제일여고가 있다. ==== 반월중앙동 ==== 관할 법정동은 대성동1~2가·신월동·신흥동·완월동(일부)·월포동·장군동1·2·3가(일부)·중앙동1·2·3가(일부)이다. 인구는 '''13,844명'''.[*P] 2017년부터 반월동, 중앙동이 통합되어 반월중앙동으로 개청되었다. 행정복지센터는 과거 중앙동주민센터에 두고 있다. 중앙동이라는 이름은 일제강점기 당시 현재의 동서동 일대인 '원마산'과 '신마산'을 잇는 통합부지를 '중앙마산'이름으로 개발한 데에서 유래했다. 舊 마산시청(현 마산합포구청이 아닌 그 맞은편의 [[마산세무서]]를 말한다)은 군사용지, 즉 국유지이던 곳에 시청을 지은 것.[* 현 마산합포구청도 일제강점기 군사용지로 묶여있던 곳이긴 했다. 과거에는 주택과 소규모 공장 등이 있었으나 마산시의 시청사가 협소하고 도농통합시가 되면서 구 시청의 반대편 부지를 싹 밀고 시청을 크고 아름답게 새로 올린 것.] [[산복도로]] 주변으로 중고등학교들이 많이 있다. 그 아래로 달동네들이 분포하며, 3.15대로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경동메르빌]] 1~2차(861세대)와 월포 벽산블루밍(706세대) 등이 있다. 월포동에 마산연안여객선터미널, 중앙동2가에 [[마산중부경찰서]], 마산우체국, 중앙동3가에 마산합포구청, [[창원지방검찰청 마산지청]], [[이마트 마산점]]이 있다. 학교는 월영초, [[마산중앙고]]가 있다. ==== [[산호동]] ==== 관할 법정동은 산호동(일부)이다. 인구는 '''11,913명.'''[*P] [[신세계백화점 마산점]], 호텔 사보이 등이 있다. 다만 신세계백화점과 NC파크 사이에 있는 먹자골목을 제외하면 대부분 주택이나 빌라인 주거지역이다. 산호공원 밑에 마산도서관이 있다. 학교는 산호초, 용마초, [[합포중학교|합포중]]이 있다. ==== [[오동동(창원)|오동동]] ==== 관할 법정동은 남성동·동성동·부림동·서성동·성호동·신포동1~2가·오동동·중성동·창동·추산동이다. 인구는 '''18,866명.'''[*P] [[마산만 아이파크]](780세대), [[마산항]], 창원해양경찰서, [[마산소방서]], [[정부경남지방합동청사]], 창원시립마산박물관, 오동동문화의거리, [[롯데백화점 마산점]], [[마산 어시장]]이 있다. 학교는 성호초가 있다. ==== [[완월동]] ==== 관할 법정동은 완월동(일부)·장군동3가(일부)·4가·5가·중앙동3가(일부)이다. 인구는 '''8,755명.'''[*P] 경상남도마산의료원, [[창원지방법원]] 마산지원, 마산세무서 등이 있다. 학교가 많은데, 완월초, 월성초, [[성지여자중학교|성지여중]], [[마산고]], [[마산여자고등학교|마산여고]], [[성지여고]]가 있다. ==== [[월영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월영동)] 관할 법정동은 대내동·월영동·해운동이다. 인구는 '''42,080명'''[*P]으로 마산합포구 읍면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마린 애시앙부영(4,298세대)을 필두로 아파트단지들이 굉장히 많다. [[경남대학교]],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 마산 앞바다의 [[마산해양신도시]]는 법정동 해운동, [[돝섬]]은 법정동 월영동에 속한다. 학교는 고운초, 신월초, 해운초, [[마산서중]], [[해운중]]이 있다. ==== [[자산동(창원)|자산동]] ====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9,744명.'''[*P] 주변 동 사이에 끼어 있는 서민층 주거지역. 학교는 무학초, [[마산중학교|마산중]]이 있다. ==== [[합포동]] ==== 관할 법정동은 산호동(일부)·상남동(일부)이다. 인구는 '''6,940명.'''[*P] [[3.15대로]]를 기준으로 동쪽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수출정문사거리까지 이어진다. 지명의 근원이 된 동네이지만 특별한 시설은 없다. 학교는 상남초, 합포초, [[마산용마고등학교|마산용마고]]가 있다. ==== [[현동(마산합포구)|현동]] ==== 관할 법정동은 덕동동·예곡동·우산동·현동이다. 인구는 '''13,868명.'''[*P] 창원현동 중흥S클래스 프라디움 3차(1,343세대), 창원현동 LH1단지(1,124세대) 등 아파트단지들이 조성되면서 인구가 늘었다. 매우 자연 친화적이며 젊은 층이 많아 아동수가 많다. 자연공원이 잘 조성되어 산책하기 좋다. 덕동은 한적한 어항일 뻔 했으나 아쉽게도 쓰레기매립장과 하수도사업소가 있다. 학교는 현동초, [[구산중학교(경남)|구산중]]이 있다. === 면 지역 === 구산면을 제외한 진동면·진북면·진전면은 [[조선시대]] 진해현의 영역이었다. 정작 진해구는 [[조선시대]] 웅천현의 영역이었다.[* 웅천현의 중심지는 지금의 진해구 남문동에 있다.] [[23부제]] 개편 이후 [[진해군]]은 [[웅천군]]과 함께 [[1908년]]에 창원부에 합병되어 사라졌다. 구산면의 경우 칠원현(현 함안군의 일부)에 속했으나 [[1908년]]에 창원군에 편입되었다.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3개 지역을 합해서 '삼진'이라고 부른다. ==== [[구산면]] ==== 면소재지는 수정리, 관할 법정리는 10개이다.[* 구복리·난포리·내포리·마전리·반동리·석곡리·수정리·심리·옥계리·유산리] 인구는 '''4,069명.'''[*P] 그냥 시골인데, [[5번 국도]]가 잘 닦여 있어 차량으로 가면 교통이 딱히 불편하진 않다. [[경남 마산로봇랜드]]가 있다. 저도는 저도연육교를 통해 육지와 연결된다. 심리에서 해저터널을 통해 거제도로 연결될 예정이다. 학교는 구산초(구서분교 포함), 반동초, [[구산중학교(경남)|구산중]] 구남분교와 특수학교인 창원동백학교가 있다. ==== [[진동면(창원)|진동면]] ==== 면소재지는 진동리, 관할 법정리는 10개이다.[* 고현리·교동리·다구리·동전리·사동리·신기리·요장리·인곡리·진동리·태봉리] 인구는 '''11,892명.'''[*P] 면소재지인 진동리는 삼진의 중심지역이다. 아파트단지도 몇 개 들어서 있어 마산합포구의 면들 중에서는 인구가 가장 많다. 마산운전면허시험장과 창원시의 유일한 [[해수욕장]]인 광암해수욕장이 여기에 있다. 학교는 우산초, 진동초, 마산삼진중, [[마산삼진고등학교|마산삼진고]], 태봉고가 있다. 신기리, 고현리를 잇는 도로는 [[미더덕]]로(...)라고 명명되어 있다. ==== [[진북면]] ==== 면소재지는 지산리, 관할 법정리는 15개이다.[* 금산리·대티리·대평리·덕곡리·망곡리·부산리·부평리·신촌리·영학리·예곡리·이목리·인곡리·정현리·지산리·추곡리] 인구는 '''3,242명.'''[*P] 신촌리와 망곡리 골짜기에 공장들이 들어서 있다. 그 외에는 시골. 학교는 하북초가 있다. ==== [[진전면]] ==== 면소재지는 오서리, 관할 법정리는 16개이다.[* 고사리·곡안리·근곡리·금암리·동산리·봉곡리·봉암리·시락리·양촌리·여양리·오서리·이명리·일암리·임곡리·창포리·평암리] 인구는 '''3,751명.'''[*P] 오서리를 중심으로 삼진에서 가장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고성과 진주로 넘어가는 갈림길에 위치하며, 동진교를 통해 [[고성군(경남)|고성군]] 동해면으로 넘어갈 수 있다. 학교는 진전초, 진전중이 있다. == 기타 == [[파일:2010h_lc000043_i01.jpg|width=400]] 옛 마산시 합포구청. 현재는 리모델링을 거쳐 마산합포도서관으로 쓰이고 있다. 주소는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월영동16길 22 (해운동) 마산시 시절 2000년까지 존재하던 합포구 시절까지 포함하면 크고 아름다운 구 청사를 갖기까지 많은 역경의 시간을 가졌는데, 현 마산의료원 자리에 있던 마산시 합포출장소를 1990년 승격해서 출범된 합포구청은 95년에 대내동 1-1번지에 있는 舊 창원군청 청사로 이전했고[* 원래는 대한제국 시절 일본 공사관 자리. 일본인 조계지의 한복판이며 골목이 방사형으로 뚫려 있다. 현재는 [[경남대학교]] 평생교육관으로 쓰이고 있다.[[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215051|#]]], 1997년에 두산건설로부터 청사를 기부받은 해운동 61번지 신축청사로 들어가서 몇 년 잘 쓰나 싶더니 구청제 자체가 폐지되어[[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286236|무주공산이 될 뻔]]했다가 드디어 마산합포도서관으로써 활용방안을 찾아서 몇 년 잘 쓰다보니 또 통합 [[창원시]] 출범으로 인해 구 청사를 물색해야하는 형편이 되었고, 옛 합포구청 자리에는 이미 마산합포도서관을 지어놓은지라 다시 들어갈 수가 없어서 결국 옛 마산시청이 마산합포구청사로 낙점되게 된 것이다. == 출신 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분류:마산합포구 출신 인물)] [[분류:마산합포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