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마블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드라마, rd1=데어데블: 본 어게인(드라마))] [include(틀: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include(틀:마블 디펜더스 사가)] ||<-4>
{{{+1 '''마블 데어데블'''}}} [br] Marvel's Daredevil || ||<-4>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데어데블(드라마) 디즈니 플러스.jpg|width=100%]]}}} || ||<-2> '''장르''' ||<-2>[[슈퍼히어로물|슈퍼히어로]], [[액션]] || ||<-2> '''공개일''' ||<-2>{{{#!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0516; font-size: 0.75em" {{{#fff '''시즌 1'''}}}}}} [[2015년]] [[4월 10일]][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0516; font-size: 0.75em" {{{#fff '''시즌 2'''}}}}}} [[2016년]] [[3월 18일]][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0516; font-size: 0.75em" {{{#fff '''시즌 3'''}}}}}} [[2018년]] [[10월 19일]] || ||<-2> '''공개 회차''' ||<-2>{{{#!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0516; font-size: 0.75em" {{{#fff '''시즌 1'''}}}}}} 13부작[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0516; font-size: 0.75em" {{{#fff '''시즌 2'''}}}}}} 13부작[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0516; font-size: 0.75em" {{{#fff '''시즌 3'''}}}}}} 13부작 || ||<-2> '''제작사''' ||<-2>[[마블 엔터테인먼트|[[파일:마블 엔터테인먼트 로고.svg|height=25px]]]] | [[ABC(미국)|[[파일:ABC(미국) 로고.svg|width=30]]]] || ||<|3> '''제작진''' || ''' 제작''' ||<-2>더글라스 페트리, 로렌 슈미트 히스리치, 앨런 파인 || || '''연출''' ||<-2>알렉스 자크르제프스키, 앤디 고다드 || || '''극본''' ||<-2>더글라스 페트리, 드류 고다드 || ||<-2> '''출연''' ||<-2>[[찰리 콕스]][br][[데보라 앤 월]][br]엘든 헨슨[br][[빈센트 도노프리오]] ,,외,, || ||<-2> '''스트리밍''' ||<-2>[[https://www.netflix.com/kr/title/80018294|[[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60]]]] [[2015년]] [[4월 10일]] ~ [[2022년]] [[2월 28일]] ---- [[https://disneyplus.com/ko-kr/series/$/5jKSWL7ZMg50| [include(틀:디즈니+ 표시)]]]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2년]] [[3월 1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6월 29일]] || ||<-2> '''[[영상물 등급 제도|{{{#fff 시청 등급}}}]]''' ||<-2>[[18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000000,#dddddd 청소년 이용불가}}}''']] || ||<-2> '''링크''' ||<-2>[[https://www.facebook.com/Daredevi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Daredevil, 크기=25)] | [[https://www.instagram.com/daredevi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두려워 말라 네 안의 어둠을 깨워라''' > 어린 시절 시력을 잃었지만 다른 감각이 초인적으로 발달한 맷 머독은 낮에는 변호사, 밤에는 슈퍼 히어로 데어데블이 되어 뉴욕 헬스키친의 불의에 맞서 싸운다. - 넷플릭스 소개 문구 [[ABC(미국)|ABC]]와 마블 엔터테인먼트 및 산하 부서인 마블 텔레비전[* 마블 스튜디오가 아니다. 마블 본사인 마블 엔터테인먼트 산하의 MCU 드라마를 총괄하는 부서였으나 디즈니 플러스 런칭 이후에는 제작부서가 없어지고 드라마 제작 권한은 마블 스튜디오에게 이관되었다.]이 공동으로 제작하고 [[넷플릭스]]에서 제공했던 [[미국 드라마]]. 넷플릭스에서 제공되던 서비스는 2022년 3월 1일 종료되었으며 3월 16일부터 디즈니 플러스(미국, 캐나다, 영국, 아일랜드, 호주, 뉴질랜드 등 일부 영어권 국가 한정)에서 서비스 제공 중이다. 6월 29일부터 한국을 포함한 다른 해외 국가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 공개 정보 == 원래 데어데블의 영상화 권리는 [[데어데블(영화)|동명의 영화]]와 스핀오프 영화인 [[엘렉트라(영화)|엘렉트라]]를 제작한 [[20세기 폭스]]에게 있었다. 그러나 영화 리부트 계획에 차질이 생겨 2012년 10월 [[마블 스튜디오]]로 그 판권이 돌아왔다. 그리고 2013년, 마블 스튜디오가 [[마블 제시카 존스|제시카 존스]], [[마블 아이언 피스트|아이언 피스트]], [[마블 루크 케이지|루크 케이지]]와 함께 [[마블 디펜더스|디펜더스]] 시리즈 영상화를 계획한다고 발표했다. 어릴 때 교통사고로 화학 물질을 뒤집어쓴 뒤 시력을 잃은 소년이 아버지를 잃고 고아로 성장하여 낮에는 법을 통해 제도권 안에서 정의를 지키는 변호사, 밤에는 법망을 피해간 악당들을 응징하는 자경꾼(vigilante)으로 활동하는 이야기. 이러한 양면성에 본인도 고뇌하는 장면이 많이 나온다. 시력이 없지만 남들보다 월등히 뛰어난 청각과 촉각을 바탕으로 무술로써 상대와 다툰다. 한국에서는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을 받았다. 실제로 머리가 잘려나가거나 뼈가 살 밖으로 튀어나오는 등 신체 훼손 묘사가 많은 편이며 유혈이 낭자하는 장면도 많으니 잔인한 걸 잘 못본다면 주의.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데어데블(드라마) 디즈니 플러스.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데어데블(드라마) 북미 디즈니 플러스 포스터.jpg|width=100%]]}}} || || '''디즈니 플러스 포스터''' || '''북미 디즈니 플러스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데어데블 한글 포스터 (드라마).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데어데블 북미 포스터 (드라마).jpg|width=100%]]}}} || || '''넷플릭스 국내 포스터''' || '''넷플릭스 북미 포스터''' || == 시즌 목록 == === [[마블 데어데블(시즌 1)|시즌 1]]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블 데어데블(시즌 1))] === [[마블 데어데블(시즌 2)|시즌 2]]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블 데어데블(시즌 2))] === [[마블 데어데블(시즌 3)|시즌 3]]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블 데어데블(시즌 3))] == 시놉시스 == >낮에는 변호사로, 밤에는 자경단으로 활동하는 맷 머독. 어린 시절 사고로 시력을 잃은 대신 다른 감각이 고도로 발달했다. 이런 능력을 이용해 해가 지면 데어데블이 되어 뉴욕시의 범죄와 맞서 싸우는데. 이를 달가워하지 않는 킹핀, 그리고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사람들. 그러나 그는 낮에는 법의 힘으로, 밤에는 자신의 힘으로 범죄를 처벌하는 삶을 살아갈 수 밖에 없다. 그가 사랑하는 이 도시를 지켜내기 위해서. == 등장인물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Daredevil_Poster_02.png|width=20%]][[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c405ff041bb018762ca370d1067aae4c.jpg|width=20%]][[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Daredevil_Poster_04.png|width=20%]][[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Daredevil_Poster_05.png|width=20%]][[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Daredevil_Poster_01.png|width=20%]]|| * 주요 인물 * [[데어데블(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맷 머독 / 데어데블]] - [[찰리 콕스]] * [[캐런 페이지(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캐런 페이지]] - [[데버라 앤 월]] * [[포기 넬슨]] - 엘덴 핸슨 * [[킹핀(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윌슨 피스크 / 킹핀]] - [[빈센트 도노프리오]] * 시즌 1 * [[클레어 템플]] - [[로사리오 도슨]] * 바네사 마리아나 - [[아예렛 주러]] * [[아울(마블 코믹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릴런드 아울슬리]] - [[밥 건튼]] * 호프먼 형사 - 대릴 에드워즈 * 제임스 웨슬리 - 토비 레오나드 무어 * [[벤 유릭(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벤 유릭]] - 본디 커티스 홀 * 블레이크 형사 - 크리스 타다오 * 잭 머독 - 존 패트릭 헤이든 * [[스틱(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스틱]] - [[스콧 글렌]] * [[마담 가오]] - 와이 칭 호 * [[노부 요시오카]] - 피터 신코다 * [[멜빈 포터]] - 맷 제럴드 * 블라디미르 - 니콜라이 니콜라프 * 브렛 마호니 - 로이스 존슨 * [[터크 배럿]] - 롭 모건 * 시즌 2 * [[퍼니셔(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프랭크 캐슬 / 퍼니셔]] - 존 번설 * [[엘렉트라(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엘렉트라 내치어스]] - 엘로디 융 * [[레이 슈노버]] - [[클랜시 브라운]] * 블레이크 타워 - 스티븐 라이더 * 시즌 3 * [[벤자민 포인덱스터(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벤 포인덱스터]] - 윌슨 베텔 * [[라훌 나딤|라훌 나딤]] - 제이 알리 * 메기[* 원작의 설정대로 그녀는 매튜의 어머니인 메기 그레이스 머독이다.] - 조앤 왈리 그외 인물들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기타 등장인물#s-2.2.2|문서 참고]].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와의 연계 == * 마블 산하의 MCU 드라마 전담 부서인 마블 텔레비전에서 제작하는 만큼 세계관은 MCU에 속해 있다. 극중의 시간적 배경은 영화 [[어벤져스(영화)|어벤져스]]에서 일어난 [[치타우리]]의 뉴욕 침공 이후인, 페이즈 2 영화들과 비슷한 시기로 보인다.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Avengers_Tower_Daredevil.png|width=600]] * 공식 포스터에서 [[헬스 키친#뉴욕시 맨해튼의 지명|헬스 키친]] 거리 뒤로 어벤져스 타워가 보이며[* 실제로 뉴욕 지도를 보면 어벤져스 타워의 원본인 메트라이프 빌딩이 있는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과 [[헬스 키친]]의 거리는 상당히 가깝다. 그러나 헬스키친에서 어벤져스 타워를 보면 저렇게 보이지 않고 옆면을 보이게 되는데 오류인듯하다. 게다가 어벤져스 타워가 작은 모습으로 유난히 위로 올라와있는 모습이 조금 부자연스럽다.], [[벤 유릭]]의 사무실 벽에 [[인크레더블 헐크|할렘가 테러]]와 [[어벤져스(영화)|뉴욕에서의 전투]]에 관련된 신문 기사가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고, 맷 머독도 '전세계가 뉴욕의 절반이 파괴되는 것을 지켜보았다'며 치타우리 침공을 간접적으로 언급한다. 애초에 [[킹핀(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윌슨 피스크]] 일당이 뒷세계를 장악한 것이 치타우리 공습 피해를 틈타 벌어진 것으로 묘사된다. 정확히는 뉴욕 사건 이후 도시 전체를 재건하는 도시재생 계획의 일환으로 비교적 낙후된 지역이었던 헬스 키친도 재개발 붐이 일었는데, 여기에 얽힌 이권을 놓고 삼합회, 야쿠자, 레드 마피아등이 피스크에 의해 헬스 키친에 집결한 것. * 맷 머독이 아버지를 잃은 뒤에 어린 시절을 보낸 성 아그네스 고아원은 [[스카이(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스카이]]가 어린 시절을 보낸 곳이기도 하며, 에이전트 오브 쉴드 시즌 2에 등장한 [[업소빙맨(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칼 크릴]]이 맷 머독의 아버지 잭 머독의 시합 상대로 언급된다.[* 이건 원작에서도 마찬가지.] * 극중에서 WHiH World News라는 뉴스 채널이 나오는데, 이 채널은 [[인크레더블 헐크]]와 [[아이언맨 2]], [[에이전트 오브 쉴드]]에서도 등장한다. * 윌슨 피스크의 비서 제임스 웨슬리는 [[아이언맨(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슈트|강철 슈트]]와 [[묠니르(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마법 망치]]를 언급하고, 포기 넬슨은 [[스티브 로저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캡틴 아메리카]]를 언급한다.[* 여담으로 캡틴 아메리카는 상관없는 미드에도 간혹 언급된다. 주로 정의롭거나 애국자인 캐릭터를 비꼬는 식으로 말이다.] [[록슨 에너지 회사]]도 회상 장면에서 언급되는데 [[아이언맨 3]]에서 언급된 기름 유출 사건에 관한 내용이다. * 떡밥도 상당히 많은데, 우선 [[삼합회]]가 제조 및 유통하는 마약에 [[아이언 피스트(마블 코믹스)|아이언 피스트]]의 숙적인 스틸 서펀트의 문양이 새겨져있고, [[야쿠자]] 조직은 원작에서 데어데블의 숙적 중 하나인 닌자 조직 [[핸드]]다. 실제로 극중에서 노부와 머독이 한판 붙기도 했다. 머독의 스승 스틱이 7화 마지막에 만나는 정체불명의 사나이도 원작에서 데어데블 및 엘렉트라와 연관이 있는 캐릭터인 스톤이다. 그리고 머독이 학창 시절에 좋아한 [[엘렉트라(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그리스 여자]]가 언급된다.(더 자세한 떡밥들은 여기를 참고해 보자.[[http://m.navercast.naver.com/mobile_magazine_contents.nhn?rid=2810&contents_id=87999|#]]) * [[클레어 템플]]이 근무하는 병원이자 등장인물들이 여러 번 신세지는 '메트로-제너럴 병원'은 이후 영화 [[닥터 스트레인지(영화)|닥터 스트레인지]]에도 등장해 [[닥터 스트레인지(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스티븐 스트레인지]]가 근무하는 병원으로 나온다. * 포기 넬슨의 전 여친 마시 스탈의 언급에 따르면 제시카 존스는 레예스 검사의 조사를 받는다고 한다. 시장이 되기 위한 커리어의 일환으로 자경단을 처단하고 있다고. 또한 마지막화에서는 '넬슨&머독'을 나온 포기를 [[제리 호가스]]가 자신의 로펌으로 영입하는 장면이 나온다. * 또 에이전트 오브 쉴드와의 연계도 있다. 시즌 2에서 비중있게 등장한 갱들 중에서 하나인 '지옥의 개들'은 에이전트 오브 쉴드에서 이미 다른 지부가 등장했다. 로렐라이가 현혹한 루스터가 이끌던 조직이 바로 지옥의 개들 네바다 지부이다. 그리고 에이전트 오브 쉴드 시즌 4의 갱단 아리안 브라더후드는 이미 데어데블 시즌 2에서 윌슨 피스크의 입에서 언급된 적이 있다.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영화 합류 === 2020년 3월부터 [[케빈 스미스]]가 말하면서 시작된 이야기지만 데어데블 역을 맡은 찰리 콕스가 재차 자신은 그런 연락 받은 바 없다며 부인하였었다. 계속된 이런 루머의 발생 이유는 넷플릭스와의 계약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데 넷플릭스의 제작 종료 후 2년간 마블이 사용할 수 없다는 계약이다. 그런데 코로나로 인하여 전체적인 마블 시네마의 진행이 느려지는 상황에서 그 2년이 2020년 11월로 종료되었다. 2021년 12월에 개봉하는 영화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에서 [[이왜진|정체가 공개된 피터 파커의 변호사로 데어데블이 나온다는 루머]]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2021년 12월 6일 [[케빈 파이기]]의 인터뷰를 통해서 [[MCU]]에 복귀하는 것이 공식화되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r0KG0S5n0vM|#]] 그리고 영화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에서 찰리 콕스가 데어데블로 등장하면서 넷플릭스 캐릭터들 중 처음으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영화에 합류했다. 또한 드라마 [[호크아이(드라마)|호크아이]]에서는 킹핀이 등장했다. 2022년 [[D23]]에서 MCU판 드라마 [[데어데블: 본 어게인(드라마)|데어데블: 본 어게인]] 발표가 있었다. 드라마 로고 발표와 함께 나온 데어데블 역의 배우 [[찰리 콕스]]는 이 드라마가 시즌 4가 아닌 새로운 시즌 1이 될 것이라고 말함에 따라 배우는 그대로 가져오되 설정 일부를 바꾸는 소프트 리부트 형태의 드라마가 될 것으로 보인다. == 기타 == * 드라마 PPL로 PC와 노트북은 [[델(기업)|델]], 핸드폰은 [[삼성전자]]의 [[갤럭시 S5]]가 등장하며 차량으로 [[현대 제네시스|현대자동차의 제네시스]]가 한번 등장한다. * [[2016년]] [[넷플릭스]]가 한국에 진출하며 공개한 현지화 로고 퀄리티가 심히 [[충격과 공포]]를 불러일으켰다.(...) 피드백을 받고 수정한 로고는 영문 로고에 '''마블 데어데블'''이라고 한글명이 하얀색으로 기입된 모습이다. * 시각장애인이 주인공인 시리즈답게, 넷플릭스에서 자체적으로 오디오북 형식으로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서비스를 지원한다.[* 시각장애인 맷 머독을 연기한 [[찰리 콕스]]는 시각장애인 협회로부터 헬렌 켈러 상을 받았다.] * ~~[[https://twitter.com/NetflixKR/status/1057218054831202304|넷플렉스 코리아 공식 시즌1&2 초단간 요약 영상]]~~ * 현직 변호사가 시즌 2의 프랭크 캐슬 판결 재판 장면을 분석한 영상이 유튜브에 올라왔다.[[https://youtu.be/aRTSxbgekMM|#]] * 시즌 1 때 엄청난 호평을 이끌어낸 [[https://youtu.be/B66feInucFY|복도 액션씬]]에 힘입은건지 매시즌 힘 준 원테이크 액션씬이 나온다. 수평적이던 복도에 이어 시즌 2에서는 수직적인 계단에서 [[https://youtu.be/0PMYHYUzjQE|액션씬]]이 벌어지고 시즌 3에서는 아예 11분의(!) 원테이크 액션씬이 나온다. 에미상 스턴트 부문에도 제출하려 했지만 길이 제한이 3분이라 못했다는 후문. 처음에 시즌 3에서 11분짜리 원테이크 액션씬을 찍으려 하자 마블 텔레비전 윗선도 말렸으나 설득 끝에 윗선에서 결국 허락이 떨어졌다. 그러고도 실패할 것을 대비한 플랜 B로 여기저기 CCTV 카메라가 보고있는 듯한 앵글로 군데 군데 씬을 기워넣으려고도 했으나 결국 7 테이크만에 원샷으로 성공. [[https://www.vulture.com/2018/10/daredevil-season-3-one-take-fight-scene.html|#]] * [[2022년]] 말에 시즌 4의 촬영에 들어갈지 모른다는 루머가 공개되었는데. [[https://m.blog.naver.com/ptj0969/222669312740|#]] 이후 밝혀진 내용에 따르면 시즌 4가 아닌 [[데어데블: 본 어게인(드라마)|소프트 리부트]]로 결정이 되었다. == 관련 문서 == * [[데어데블]] * [[데어데블(영화)]] * [[데어데블: 본 어게인(드라마)]] * [[데어데블(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엘렉트라(영화)]] [[분류:마블 데어데블]]